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17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로변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녹지와 풍속의 영향 연구
최태영 ( Tae-young Choi ) , 강다인 ( Da-in Kang ) , 차재규 ( Jae-gyu Cha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67~68페이지(총2페이지)
최근 고농도 미세먼지의 빈번한 발생 및 미세먼지의 인체 위해성이 알려지면서 미세먼지 저감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녹지는 수관에 의한 차단, 수목 표면에서의 흡착, 기공의 흡수 등 여러 방식으로 미세먼지를 저감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녹지의 미세먼지저감 기능에 대한 실측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며, 녹지를 활용한 효과적인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서는 녹지의 미세먼지저감 기능 규명과 정량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심 도로변 미세먼지를 대상으로 녹지의 미세먼지 저감 효과 및 풍속과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왕복 8차선 도로변에 위치한 가로녹지와 근린공원 녹지를 대상으로 도로측과 녹지측에서 PM10 농도와 풍속을 측정하였고, 자료분석은 녹지유형별 도로측과 녹지측의 농도 차이 비교 및 ...
도시숲 조성을 위한 도시재생사업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권현정 ( Hyun-jung Kwo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69(총1페이지)
지속적인 산업화로 인해 도시지역의 규모는 확대되었으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라 도시환경의 질은 낮아지고 도시기능은 쇠퇴현상을 보이고 있다. 기존의 도시개발에 대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 정부는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도시의 양적·질적 개선을 이루고자 하였다. 삶의 질이 주거지를 선택하는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면서 도심 속 숲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속적인 산업화로 인해 도시지역은 확대되었으나 과도한 개발과 이용에 따라 도시숲의 비율은 현저히 낮은 실정이다. 최근 들어 숲세권을 찾는 시민들이 증가하면서 자연스럽게 숲의 관심 또한 높아졌다. 숲세권이란 녹지공간을 뜻하는 ‘숲’과 ‘역세권’의 합성어를 뜻하며 집주변으로 녹색공간을 찾는 시민들이 그만큼 많아졌음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도시숲은 도시 내 녹지 감소, 도시열섬현상, 미세먼지 등 사회적·환경적 문...
도시하천의 생태계 구조에 따른 야생조류 종다양성 증진 방안 -진수지 남강 도심구간을 대상으로-
조봉교 ( Bong-gyo Cho ) , 이수동 ( Soo-dong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70~71페이지(총2페이지)
우리나라에서도 자연형 또는 생태하천 개념이 도입되어, 수생태계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도시하천은 제내지의 토지이용밀도가 높고 하천 폭이 협소하여 여름철 홍수와 같은 계절적인 특성으로 치수안정성 확보가 우선시 되었고 제방 내부는 자연적이 아닌 인공적인 구조를 가지면서 친수기능이 강조된 공원하천 성격으로 정비되었다 본 연구는 진주시 도시하천, 즉 도심구간을 흐르는 남강(남강댐 하부~금산교 구간)을 대상으로 첫째, 수심, 퇴적지 등의 환경요인이 야생조류 종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수심, 호안구조가 대조를 이루는 진주교~진양교, 진양교~상평교 구간의 계절별 야생조류 다양성을 비교하여 구조가 종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하천내 환경요인과 야생조류 종다양도와의 관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의 생물...
2019년도 충청도 및 전라도 지역의 미국선녀벌레 발생조사
김다솜 ( Da-som Kim ) , 김예슬 ( Ye-seul Kim ) , 이주희 ( Ju-hee Lee ) , 변봉규 ( Bong-kyu B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75(총1페이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외래 곤충의 돌발발생가능성이 높아 지면서 이들의 확산 및 변화예측 진단을 통한 조기방제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외래침입해충은 국제교역량 증가에 따라 국내유입가능성이 가중되는 추세로, 국내의 자생하는 고유 생물자원과 생물다양성의 위협이 되어 생태계 교란 및 파괴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미국선녀벌레는 북미지역이 원산지로, 국내에는 2009년 서울, 경기 및 경남에서 처음 발견되어 전국으로 급속히 확산중에 있다. 이들은 흡즙성 곤충으로, 기주식물의 범위가 매우 넓고 배설물로 인해 그을음병을 유발시켜 과수 및 농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유입된 외래 해충의 경우 대부분 유충 및 약충으로 발견되며, 특히 기초생태정보 및 기주식물 등 사전정보가 미비하여 초기대응 및 방제에 어려움을 겪는 ...
Worldclim 데이터와 기상청 데이터를 사용한 남한 내 황소개구리 잠재 분포 비교
강희진 ( Hee-jin Kang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박승민 ( Seoung-min Park ) , 최재혁 ( Jae Hyeok Choi ) , 박혜린 ( Hye-rin Park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76(총1페이지)
황소개구리 American bullfrog는 대표적인 외래생물로 원산지를 벗어나, 전 세계 토착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다. 외래생물의 유입은 토착 생물의 포식 및 감소, 전염성 질병의 매개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을 포함한 많은 나라에서 보고되고 있다. 토착 생태계로 유입된 외래생물을 관리하고 억제하기 위해 외래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 분포의 변화를 예측하는 종분포모델링(species distribution modeling)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으며, MaxEnt (Maximum entropy)프로그램을 이용한 모델 구축은 동물 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Wolrdclim (Worldclim.org)에서 제공하는 기후데이터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후 변수이지만, 1970-2000년도 기후의...
영흥도 및 대부도 소사나무 군집 특성에 관한 연구
김용훈 ( Yong-hoo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 권오정 ( Oh-jung Kwon ) , 조기열 ( Gi-youl Cho ) , 설예주 ( Ye-joo Sol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77~78페이지(총2페이지)
소사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하는 낙엽활엽 소교목이며, IUCN RED LIST 중 관심대상(LC)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지리적으로 남쪽 해안 도서에서 경기도 해안선까지 분포하며, 주로 도서지역의 능선부와 산정부, 해안단애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IUCN 및 국내에서는 소사나무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제한되어 있으며, 서해 도서식물자원 중 대표 식물종으로써 중요성을 가지고 있으나 소사나무에 관한 생태적 연구 등은 전무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서해 도서의 대표적인 식물자원인 소사나무의 군집 특성, 2019년5월 개원한 경기도 제2도립 수목원인 경기도바다향기수목원내 주제원인 도서식물원 조성 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웅진군 영흥면 내리에 위치한 영흥도 통일사 및 국...
팔색조과(Pittidae) 생물음향(song) 군집분류 및 지리적 분포 특성 분석
최세준 ( Se-jun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79(총1페이지)
팔색조과(Pittidae)는 참새목으로 주로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중소형(15~29cm) 조류이다. 팔색조는 색이 화려하며 다리가 길고 꼬리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동남아시아에서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열대 우림, 밀림, 대나무숲, 맹그로브숲, 낙엽 및 상록수 숲 지역에서 발견된다. 팔색조과 번식울음은 주로 여명기에 빈도가 높으며, 울음은 짧은 휘파람 소리로 표현된다. 팔색조과는 수컷이 암컷에게 구해하기 위해 번식울음을 내며 이외에 이웃과의 코러스, 경고음 등을 낸다. 팔색조과 (Pittidae)는 서식지 파괴와 파편화, 포획 및 사냥, 화재 등으로 부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일부 종은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팔색조과 2속 24종을 대상으로 번식울음 특성 및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여 팔색조과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국내 침습 외래어종 큰입배스의 시공간적 장기 분포 패턴 분석 및 두 가지 다변수 침습위해성 평가 모델을 이용한 잠재적 위해성 평가
김정은 ( Jeung-eun Kim ) ,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80(총1페이지)
팔색조과(Pittidae)는 참새목으로 주로 열대지방에 서식하는 중소형(15~29cm) 조류이다. 팔색조는 색이 화려하며 다리가 길고 꼬리가 짧은 것이 특징이다. 동남아시아에서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며 열대 우림, 밀림, 대나무숲, 맹그로브숲, 낙엽 및 상록수 숲 지역에서 발견된다. 팔색조과 번식울음은 주로 여명기에 빈도가 높으며, 울음은 짧은 휘파람 소리로 표현된다. 팔색조과는 수컷이 암컷에게 구해하기 위해 번식울음을 내며 이외에 이웃과의 코러스, 경고음 등을 낸다. 팔색조과 (Pittidae)는 서식지 파괴와 파편화, 포획 및 사냥, 화재 등으로 부터 위협을 받고 있으며 일부 종은 멸종위기에 처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팔색조과 2속 24종을 대상으로 번식울음 특성 및 지리적 분포를 분석하여 팔색조과 보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영산·섬진 수계에서 보 (Weir) 건설 전·후의 생태위해종 (배스) 분포 확산분석
김정재 ( Jung-jae Kim ) , 권석철 ( Seok-cheol Kwon ) ,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81(총1페이지)
보 건설은 하천의 흐름을 단절함으로서 수리수문학적 특성의 막대한 변화를 야기하며 이화학적 수질 및 물리적 서식지의 변화와 더불어 그곳에서 서식하는 생물 군집과 같은 생태계에 큰 변화를 불러온다. 이와 같은 변화는 특히 수체를 정수역으로 바꿈으로서 배스와 블루길과 같은 생태계 교란종들이 서식하기 적합환 환경을 만든다. 본 연구에서는 보 건설 전·후 기간인 2008년부터 2009년, 2016년부터 2017년까지의 영산강, 섬진강의 배스의 분포와 풍부도를 비교하여 보 건설이 생태계 위해 종(배스)의 분포와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화학적 수질과 어류상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서 보 건설이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배스의 분포와 확산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영산강의 본류구간에서는 보 건설 이전부터 섬진강에 비하여 배스의 풍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섬진강 상류의 이화학적 수질과 어류지표 특성과의 관계
어남규 ( Nam-gyu Uh ) ,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82(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의 전체 유로 연장 222.05 km 중, 발원지 (전북 진안군 백운면 데미샘)로부터 약 28.14 km 떨어진양산교를 시작점으로 83.9 km 구간의 상류 지역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2018년 6월부터 2019년 5월까지 섬진강 상류 수계의 본류 및 지류의 어류상 자료, 섬진강과 옥정호의 수질 자료를 이용하여 pH, DO, BOD, COD, TSS, TN, TP, TOC, Temp, EC, TDN, NH4-N, NO3-N, TDP, PO4-P, Chl-a의 16개 이·화학적 수질변수와 강우량, 어류상 특성의 관계를 공간적 측면에서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간적인 수질변수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상류에서 3.25 mg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