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국내 SW 교육에 대한 메타분석
나청수 ( Chungsoo Na ) , 주현 ( Hyun Joo ) , 이진주 ( Jinju Lee ) , 김동식 ( Dongsik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775~815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SW 교육의 효과성을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6년부터 2017년까지 SW 교육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42편의 국내 논문을 선정하여, 사후-사전 검사 점수의 변화량을 바탕으로 총 57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국내 SW 교육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조절변수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국내 SW 교육에 대한 효과크기의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위한 SW 교육의 전체효과크기는 0.314로, Cohen(1988)의 기준으로 ‘중간보다 낮은 수준’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효과 영역에 따른 SW 교육의 효과크기는 수행 ...
TAG SW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meta-analysis, SW 교육, 컴퓨팅 사고력, 메타분석
창의적 문제해결 기반 피지컬컴퓨팅 교육프로그램 설계원리 개발 및 적용
박태정 ( Tae Jung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817~847페이지(총31페이지)
새로 도입된 피지컬컴퓨팅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다양한 창조적 결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교사들이 어떻게 체계적으로 수업 준비 및 진행을 할 것인지에 대한 실제적인 안내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중등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피지컬컴퓨팅 수업 설계원리를 개발하고 수업현장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존 문헌 및 사례를 분석결과를 유목화하고 구조화하여 초기 구성요소 및 설계원리를 도출한 다음, 학계, 교사, 현업 전문가 5인의 전문가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된 구성요소인 협력적 학습환경 설계, 실제적 문제 설계 및 정보·교구 분석, 창의적 사고도구 활용, 프로토타입 기법 적용 및 다각적 평가 및 성찰·공유 촉진은 각 2-3개의 설계원리를 포함한다. 5개의 구성요소와 11개의 설계원리를 반영하여 8주차...
TAG physical computing, software education, creative problem solving, design principles, 피지컬컴퓨팅, 소프트웨어교육, 창의적 문제해결, 설계원리
로봇 활용 SW 교육에서 컴퓨팅사고력 평가: 지필 시험, 비버챌린지, 자기보고식 설문을 중심으로
노지예 ( Jiyae Noh ) , 이정민 ( Jeongmi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849~876페이지(총28페이지)
컴퓨팅사고력은 컴퓨팅의 기본적인 개념과 원리를 기반으로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사고 능력이며, 21세기를 살아갈 학생들이 반드시 습득해야 할 핵심 역량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가 활용할 수 있는 컴퓨팅사고력 평가에 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나, 관련 선행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로봇 활용 SW 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지필 시험, 비버챌린지, 자기 보고식 설문의 세 가지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컴퓨팅사고력을 측정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사고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지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지필 검사의 난이도는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버챌린지의 경우, 로봇 활용 SW 교육을 실시한 이후 평균의 차이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5가지의 컴퓨팅...
TAG SW education using robot, computational thinking, test, Bebras Challenge, self-report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로봇 활용 SW 교육, 컴퓨팅사고력, 지필 시험, 비버챌린지, 자기 보고식 설문, 상관분석
인지·정서조절, 집단효능감, 스캐폴딩이 대학생의 프로젝트학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영선 ( Youngsun Yang ) , 허희옥 ( Heeok He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197~22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소집단 협력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습자의 인지조절, 정서조절과 집단효능감, 그리고 교수자가 제공하는 스캐폴딩이 학습참여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프로젝트학습의 긍정적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으로 학습과정의 인지조절, 정서조절, 집단효능감을 선정하고, 환경 요인으로 교수자의 스캐폴딩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이들 요인과 프로젝트학습의 참여 과정과 학습 결과를 분석하였다. 총 90명의 대학생이 22개의 팀으로 나누어 전체 7주간에 걸쳐 프로젝트를 수행하였다. 프로젝트학습에서 학생들이 수행한 과제는 미리 주어진 시나리오를 토대로 학습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동기이론을 적용한 수업을 설계하는 것이고, 최종결과물은 설계안이 포함된 보고서이다. 학습자의 인지조절, 정서조절은 프로젝트학습 시행 초기에 조사되었고...
TAG Cognition 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Scaffolding, Project-based learning, 인지조절, 정서조절, 정의적 스캐폴딩, 프로젝트학습
대학 교수자가 인지한 수업 문제상황 해결을 위한 플립드러닝 적용사례
강지혜 ( Jihye Kang ) ,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227~255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교수목표와 수업여건이 상이한 수업의 교수자들이 각자 당면한 교수학습 관련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적 지원없이 자발적으로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두수업사례들을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다양한 수업맥락에서 지속가능한 플립드러닝 적용을 고민하고 있는 대학의 교수자들을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에서 팀티칭으로 진행된 <경영학원론>의 교수자 2인과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의 교수자 1인, 총 3인의 교수자들을 대상으로 수업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강의평가 자료들을 분석하여 각 사례별 교수자가 인지한 수업 문제상황 해결을 위해 플립드러닝이 어떻게 활용되었으며 그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대학교육에서 플립드러닝을 지속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주요 이슈들과 대응전략을 다음...
TAG Flipped learning, College teaching, Instructional problems, Case study, 플립드러닝, 교수설계, 사례연구, 대학교육
예비교사 훈련을 위한 아바타 활용 대화 시뮬레이션에서 뇌파측정을 통한 정서반응 측정에 관한 연구
최동연 ( Dongyeon Choi ) ,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257~285페이지(총29페이지)
예비교사는 학생과 실질적인 면담을 경험할 기회가 적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가 가상학생 아바타와의 대화 시뮬레이션을 통해 학생과의 면담을 경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때 시뮬레이션의 제시 유형과 가상 아바타의 감정 상태가 예비교사의 감성적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EEG(electroencephalogram) 측정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기본적 경청대화법인 SOLER모형과 실험불안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4가지의 감정 상태를 보이는 가상 아바타와의 대화 시뮬레이션을 HMD(Head Mounted Display)와 2D 모니터조건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은 시뮬레이션의 제시방법을 구획변수로 하여, 가상 아바타의 4가지 감정 상태에 따른 예비교사의 가상실재감과 EEG 측정을 통한 정서반응을 반복 측정하는 분할구획요인설계...
TAG Emotional Response, Simulatio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Virtual Avatar, 정서반응, 시뮬레이션, 예비교사교육, 가상 아바타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행동 로그, 생리심리반응 및 시험불안을 통한 멀티모달(Multimodal) 학업성취 예측모형 개발
성한올 ( Hanall Sung ) , 조일현 ( Il-hyun J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287~308페이지(총22페이지)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는 교수자가 보지 않는 곳에서 학습이 개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학습활동 중 학습자의 행동을 관찰 할 수 없으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학습자의 심리 상태 역시 파악하기 어렵다. 때문에 이렇게 달라진 학습 환경 속에서 학습의 진행에 따라 변화하는 학습자의 심리 기제를 이해하고 예측되는 학업성취에 따라 적절한 교수-학습적 처방을 제공하기 위해 성질이 다른 여러 데이터를 복합적으로 함께 분석하는 멀티모달(multimodal)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행동 로그, 생리심리적 반응, 시험불안, 학업성취 데이터를 실험 상황을 통해 수집한 후 각 데이터 간 관계를 분석하고 이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대학교 학부 학생 남녀 각각 32명씩,...
TAG Multimodal data, Online learning, Learning Analytics, Behavioral log, psychophysiological response, Learning Achievement, Prediction model, 멀티모달(Multimodal), 온라인 학습, 학습분석학, 행동 로그, 생리심리반응, 학업성취, 예측모형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 동향 분석
김현진 ( Hyeonjin Kim ) , 유지은 ( Jieun Yoo ) , 김현영 ( Hyeonyeo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309~344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육공학 분야의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교육공학 질적연구의 현주소와 향후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학술지의 창간호인 1985년과 1996년부터 2017년 6월까지 게재된 질적 논문134편을 대상으로 연구 주제, 연구 유형, 연구방법론 측면에서 연구적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내 교육공학 질적 연구는 2000년 이후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질적 연구의 주제는 활용 영역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창출 영역의 교수설계 효과연구로 드러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사례연구와 기본해석연구가 비슷한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기본해석연구라고도 볼 수 있는 개발연구가 다수 나타나 교육공학연구의 고유한 특징을 보여준다. 자료수집과 분석 측면에서 교육공학 질적 연...
TAG Educational Technology,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trends, 교육공학, 질적 연구, 연구동향
ETR&D를 통해 본 학교교육 관련 최신 연구 동향: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2호, 345~381페이지(총37페이지)
교육 현장의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우리가 앞으로 대처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학술지인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대상으로 최신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016년까지 최근 6년간 ETR&D가 발표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연관성이 있는 논문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연구영역, 방법, 인용횟수, 대상과 저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ETR&D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관련 있는 논문은 약 3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TR&D에 발표된 학교교육 관련 논문의 인용 횟수는 Scopus 기준 평균 13회,...
TAG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Technology, K-12 Schools,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ETR&D, 학교교육, 연구동향, 해외 연구동향
플립러닝 수업컨설팅을 위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임정훈 ( Junghoon Leem ) , 김미화 ( Mihwa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1호, 101~132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교수자가 플립러닝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때 확인할 수 있는 수업분석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학교 현장에서 플립러닝을 수행하려는 교수자가 자기 스스로 플립러닝 수업을 진단하거나, 수업컨설턴트가 플립러닝 수업의 적절성을 분석하기 위한 수업컨 설팅을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립러닝을 위한 교수설계 및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과 전략에 관한 문헌들을 탐색하여 플립러닝의 수업 단계를 ‘수업 전’, ‘수업 중’, ‘수업 후’로 구분하고 각각의 수업 단계에서 확인하고 점검해야 하는 주요 수업 활동들을 영역별로 나누어 분석문항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의 초안은 2차례에 거쳐 전문가 6인에게 타당도를 검증받았으며, 특히 2차 타당도 검증에서는 교수자가 플립러닝으로 수업을 운영하고자 할 때 반드시 확인해야...
TAG 플립러닝, 수업컨설팅, 플립러닝 수업분석 도구,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consultation, instructional analysis tool for flipped learning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