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363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투수성과 정화효율 개선을 위한 실험적 연구
장현식 ( Hyun-shic Jang ) , 김기준 ( Ki-joon Kim ) , 송재용 ( Jae-yong Song ) , 안상곤 ( Sang-gon An ) , 장보안 ( Bo-a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557~575페이지(총19페이지)
유류오염 토양의 투수성 및 정화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전압 아크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토양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고전압 발생장치를 새로 제작하였고, 실트질 모래인 토양시료, 토양시료에 소석회를 혼합한 시료와 토양시료에 시멘트를 혼합한 세 종류의 토양시료를 다져서 소형 토조와 대형 토조를 제작한 후 각각의 토조내에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시행하여 유체확산의 범위와 투수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된 토양시료에서는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체의 확산 부피가 약 11~71% 증가하였다. 낮은 전압하에서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되면 토양 내에서는 구조적 취약면(다짐면)을 따라 수평적 확산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높은 전압에 의한 플라즈마 블라스팅은 토양 내에 구형의 입체적인 확산을 발생시켰다. 플라즈마...
TAG 플라즈마 블라스팅, 유류오염토양, 투수성, 유체확산, 정화효율, plasma blasting, oil contaminated soil, permeability, fluid penetration, cleaning efficiency
옥천층군 일대의 지표방사능과 감마선량 평가
윤육 ( Uk Yun ) , 조병욱 ( Byong-wook Ch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577~588페이지(총12페이지)
일부 암석의 우라늄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옥천층군 지역의 유효선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휴대용 감마선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421개 지점에서 지표방사능(40K, eU, eTh)을 측정하였다. 연구지역을 5개의 지질(og1, og2, og3, og4, 화성암)로 구분했을 때 지질별 지표방사능 강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421 암석의 40K, eU, eTh의 함량은 각각 0.7~10.3% (평균 5.2%), 0.6~287.0 ppm (평균 8.5 ppm), 4.0~102.4 ppm (평균 31.3 ppm) 을 보였다. 방사능강도로부터 구한 연구지역의 흡수선량은 28.84~1,714.5 nGy/h의 범위로서(평균 195.4 nGy/h) 지질별 평균값 최저는 og1의 166.3 n...
TAG 감마선분광분석기, 감마선량, 지표방사능, 옥천층군, 흡수선량, 유효선량, gamma ray spectrometry, gamma dose rate, terrestrial gamma radiation, Ogcheon group, absorbed dose rate, effective dose rate
간이평가법을 이용한 지진재현주기별 부산광역시 액상화 재해 평가
임현지 ( Hyunjee Lim ) , 정래윤 ( Rae-yoon Jeong ) , 오동하 ( Dongha Oh ) , 강혜진 ( Hyejin Kang ) , 손문 ( Moon So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589~602페이지(총14페이지)
과거의 많은 지진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액상화 현상은 부등침하를 일으키고 심한 경우 건물 파괴, 지반함몰과 같은 심각한 피해를 유발한다. 연구지역인 부산광역시 인근에는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단층들이 분포하며 양산단층, 동래단층, 일광단층이 도심지를 통과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한 경주, 포항, 일본 구마모토 지진의 영향권 내에 위치하며, 도시 내 넓은 단층곡을 따라서 두꺼운 제4기 미고결 충적층이 발달하고 해안 지역에는 해빈 퇴적물과 함께 매립지가 넓게 분포한다. 따라서 부산광역시 인근에서 대형 지진이 발생할 경우 도심지 내에 액상화로 인한 큰 피해가 예상되어, 도시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지진재현주기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지진재현주기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존재하나 낙동강 하구평야지대와 부산만, 수영만, 송정역 일대에서 액상...
TAG 액상화, 액상화 가능지수, LPI, 재해평가, 재해지도, 지진재현주기, liquefaction,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hazard assessment, hazard map, seismic recurrence interval
인공함양 주입성능평가에 의한 설계요소 산정 연구
원경식 ( Kyoung-sik Won ) , 이영동 ( Yeoung-dong Lee ) , 신동민 ( Dong-min Shin ) , 김병준 ( Byeong-jun Kim ) , 김규범 ( Gyoo-bum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03~615페이지(총13페이지)
인공함양의 설계요소 결정은 대수층의 수리지질학적 특성을 고려하여 산정하게 된다. 연구지역의 시험부지 내 구축된 주입유형별(수직정, Ditch 및 혼합형)로 주입시험을 단계별로 수행한 후 인공함양의 최적 설계요소 인자를 도출 하였다. 주입정의 구경에 따른 주입 효과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지 이용의 가용성과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100 mm 규격이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부 암반까지도 주입 효과가 잘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나 주입정 설치심도는 충적층 및 상부 암반층을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한편, Ditch에 의한 주입 방식의 경우에는, 10~30 mm의 여재를 채운 경우에 침투효율과 수리간섭영향이 우수한 주입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수직주입정의 간격 차이에 따른 간섭효율 분석 결과, 각 주입공 간격 1 m 당 간섭효...
TAG 인공함양, 인공함양 설계, aritifitial recharge, design of artificial recharge
경주 활성단층대 및 주변 국가지하수 관측정에서 지진과 수위변동 상관관계 연구
장현우 ( Hyeon-woo Jang ) , 정찬호 ( Chan-ho Jeong ) , 이용천 ( Yong-cheon Lee ) , 이유진 ( Yu-jin Lee ) , 홍진우 ( Jin-woo Hong ) , 김천환 ( Cheon-hwan Kim ) , 김영석 ( Young-seog Kim ) , 강태섭 ( Tae-seob Ka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17~63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단구리 활성단층대에 설치된 지하수 관측정과 주변 국가지하수관측정 124개 공에서 지진발생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수위자료를 활용하여 시공간적 분포특성과 지진과의 상관성을 해석하였으며, 발생한 지진에 대하여 관측정의 반응에 대한 효율성(잠재성)을 나타내는 Earthquake effectiveness(ε)와 q-factor를 계산하여 유효성을 분석하였다. 관측기간 중 단구리 관측정의 지하수위 변동은 E1(2019년 4월 22일 M 3.8) 지진 발생 이후 (post-seismic) 83 cm의 지하수위 하강을, E2(2019년 6월 11일 M 2.5) 지진발생 전(pre-seismic) 76 cm의 지하수위 상승을 보여주었다. 주변 국가지하수관측정의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공간분포 분석결과, 단층대 주...
TAG 활성단층대, 지하수, 지하수위, 지진, q-factor, active fault zone, groundwater, water Level, earthquake, q-factor
육각형 이음부를 이용한 회전관입말뚝의 현장적용성 평가
정상국 ( Sangguk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35~64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회전관입말뚝의 이음부를 용접이나 볼트가 필요 없는 육각형 이음부로 개선하여 압축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인발시험의 경우 기존 방법과 유사하게 볼트체결 방법으로 적용하여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회전관입말뚝의 지지력을 평가하기 위해 현장시험 2지역을 선정하였다. 하중재하시험은 정재하시험과 인발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회전관입말뚝에 대한 지지력을 평가하였다. 현장시험결과, 정재하시험시 중력식 그라우트를 적용한 말뚝에서 AC 358 Code에 따른 지지력평가 결과 600 kN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그라우트가 없는 말뚝에서는 600 kN 이하의 지지력을 보여 중력 그라우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시험결과를 고려하여 지지력을 평가하였으며, 적은 표본에 의해서 도출된 결과로 추후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G 회전관입말뚝, 이음부, 육각형, 정재하시험, 인발시험, 지지력, hexagon joint, static load test, bearing capacity, helical pile, pull-out load test, gravity grou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도로비탈면관리시스템 데이터 활용 검토 연구
우용훈 ( Yonghoon Woo ) , 김승현 ( Seung-hyun Kim ) , 양인철 ( Inchul Yang ) , 이세혁 ( Se-hyeok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49~661페이지(총13페이지)
도로비탈면관리시스템은 전국 도로 비탈면 현황을 파악하고 위험등급을 산정하여 유지대책 선정 및 사전에 비탈면 붕괴를 차단하여 국민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를 위해 전국 국도에 위치한 깎기비탈면에 대해 기초 · 정밀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매년 갱신되고 있다. 수집된 데이터는 수치형과 문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면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와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 결정된 주관적인 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비탈면관리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데이터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기계학습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독립적인 정보를 이용한 주관적 정보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 수행결과, 구축된 확률모델을 이용하여 높은 정확도로 주관적 판단이 필요한 정보들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구축된 모델을 활용하여 새...
TAG 도로비탈면관리시스템, 기계학습, 로지스틱 회귀분석, 예측모델, cut-slope management system, machine-learning, logistic regression, prediction model
기상정보와 Adaboost 모델을 이용한 깎기비탈면 위험도 지도 개발 연구
우용훈 ( Yonghoon Woo ) , 김승현 ( Seung-hyun Kim ) , 김진욱 ( Jin Uk¸ Kim ) , 박광해 ( Gwanghae Park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63~671페이지(총9페이지)
최근 국내에서는 산림지역 뿐만 아니라 대도시지역에서도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가적인 요구사항은 증가하고 있다. 특히 국도 비탈면 붕괴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전 재해정보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CSMS(Cut Slope Management System)에서 관리하는 강원도와 경상도 지역의 국도 비탈면 붕괴 정밀조사 보고서와 비탈면 기초조사를 토대로 비탈면 붕괴 유발 인자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붕괴 비탈면 위치와 기상정보를 반영하여 분류 기반 머신러닝 모형인 Adaboost를 통한 비탈면 붕괴 위험도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각화 프로그램인 비탈면 붕괴 위험도 시각화 지도를 개발하여 기상여건 변화에 따른 비탈면 위험도 파악을 통한 선제적...
TAG 도로비탈면유지관리시스템, 빅데이터 분석, 위험도 모형, 시각화 지도, cut slope management system, big data analysis, collapse risk model, GIS map
앵커 긴장력 변화에 따른 비탈면 유지관리 연구
박병석 ( Byungsuk Park ) , 김우석 ( Wooseok Kim ) , 황성필 ( Sungpil Hwang ) , 권오일 ( Oil Kwon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20] 제30권 제4호, 673~682페이지(총10페이지)
비탈면의 안정성 측면에서 파괴형태에 따라 예상 파괴면에서의 지반 전단력과 앵커보강에 의한 저항력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앵커가 보강된 비탈면에서는 지압판이 설치된 지반의 풍화, 침하 및 불완전하게 방청 처리된 강연선의 부식 등으로 인하여 앵커축력이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앵커 축력의 변화로 인해 국부적으로 앵커의 저항력을 상실한 경우에는 앵커가 저항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주변 앵커로 외력이 전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앵커의 긴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전체 비탈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의 긴장력 변화경향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고려한 비탈면 전체의 외적 안정성을 유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TAG 앵커, 긴장력, 모니터링, 비탈면, 유지관리, anchor, tensile force, monitoring, slope, maintenance
토석류 재해 안정화 대책 활용에 관한 제언
김만일 , 김남균 , 곽재환  대한지질공학회, 대한지질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31(총1페이지)
비탈면의 안정성 측면에서 파괴형태에 따라 예상 파괴면에서의 지반 전단력과 앵커보강에 의한 저항력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앵커가 보강된 비탈면에서는 지압판이 설치된 지반의 풍화, 침하 및 불완전하게 방청 처리된 강연선의 부식 등으로 인하여 앵커축력이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앵커 축력의 변화로 인해 국부적으로 앵커의 저항력을 상실한 경우에는 앵커가 저항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어 주변 앵커로 외력이 전가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주변앵커의 긴장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전체 비탈면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므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탈면에 설치되어 있는 앵커의 긴장력 변화경향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고려한 비탈면 전체의 외적 안정성을 유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