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읽기 이해력과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
최선일 ( Choi Sun Ill ) , 최선영 ( Choi Sun Yo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147~182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읽기 이해 능력과 학습전략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및 충북 소재 대학교 1학년 재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남영택·유신복· 이명숙(2015)이 개발한 읽기 이해 능력 검사와 박동혁(2006)의 다차원 학습전략 검사를 사전 검사로 실시하였다. 그 후, 읽기 이해 전략의 하위 요인들을 분석·종합하여 개발된 15차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대학생들에게 적용시켰으며, 프로그램 적용 후 읽기 이해 능력 검사와 다차원 학습전략 검사를 사후 검사로 실시하였다.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의 사전·사후의 읽기 이해 능력과 학습전략 특성의 변화는 대응표본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이야기 글과 설명식 글을 이해하는 데 모두 효과가...
TAG 대학생,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읽기 이해 능력, 학습전략 특성, 프로그램 효과, university students,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y program,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trategy, program effect
독서 워크숍의 개념과 방법
김주환 ( Kim Joohwa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183~212페이지(총30페이지)
독서 워크숍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활동과 교사의 명시적인 지도가 통합된 균형 잡힌 교수학습 방법이다. 독서 워크숍은 학생들의 독해력과 독서 동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독서 워크숍이 우리나라 교실에 널리 확산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학생들이 어떤 제약도 없이 자유롭게 책을 읽을 수 있도록 교실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교실 도서관과 자립적 독서가 가능한 공간 구성, 책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독서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자발적인 독서 활동을 격려하고 지원해야 한다. 학생들이 독서를 과제나 의무로 생각하지 않고 독서의 즐거움을 깨달을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관찰하여 필요한 전략을 교사가 명시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독서 전략의 지...
TAG 독서 지도, 독서 워크숍, 독자 정체성, 평생 독자, 독서 능력, 독서 태도, Reading Instruction, Reading workshop, reader`s identity, lifelong readers, reading ability, reading attitude
근대의 환유지구 계몽담론과 국문 기행문 연구 : 1900년대 이전의 기행문을 대상으로
김경남 ( Kim Kyungna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37~66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1900년 이전의 환유지구를 주제로 한 한문 기행문과 『죠션크리스도인회보』에 수록된 최병헌, 노병선, 김기범의 열람기(閱覽記)를 대상으로 기행문의 근대성을 살피는 데 목표를 두었다. 『대죠션독립협회회보』 17호에 수록된 ‘환유지구잡기’는 이 시기 신문ㆍ잡지에 수록된 유일한 환유지구를 주제로 한 한문 기행문인데, 필자를 알 수 없으나 『격치휘편』에 수록된 것을 전재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비록 한문으로 쓰인 것이지만, 논설류와는 달리 개인의 기행 체험을 바탕으로 타자에 대한 인식, 인간관계의 새로운 조명 등을 보이고자 한 점은 기행문의 근대성을 규명하는 준거가 된다. 이에 비해 『죠선크리스도인회보』를 중심으로 한 순국문 기행문 자료는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작품들이나 기행문의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자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특히 최병헌, 노병선...
TAG 기행문, 근대성, 타자 인식, 자의식, 언문일치, travel essay, modernity, recognition of others, self-consciousness, unity of speech and writing
읽기 밈과 읽기 교육
김도남 ( Kim Dona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237~272페이지(총36페이지)
이 논의는 밈(meme)의 관점에서 읽기와 읽기 교육의 방향을 살폈다. 밈은 문화의 변화를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말이다. 밈은 진화생물학자인 도킨스가 유전자(gene)와 대비되는 말로 만든 것이다. 명시적으로는 세포처럼 다음 세대나 다른 사람에게로 전달되는 문화의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밈은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문화 전달을 설명하는 인식 체계로 확대 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밈을 읽기와 관련지어 볼 수 있다. 읽기도 문화의 속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변화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읽기의 특성을 가리키는 말이 ‘읽기 밈’이다. 세포가 생물학의 단위이면서 생물의 진화를 설명하는 인식 체계이듯 읽기 밈은 읽기의 진화를 설명할 수 있는 인식 체계인 것이다. 학교의 읽기 교육은 학생들이 읽기 밈을 복제하고 운반하게 하는 대표적인 곳이다. 학생...
TAG 밈(meme), 읽기 밈, 모방, 복제. 진화생물학, 읽기 진화, meme, reading meme, imitation, replication. Evolutionary Biology, Reading Evolution
노인 독자의 그림책 독서 실행 연구 : 문식 입문 수준 노인 독자를 중심으로
이지영 ( Lee Ji-young ) , 김경화 ( Kim Kyoung Hw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67~106페이지(총40페이지)
이 논문은 문식 입문 수준의 노인 독자를 대상으로 문식성 교육이 필요하다는 문제 인식을 토대로 그림책 독서 활동을 실행하였다. 노인 독자의 그림책 독서활동 반응을 분석하여 그림책 의미 구성 반응의 특성과 그림책 읽기 활동에 대한 자신의 인식을 연구하였다. 그림책 의미 구성 반응의 특성으로는 (1)한국적인 생활문화로 해석하기, (2)민간 신앙과 사회적 통념으로 연결 짓기, (3)연륜으로 정립된 가치관과 신념 드러내기, (4)시대상을 반영한 유년 시절의 자전적 회고, (5)가족과의 관계 드러내기, (6)삶의 상처와 아픔을 표현하기가 있다. 그림책 읽기 활동 인식으로는 (1)읽기 활동에 대한 부정정 인식 표현과 긍정적 인식의 공존, (2)공부에 대한 고정 관념과 이야기 나누기 활동 간의 갈등, (3)배움에 대한 당당함과 타인의 시선에 대한 두려움, (4)그...
TAG 노인 독자, 문식성, 그림책, 그림책 읽기 활동, 의미 구성 반응, Elderly readers, literacy, picture book,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meaning composition response
‘읽기’의 메타퍼 : 읽기는 학교교육의 축이 될 수 있는가? : 융합교육의 관점에서 본 2015 교육과정과 ‘읽기’
김창원 ( Kim Chang Wo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9~34페이지(총26페이지)
2015 교육과정은 주요 키워드로 ‘창의융합’, ‘문이과 통합’을 제시하고, 각 교과가 ‘핵심 역량’과 ‘기능’을 축으로 하여 서로 연계되도록 설계하였다. 이 기조를 바탕으로 총론이 제시한 6개 핵심 역량을 신장하면서 교과 간에 내용과 방법을 연계할 축으로 ‘읽기’가 있다. 국어과에서는 읽기교육의 초점을 문자 중심의 기능적 문식성 신장에 두어왔으나, 읽기 환경의 변화에 따라 2007 교육과정 이후 ‘문자 이해’를 넘어서는 융합적·복합양식적 문식성으로 범위를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타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내용-방법 융합의 ‘확장된 읽기’ 개념을 다루는 데까지는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국어과가 좁은 의미의 ‘언어’를 지나치게 의식하는 데 기인한 현상이다. 본고는 ‘읽기’의 개념을 재검토하여, 텍스트의 형식과 내용 및 소통 측면에서 읽기...
TAG 2015 교육과정, 통합교육, 핵심 역량, 연결 개념, 확장된 읽기, 융합 문식성, Korean National Curriculum of 2015 Revision, Integrative Education, Core Competence, Connecting Concept, Expanded Reading, Integrative Literacy
중국인 학습자 대상 중급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난도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진정 ( Chen Jing ) , 서혁 ( Suh Hyu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213~236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중국에서 발행된 한국어 중급 교재의 정보 텍스트의 난도에 대한 한국어 교수자와 학습자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중국에서 발행된 3종의 한국어 중급 교재를 대상으로 텍스트 복잡도가 가장 쉽거나 어려운 텍스트를 각각 1편씩 총 6편을 선정하여, 교수자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난도 평가 준거별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한국과 중국 교수자들은 해당 텍스트의 난도가 중급 학습자의 수준보다는 어려운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와 학습자 간 어휘 난이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장 구조(문법)의 경우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차이는 주제 친숙도와 문장 길이의 경우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자들이 사용된 텍스트 난도 평가 준거에 대해 자세히 분석...
TAG 중급 한국어 교재, 정보 텍스트, 텍스트 난도, 한국어 교수자, 한국어 학습자, 어휘 난이도, 문장 길이, 문장 구조(문법), 주제 친숙도, Intermediate Level Korean Textbooks, Expository Text, Reading Difficulties, Korean Instructor, Chinese Korean Learner, Vocabulary Difficulties, Sentence Length, Sentence Struct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생의 비문학 독해 평가에서의 인지진단모형 적용 방안
이상빈 ( Lee Sangbin ) , 김태호 ( Kim Taeho ) , 현윤진 ( Hyeon Yunjin ) , 최숙기 ( Choi Sook-k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8] 제46권 107~145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는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is Model)을 활용한 일반계 고등학생의 독해 평가 분석 결과를 인공신경망을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고, 나아가 인공신경망 모형의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구현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독해 기능이나 지식과 관련한 인지요소(attribute)를 추출하여 Q-행렬(Q-Matrix)을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 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Q-행렬에 기반하여 독해 평가 도구를 제작하여 시행한 독해 평가 결과를 인지진단모형을 활용하여 비문학 독해 인지요소별 숙달(mastery) 프로파일을 추정하였다. 다음으로 실제 평가 결과(Score)와 비문학 독해 인지요소별 숙달 프로파일을 인공신경망 모형의 각각 입력값과 출력값으로 투입하여 머신러닝 과정을...
TAG 인지진단모형, 머신러닝, 인공신경망, Q-행렬, 인지요소별 숙달 프로파일, Cognitive diagnosis model, Machine learn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Q-Matrix, Proficiency profile by cognitive factor
학습 목적 글쓰기 상황에서 필자의 사전지식이 다문서 문식 경로에 미치는 조절효과 :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장성민 ( Sungmin Cha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5권 9~41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화제에 대한 개인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라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는 필자의 다문서 문식 경로가 어떻게 상이하게 나타나는지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사회계열에 재학중인 참여자 49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세부 집단별로 변환적 설계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집단별 예측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화제에 대한 사전지식은 예측변인 “학습 결과물의 점검”을 경유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의 글쓰기 총점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그러한 조절효과가 결과물의 수준차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일정 수준 이상의 사전지식을 갖춘 참여자를 대상으로 하였을 때, 사...
TAG 학습 목적 글쓰기, 사전지식, 다문서 문식성, 자료 통합적 글쓰기, 귀추, 논증, 자기 조절, 변환적 설계, 다중집단 구조방정식 모형, Writing to Learn, Prior Knowledge, Multiple Documents Literacy, Writing from Sources, Abduction, Argument, Self-regulation, Transformative Design, Multiple-group SEM
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복잡도 비교 분석 연구 : 텍스트 내적 요인을 중심으로
진정 ( Chen Jing ) , 서혁 ( Suh Hyu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5권 101~129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의 텍스트 복잡도를 비교·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중 중급 한국어 교재에 수록되어 있는 정보전달 텍스트를 어휘 난이도, 문장 길이, 문장 복잡도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어휘 난이도 측면에서 한국 교재는 학습 단계별로 상권과 하권의 어휘 난이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중국 교재는 학습 단계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역전된 양상을 보였다. 또한 양국 교재간 비교에 있어서는 ‘상권’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장 길이 측면에서 한·중 교재 모두 하권일수록 문장 길이가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t검정 결과 그 차이가 유의하지는 않았다. 다만, 한국 교재의 상·하권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중국 교재에 비해 한국 교재의 학습 단계별 교재 구성이 체계적인 편임을 확인할 수 ...
TAG 한국어 교재, 텍스트 복잡도, 어휘 난이도, 문장 길이, 문장 복잡도, Korean Textbook, the Degree of Text Complexity, Vocabulary Difficulty, Sentence Length, Sentence Complex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