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립공원 생태계서비스 평가항목에 대한 이해관계자 인식 특성 분석
장진 ( Jin Jang ) , 김진원 ( Jin-won Kim ) , 허학영 ( Hag-young Heo ) , 심규원 ( Kyu-won Sim ) , 김보현 ( Bo-hyu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66~67페이지(총2페이지)
국립공원은 생물다양성의 보고로서 다른 토지이용지역에 비해 제공되는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높은 지역이다. 우리나라 생물다양성법 제3조제5항에서 생태계서비스는 생태계의 보전과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체계적으로 제공되고 증진되어야 한다는 기본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에서도 국립공원이 국민들에게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혜택이 제공되고 증진되기 위한 측정 및 평가와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공원 자연 생태계가 국민들에게 제공해 주는 다양한 혜택들에 대한 인식을 공원 현장관리자, 지역주민, 탐방객 등 이해관계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설문기간은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진행되었다. 설문은 공원 현장과 온라인 조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현장 설문조사...
한라산 특산식물 좀갈매나무(Rhamnus taquetii (H.Lév. & Vaniot) H.Lév.) 분포패턴 및 개체군 크기
김소담 ( Sodam Kim ) , 정지영 ( Ji-young Jung ) , 김휘민 ( Hwi-min Kim ) , 문애라 ( Ae-ra Moon ) , 이동형 ( Donghyoung Lee ) , 김상용 ( Sang Yong Kim ) , 김재현 ( Jae-hyeun Kim ) ,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68~69페이지(총2페이지)
제주도는 수평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남쪽에 위치하고 있어 제주도가 북한계가 되는 난대성 식물들이 다수 분포하고, 수직적으로는 섬의 중앙에 한라산이 솟아 있어 식물의 수직분포가 뚜렷해 남북사면의 다양한 환경에 따라 산림, 습지, 초원, 암석지, 계곡 등의 다양한 생태적 입지가 잘 발달해 있어 식물의 종 다양성이 매우 높다. 해발 1,950m에 달하는 한라산은 1966년에 일부 면적이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천연기념물 제182호 한라산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1970년 7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2년에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 거문오름 용암동굴계, 성산일출봉과 함께 국내 최초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한라산을 중심으로 하는 제주도의 식물대는 해발고도에 따라 해안식물대, 초지대, 상록활엽수림대, 낙엽...
국내 산양(Naemorhedus caudatus) 의 Maxent 모형을 이용한 서식지 적합성 분석 - 산양 흔적(분변 등) 자료 분석 -
김규철 ( Gyu-cheol Kim ) , 이용학 ( Yong-hak Lee ) , 김기윤 ( Ki-yoon Kim ) , 손장익 ( Jang-ick Son ) , 석권희 ( Kweon-hee Seuk ) , 임종필 ( Jong-pil Lim ) , 이병열 ( Byeong-yeoul Lee ) , 남성열 ( Seong-yeol Nam ) , 조재운 ( Chea-un Ch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0~71페이지(총2페이지)
종분포모델은 자연환경의 합리적인 관리를 위해 동물의 서식지를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의 종분포모델링의 경우 출현/비출현데이터를 사용하여 종분포를 예측하고 있다. 한국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인 산양(Naemorhedus caudatus)은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소과(Bovidae), 산양속(Naemorhedus)에 속하는 동물로서, 전 세계적으로 4개의 종으로 분류된다(Wilson and Reeder, 2005). Himalayan Goral(N. goral)은 북서인도, 네팔, 파키스탄에, Red Goral(N.baileyi)은 중국 운남성 과 티벳, 인도북서부 미얀마에, Chinese Goral(N. griseus)은 버마, 중국, 인도, 태국, 베트남, 라오스에...
분자유전학 정보를 이용한 반달가슴곰 위치 추적
한상현 ( Sang-hyun Han ) , 박진솔 ( Jinsol Pak ) , 김낙원 ( Nak-won Kim ) , 박형수 ( Hyeong-soopark ) , 정우진 ( Woo-jinjeong ) , 이사현 ( Sa-hyun Lee ) , 정동혁 ( Dong-hyuk Jeong ) , 박종섭 ( Jong-seop Park ) , 장정재 ( Jeong-jaejang ) , 남성열 ( Seong-yeol Na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2~73페이지(총2페이지)
개체군 내에서 개체수의 증가는 먹이원, 번식, 안식처 등 다양한 요인에 대한 경쟁관계가 나타나게 된다. 일정 서식지 내에서의 경쟁은 사회 내에서 우열관계를 유발하고, 회피, 타협, 협력 등 다양한 사회활동의 원인이 된다. 야생동물사회에서의 경쟁에서 도태된 경우는 서식지외 회피를 선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고, 이는 개체군의 서식지를 확산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지리산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복원사업이 진행 중인 반달가슴곰의 경우, 2019년 12월 *** 마리의 개체수에 도달하였고, 이는 지리산국립공원 환경에서 예측된 적정개체수(n=64-74?)의 최소범위에 도달한 수준이다. 올해 5월에서 8월까지 반달가 슴곰으로 추정되는 동물들이 지리산 이외 지역에서 총 18회발견되거나 포획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리산에 설치한 생포트랩과 지리산 외 지역인 산청,...
도시환경 내 참새의 둥지 장소 선택 및 둥지 특성
이주현 ( Ju-hyun Lee ) , 남완희 ( Wan-hee Nam ) , 이동윤 ( Dong-yun Lee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7(총1페이지)
둥지 장소 선택은 조류의 번식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는 포식자로부터의 은폐 및 방어, 극한의 기상조건으로부터의 둥지 및 알, 유조의 보호, 둥지 근처의 풍부한 먹이 조건과 동 종 / 타 종간 경쟁 회피 등 복합적인 요소가 조류의 번식성공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적의 둥지 장소선택은 포식, 침수, 열손실 등에 의한 번식 실패 가능성을 줄이고 번식 성공률을 높이는 기초가 된다. 동공에 둥지를 만드는 수동성 조류(hole nester, cavity nester)의 경우, 동공의 위치 및 크기, 높이, 성질, 내부 깊이 등이 조류의 둥지 장소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이 중 자신이 수동을 만들지 못하는 2차 수동성 조류의 경우, 자연 수동 및 딱따구리의 묵은 둥지를 차지하기 위하여 경쟁이 일어나며 기회가 된다면 인공구조물의 동...
멸종위기종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대규모 로드킬 사례 보고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강하경 ( Ha-kyung Kang ) , 서재영 ( Jae-young Seo ) , 김현정 ( Hyunjung Kim ) , 박지희 ( Ji Hee Park ) , 윤가영 ( Ka-young Yun ) , 김예빈 ( Yebin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8(총1페이지)
생물의 감소는 서식지 파괴 및 단절, 오염, 기후변화, 외래종유입 등 매우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그 중 서식지 단절은 생물의 활동 반경 안에 인위적인 환경이 조성됨으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도로는 생물의 이동 경로에 차량이 통과하기 때문에 직접적이고 지속적인 로드킬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생물 제거 기술 개발 연구 수행 과정에서 확인된 거북류의 대규모 로드킬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금호저수지에 인접한 도로에서 다수의 거북류 로드킬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7월 16일부터 9월 10일까지 연구 지역 내에서 거북류의 로드킬 발생 현황을 기록하였다. 로드킬 모니터링은 매주 1회씩 수행하였으며, 저수지 둘레를 연구자들이 도보로 이동하며 확인되는 거북류의 종과 개체수를 기록하였다. 총 10회의 모니터링 결과, 9...
미스트 발생기를 적용한 미세먼지 저감특성 연구
유신이 ( Sin-yee Yoo ) , 김태희 ( Taehee Kim ) , 최수민 ( Sumin Choi ) , 박찬열 ( Chan-ryul Park ) , 송동하 ( Dong-ha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79(총1페이지)
고농도 미세먼지 일수가 증가하지만, 야외활동이 이루어지는 도시공원이나 아파트 등 시가화지역에서 시민들에게 미세먼지 노출은 피할 수 없다. 이에 도시공원이나 아파트 단지에는 야외활동을 하는 도시민들의 미세먼지 노출을 줄이기 위해 미스트 발생기를 설치하고 있다. 미스트 발생기는 미세먼지 크기의 미스트 분사로 미세먼지와 물방울을 결합시켜 미세먼지를 저감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양재시민의 숲, 청담도로공원)을 대상으로 미스트 발생 전후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미스트 발생기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특성을 파악하였다. 미세먼지 농도는 미스트 발생기 설치지점에서 이동식 미세먼지 측정기기 (Turnkey, Dustmate, UK)로 측정하였고, 미스트발생기는 도시민 이용이 높은 시간에 작동하였다. 양재시민의 숲은 점심시간대 (10:30~13:30)와 퇴근시간대 (16:3...
외래거북의 행동생태적 특성 기반으로 개발한 트랩의 효율성
김현정 ( Hyunjung Kim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강하경 ( Hakyung Kang ) , 서재영 ( Jaeyoung Seo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0(총1페이지)
지구의 건강 지표 중 하나인 ‘생물다양성’이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생물 종 감소 의미를 넘어서, 궁극적으로 지구에 살아가는 인간 삶의 위협까지도 의미한다. 생물다양성 감소에는 토지 및 바다 이용 변화, 생물종 남획, 오염, 기후변화 등 여러 요인이 있으며,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외래생물의 유입 증가’도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외래종 수입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외래생물의 문제는 거북류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종교적인 방생, 관리 부주의로 인한 유출, 사육 부담 및 관심 저하로 인한 사육 포기 등의 이유로 야생에 유입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래생물과 동물 멸종의 상관관계 연구에 따르면 멸종 원인을 알고 있는 동물 중, 약 20%에 달하는 종이 외래생물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멸종되었다. 또한,...
토종 민물거북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분리 포획 방안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강하경 ( Hakyung Kang ) , 서재영 ( Jaeyoung Seo ) , 김현정 ( Hyunjung Kim ) , 박지희 ( Ji Hee Park ) , 윤가영 ( Ka-young Yun ) , 김예빈 ( Yebin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1(총1페이지)
토착 생태계로 유입된 외래생물을 관리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직접 포획 방법이다. 직접 포획을 위해서는 그물, 먹이 유인, 화학물질 등 대상 생물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국내로 유입된 외래거북의 포획 방법으로 어류를 포획할 때 쓰는 통발이나 그물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개체가 익사하는 문제와 대상 외 불특정 생물들이 혼획되는 경우가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외래생물 제거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거북류의 일광욕 및 먹이에 유인되는 특성을 적용하여 자체제작한 포획틀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 과정에서도 대상종인 외래거북류 뿐만아니라 토착종인 남생이가 혼획되는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과정에서 확인된 토착종의 혼획되는문제와 혼획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듈식 포획틀은 거북류이 일광욕 하는 특성과 먹이에 유인되는 특성을...
종분포모델링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서식지 적합성 예측이 실제 분포와 일치할까?
구교성 ( Kyo Soung Koo ) , 윤가영 ( Ka-young Yun ) , 김예빈 ( Yebin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2(총1페이지)
외래생물의 유입은 토착 생태계를 교란하는 가장 큰 문제가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뉴트리아, 미국가재, 황소개구리, 가시박 등 다양한 외래생물들의 침입과 문제가 꾸준히 보고 되고 있다. 외래생물의 침입은 토착종과 경쟁하거나 포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질병을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생태계를 교란한다. 이에 따라 외래생물을 관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점점 커지고 있다. 세계 100대 침입종으로 유명한 생태계교란종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은 1970년대부터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현재에는 국내 환경에서 자연 번식에 성공했다. 또한, 2020년 3월 생태계교란종으로 추가 지정된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의 경우에도 야생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도 10여종에 달하는 외래거북들이 국내 야생에서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