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췌장담도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췌담도학회지64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식적 항암 치료와 담관배액술 후 근치적 절제를 시행할 수 있었던 복막 전이를 동반한 진행성 담낭암 1예
유민수 ( Min Su You ) , 이상협 ( Sang Hyub Lee ) , 강진우 ( Jinwoo Kang ) , 최영훈 ( Young Hoon Choi ) , 최진호 ( Jin Ho Choi ) , 백우현 ( Woo Hyun Paik ) , 류지곤 ( Ji Kon Ryu ) , 김용태 ( Yong-tae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8] 제23권 제1호, 41~47페이지(총7페이지)
담낭암은 발생 빈도가 높지 않으며,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알려져 있다. 근치적 치료법은 수술적 절제가 유일하나,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에서 진단되는 경우가 많아 실제로 근치적 수술이 가능한 경우는 많지 않다.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49세 환자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담낭암이 진단되었고, 자기공명췌담관조영술 및 양전자컴퓨터단층촬영 결과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병기로 확인되어 여러 차례 담도 감압술과항암 치료를 받았으며, 치료 중 시행한 반응 평가 검사에서 수술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어 우측 문맥술로 간 용적을 증가시킨 후 성공적으로 근치적 목적의 수술을 시행받았다. 첫 진단시 수술이 불가능하였던 진행성 담낭암 환자가 고식적 목적의 항암화학요법과 담관배액술을 여러 차례에 걸쳐 시행받은 이후 암의 범위가 줄어들어 성공적으로 근치적 수술을 시행한 증례를...
TAG Gallbladder neoplasms, Metastasis, Antineoplastic agents, Self espand-able metallic stent, Cholecystectomy, 담낭암, 전이암, 항암치료, 자가확장금속스텐트, 담낭절제술
담낭암에 대한 다학제 치료
박창환 ( Chang-hwan Park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8] 제23권 제1호, 20~23페이지(총4페이지)
담낭암은 예후가 나쁜 암종이지만 초기에 수술 치료는 매우 효과적이며 진행된 병기라도 방사선 또는 항암 방사선 병합요법이 예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외과, 영상의학과, 방사선 종양학과, 병리학과, 내과 의사 간의 다학제 치료가 중요하다.
TAG Gallbladder neoplasms, Surgery, Chemotherapy, Radiation, 담낭 종양,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전암성 병변을 지닌 총담관의 이소성 병변
강민규 ( Min Kyu Kang ) , 김국현 ( Kook Hyun Kim ) ,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8] 제23권 제1호, 32~35페이지(총4페이지)
43세 남자 환자가 3일 간의 상복부 통증으로 본원에 입원하였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담도에 공기가 차있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내시경역행성담췌관조영술에서 십이지장 기형을 동반한 바터 팽대부와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가 나타났다. 담즙감압을 위해 바터 팽대부의 상부 언덕 부위에 있는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를 통해 플라스틱 스텐트를 삽입하여 증상 호전되어 퇴원하였다. 퇴원 2주 후에 황달의 악화로 재입원하였다. 플라스틱 스텐트 제거 후 이전 스텐트 삽입부 주위의 발적, 궤양이 관찰되어 생검을 시행하였다. 생검상 고도 이형성이 진단되었으며 휘플 수술을 받았다. 내시경적 생검은 이소성 총담관 개구부 및 주위 점막 이상을 지닌 환자에서 권장된다.
TAG Ampulla of Vater, Common bile duct, Duodenum, Endoscopic retrograde cholangiopancreatography, 바터팽대부, 총담관, 십이지장, 내시경역행성담췌관조영술
Comparison of Outcomes between 7-French and 10-French Plastic Stents for Patients with Biliary Tract Cancer
KyongJooLee ( 이경주 ) , YongSeokKang ( 강용석 ) , JaeHoSeong ( 성재호 ) , SaehyunJung ( 정세현 ) , JaeWooKim ( 김재우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65~171페이지(총7페이지)
Background/Aim: There is little data on whether plastic stents with a larger diameter are patent for longer than small stents in patients with bile duct canc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tent survival between 7-French (Fr) and 10-Fr plastic stents and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s...
TAG Biliary tract cancer, Stents, Survival, 담도암, 스텐트, 생존
항암화학 치료를 통해 병리학적 완전 관해에 이른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간내담관암
양효준 ( Hyo Jun Yang ) , 류지곤 ( Ji Kon Ryu ) , 백우현 ( Woo Hyun Paik ) , 이상협 ( Sang Hyub Lee ) , 김용태 ( Yong-tae Kim ) , 이경분 ( Kyoungbun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88~192페이지(총5페이지)
식후 소화불량 및 복통을 주소로 내원한 54세 여자 환자가 영상 검사 및 간조직검사를 통해 절제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간내담관암으로 진단을 받았다. 환자는 진단 이후 총 40주기의 gemcitabine 및 cisplatin 병합 항암화학요법 이후 수술적 절제가 가능하다고 판단되어 확대 간우엽절제술 및 간문맥 구역절제술을 시행 받은 뒤 병리학적 완전 관해로 판정되어 추가적 치료 없이 경과를 관찰하며 6년 이상 장기생존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절제가 불가능한 국소 진행성 간내담관암 또한 적극적인 항암화학요법을 통해 병리학적 완전 관해에 이르러 장기생존을 도모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향후 이와 비슷한 환자의 치료에 있어 최근 연구되고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AG 간내담관암, 담도, 항암화학요법, Bile duct cancer, Cholangiocarcinoma, Chemotherapy
약물 유발 급성 췌장염
김연석 ( Yeon Suk Kim ) , 조재희 ( Jae Hee Cho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53~157페이지(총5페이지)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은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다른 원인의 췌장염과 구분되는 특징적인 소견이 없고, 실제 약제와 췌장염의 상관 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어렵고, 상세한 병력 조사와 더불어 항상 약제 유발 가능성을 의심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의 첫 걸음이다.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은 기존 문헌 보고에서의 약제 투약 후 췌장염 발생까지의 잠복기와 재투약으로 인한 췌장염 재발을 기준으로 class I-IV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class I과 class II 약물의 경우 췌장염 발생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이들 약제를 중심으로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진다. 결론적으로, 임상의는 약물 유발성 급성 췌장염의 가능성을 주지하여야 하고, 특히 원인이 불명확한 급성 췌장염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다른 췌장...
TAG 췌장염, 약물, 처방, Pancreatiti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Prescriptions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급성 췌장염
박진명 ( Jin Myung Park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58~164페이지(총7페이지)
고중성지방혈증은 급성 췌장염의 원인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전체 급성 췌장염의 9% 정도가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HTG-AP의 임상 증상은 다른 원인에 의한 급성 췌장염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중증도(severity)가 더 심한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급성 췌장염 환자에서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1,000 mg/dL 이상으로 증가된 경우 HTG-AP 가능성이 매우 높고, 중성지방 수치가 500 mg/dL 이상인 경우 HTG-AP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당뇨, 음주, 비만, 임신, 고지혈증의 과거력 및 가족력은 HTG-AP를 시사하는 임상 소견으로 알려져 있다. 기본적인 치료는 다른 췌장염과 크게 다르지 않고 이에 더해 insulin 및 plasmapheresis가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으나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
TAG 고중성지방혈증, 급성 췌장염, 인슐린, 혈장분리교환술, Hypertriglyceridemia, Pancreatitis, Insulin, Plasmapheresis
Clinical Outcomes of Hospital-Acquired Acute Cholecystitis in the Elderly
JiHunBong ( 봉지훈 ) , DongKeeJang ( 장동기 ) , JunKyuLee ( 이준규 ) , YuJinKo ( 고유진 ) , ByoungYenKim ( 김병연 ) , SeongYeonPark ( 박성연 ) , JaeWooChung ( 정재우 ) , SangHyubLee ( 이상협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72~178페이지(총7페이지)
Background/Aim: Antimicrobials for nosocomial infections are generally chosen discriminately from community-acquired diseases from concerns for resistance to which the elderly are highly exposed. The elderly are affected frequently by acute cholecystitis (AC), for which appropriate antimicrobial the...
TAG Acute cholecystitis, Gallstones, Nosocomial infections, Antimicrobial resistance, Elderly, 급성 담낭염, 담석증, 병원내 감염, 항생제 내성, 노인
자연경과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으로 진행한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
한지수 ( Jisoo Han ) , 전제혁 ( Jae Hyuck Jun ) , 정경화 ( Kyung Hwa Jung ) , 정대현 ( Dae Hyun Jeong ) , 박재철 ( Jae Cheol Park ) , 노수민 ( Soomin Noh ) , 형례창 ( Li Chang Hsing ) , 김명환 ( Myung-hwan Kim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79~183페이지(총5페이지)
IgG4 연관 질환은 다양한 조직의 섬유 경화성 반응과 연관되어 IgG4 양성의 형질세포와 임파구가 침착되는 염증 반응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 침범 자가면역 질환이다. 이 중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은 IgG4 연관 질환의 담관 침범을 말한다.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에 대한 대부분의 증례 보고는 단기간의 임상 경과만을 보고하였고 이 단기간의 경과의 대부분은 스테로이드 치료 후 담도 협착과 황달의 호전을 보였다. IgG4 연관 경화성 담관염의 장기적 예후와 자연 경과는 아직 잘 보고되지 않았으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IgG4-SC 환자가 간경변으로 진행되었다는 보고는 없다. 저자들은 IgG4-SC 환자가 제대로 치료를 받지 않고 오랜 시간 지났을 때 자연 경과로서 비대상성 간경변으로 진행하고 더 이상 스테로이드에 반응하지 않은 1...
TAG 면역글로불린 G4, 간경변, 담관염, Immunoglobulin G4, Hepatic cirrhosis, Cholangitis
담석성 담낭염으로 오인된 담낭의 원발성 반지세포암 1예
은서준 ( Seo Joon Eun ) , 박상욱 ( Sang Wook Park ) , 조신형 ( Shin Hyoung Jo ) , 김현욱 ( Hyun Uk Kim ) , 문형철 ( Hyeong Chul Moon ) , 홍건영 ( Gun Young Hong )  대한췌장담도학회, 대한췌담도학회지 [2017] 제22권 제4호, 184~187페이지(총4페이지)
소화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반지세포암은 대부분은 위에서 발생하며, 담낭에서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1예만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는 58세의 남자가 5일 전부터 발생한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여 복부 전산화단층촬영과 복부 자기공명 담췌관 촬영술에서 담낭결석을 동반한 담낭염 및 담관 결석으로 진단되었다. 내시경 역행 췌담관 시술을 시행하여 담관석을 제거한 후 복강경하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담낭의 조직검사에서 반지세포암으로 진단되어, 항암 치료 및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았으나, 1년 후 전이성 병변 및 복수가 진행되어 현재 보존적 치료 중이다. 이에 저자들은 담낭염으로 오인된 담낭의 원발성 반지세포암 1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AG 담낭암, 반지세포암, 담낭, 급성 담낭염, 담관염, Gallbladder cancer, Signet ring cell carcinoma, Gallbladder, Acute cholecystitis, Cholangiti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