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89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Phosphorus and Base Cation Inputs through Litterfall Components in Pine Forests after Tree Removal Due to Pine Wilt Disease Disturbance
( Gyeongwon Baek ) , ( Seongjun Kim ) ,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296~301페이지(총6페이지)
TAG forest disturbance, litterfall, nutrient cycle, pine wilt disease, red pine
대추나무 품종 식별을 위한 ISSR 유래 SCAR 표지 개발
남재익 ( Jae-ik Nam ) , 김철우 ( Chul-woo Kim ) , 김세현 ( Sea-hyu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02~310페이지(총9페이지)
정확하고 신속한 품종식별은 효율적인 육종과 육종가의 권리 보호를 위하여 필수적이다. 대추나무 품종을 구분하는 전통적인 방법은 형태적 특성을 근거로 하지만, 시기적 제약과 환경의 영향으로 형태적 형질만을 이용하여 구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SR 분석으로 얻어진 단편을 복제하여 안정적인 식별을 위한 SCAR 표지를 개발하였다. 대리조와 보은대추 품종에서 특이성을 보이는 ISSR 밴드를 대상으로 정제, 복제,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827Dalizao550, 827Boeun750, 846Boeun700, 847Dalizao850로 명명된 4개의 클론을 확인하였다. 대추나무 품종 특이성 분석을 위한 4쌍의 SCAR 프라이머를 제작하였으며, 대추나무와 묏대추나무를 포함하는 32개체에 대하여 PCR 분석을 수행하였다. 827Dalizao...
TAG Ziziphus jujuba, jujube cultivar, ISSR derived SCAR marker, cultivar identification
GIS를 이용한 땅밀림지 특성 분석: 산지경사 및 산사태위험등급을 중심으로
박재현 ( Jae-hyeon Park ) , 서정일 ( Jung Il Seo ) , 이창우 ( Changwoo Lee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11~321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땅밀림위험등급을 구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땅밀림지의 평균산지경사는 23.8°(11.8°~37.0°), 땅밀림지 내에서 미세지형지의 평균사면경사는 23.5° (10.7°~41.5°)로 미소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땅밀림지 및 땅밀림 재발생지에서 땅밀림지 내 등고선 간격과 땅밀림지 내 미세지형지의 등고선 간격은 5%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산사태위험등급에 포함되지 않는 땅밀림지는 전체 땅밀림지 중 1등급이 14개소(약 38.0%), 2등급이 6개소(약16.0%), 3등급과 4등급이 각각 5개소(약 14.0%), 5등급이 16개소(약 43.0%), 산사태위험지등급 외 지역이 9개소(약 24.0%)이었다. 땅밀림지 중 산사태위험 1~5등급으로 지정되지 않은 면적 비율이 50.0% 이상인 지역은 8개소(약 2...
TAG slow-moving landslide, slow-moving landslide hazard classes, microtopography, landslide hazard class
개설시기에 따른 임도 노반의 지지력 변화분석
천형욱 ( Hyeong-uk Chen ) , 김동현 ( Dong-hyeon Kim ) , 이관희 ( Kwan-hee Lee ) , 김동근 ( Dong-geu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22~328페이지(총7페이지)
본 연구는 임도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상북도 영양군 임도를 대상으로 동평판재하시험(light drop weight test), 들밀도 시험 및 입도분석을 이용하여 개설시기 및 횡단위치별(성토부 차륜부(T0), 노면 중앙부(C), 절토부 차륜부(T1))에 따른 임도노반 지지력 분석을 실시하였다. 들밀도 및 입도분석결과, 들밀도는 2011년 개설임도가 2.0694 g/cm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2017년 개설임도가 1.7443 g/cm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입도분석은 2017년 개설임도에서 큰 골재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기가 늦어질수록 큰 골재의 비율이 줄어드는 경향을 나타냈다. 동평판재하시험결과, 2011년 개설임도 E<...
TAG forest road surface, bearing capacity, light drop weight test, four site, Evd
낙동강유역 불투과형 사방댐의 계류수 및 저류수 수질 특성 분석
( Qiwen Li ) , 유송 ( Song Eu ) , 이은재 ( Eun Jai Lee ) , 이예은 ( Ye Eun Lee ) , 김민식 ( Min Sik Kim ) , 임상준 ( Sang Jun 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29~340페이지(총12페이지)
불투과형 사방댐에 의한 수질오염 문제는 산림유역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하지만, 이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낙동강유역 사방댐을 대상으로 계류수와 저류수의 수질을 조사하였으며, 수질 특성과 유역의 물리적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전체 43개의 조사대상 사방댐 중에서 농업용수 등급이 하로 판정된 곳은 10%미만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수질은 양호하였다. 계류수 및 저류수에서 공통적으로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항목은 TOC와 산소요구량, SS와 탁도, SS와 Chl-a, Chl-a와 탁도 등이었다. 계류수에서 높은 상관성을 보인 항목들은 BOD와 SS, BOD와 Chl-a, BOD와 탁도, TOC와 Chl-a 등이었다. 이 연구의 결론은 사방댐 저류수의 수질이 대부분 양호하였고 저류수 수질이 유출수 수질에...
TAG check-dam, water pollution, water quality, contamination, correlation coefficient
반복세탁이 산림작업복 하의의 수축률에 미치는 영향
정응진 ( Eung-jin Jeong ) , 박수규 ( Su-gyu Park ) , 한상균 ( Sang-kyun Han ) , 차두송 ( Du-song Cha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41~348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체인톱에 의한 산림작업 안전사고 저감을 위하여 산림작업복 하의 4개 품목을 대상으로 작업복 17개 부위의 수축률을 측정하였다. 추가적으로 품목 및 반복세탁횟수에 따른 산림작업복의 하의의 적합성을 검토하고 반복세탁을 통한 산림작업복의 사용권장 기간을 제시하였다. 산림작업복 하의 4개 품목의 반복세탁에 따른 수축률 결과, 대부분의 품목이 세탁 20회에서 수축률 기준인 6%가 초과되는 부위가 1개소씩 발생하였으며, 가로방향 측정부위가 세로방향 측정부위보다 더 크게 수축되었다. 또한 산림작업복 하의 수축률의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반복세탁횟수(p<0.05)와 측정부위(p<0.05)로 나타났으며, 측정부위별 수축율에 있어서 총 5개 부위(a, b, g, j, n)가 반복세탁횟수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p<0.05) 나타났다. 따라서, 산림작업복 하의의...
TAG safety accident, chainsaw protective pants, shrinkage rate, repeated laundry, safety life cycle
편백림의 1차 솎아베기 방법에 따른 생장효과와 적절성 연구
박준형 ( Joon Hyung Park ) , 손영모 ( Yeong-mo Son ) , 이광수 ( Kwang Soo Lee ) , 박은정 ( Eun Jung Park ) , 정수영 ( Su Young Ju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3호, 349~35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전북 고창지역 편백 임분의 솎아베기 강도 처리 이후 해당 임분의 생장특성의 변화를 통해 시업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솎아베기는 2000년(22년생)에 시행하였고, 솎아베기 강도에 따라 극강도구, 강도구, 중도구, 약도구, 대조구 등 총 5가지 시험 처리를 하였다. 2018년까지 모니터링을 한 결과, 솎아베기 후 개체목의 흉고직경 및 재적 생장량은 솎아베기 강도에 정의 관계를 보였고, 임분 재적의 경우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형상비(H/D)는 흉고직경 생장량의 증가로 인해 약 70~80까지 낮아져 임목 형질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2018년 현재는 다시 증가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1차 솎아베기 직후 상대수확량지수(Ry) 0.75~0.95 사이로 나타나, 1차 솎아베기 적정 시기를 놓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
TAG thinning effect, thinning intensity, relative yield index, hinoki cypress, forest tending
Carbon and Nitrogen Distribution of Tree Components in Larix kaempferi Carriere and Quercus variabilis Blume Stands in Gyeongnam Province
( Choonsi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2호, 139~14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전북 고창지역 편백 임분의 솎아베기 강도 처리 이후 해당 임분의 생장특성의 변화를 통해 시업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솎아베기는 2000년(22년생)에 시행하였고, 솎아베기 강도에 따라 극강도구, 강도구, 중도구, 약도구, 대조구 등 총 5가지 시험 처리를 하였다. 2018년까지 모니터링을 한 결과, 솎아베기 후 개체목의 흉고직경 및 재적 생장량은 솎아베기 강도에 정의 관계를 보였고, 임분 재적의 경우 부의 관계가 나타났다. 형상비(H/D)는 흉고직경 생장량의 증가로 인해 약 70~80까지 낮아져 임목 형질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나, 2018년 현재는 다시 증가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1차 솎아베기 직후 상대수확량지수(Ry) 0.75~0.95 사이로 나타나, 1차 솎아베기 적정 시기를 놓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
TAG allometric equations, biomass, carbon and nitrogen stocks, Japanese larch, nutrient cycling, oriental cork oak
백두대간(깃대배기봉-죽령 구간) 마루금 주변의 산림식생구조
송주현 ( Ju Hyeon Song ) , 윤충원 ( Chung Weon Yu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2호, 147~16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백두대간 깃대배기봉∼죽령 구간의 마루금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식생유형분류를 실시한 후, 일치법과 CCA 분석을 통해 분류된 식생단위와 입지환경인자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종다양도 분석, 군락유사도와 DCA 분석을 통해 식생단위간 유사도와 군락의 통계적 거리를 고찰하며, 주요 목본 수종의 종간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산림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8년 4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298개소의 산림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분류 결과, 총 13개의 식생단위로 구분되었으며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으로 분류되었고, 신갈나무군락군은 산뽕나무군락, 터리풀군락, 쇠물푸레나무군락, 개벚지나무군락, 신갈나무전형군락으로 세분되었고, 산뽕나무군락은 물참대군과 산뽕나무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터리풀군락은 박새군, 새군, 터리풀전형군으로 세분되었으며,...
TAG phytosociology, coincidence method, CCA, species diversity, similarity index, DCA, interspecific correlation
대구시 자생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 구조 및 동태
김준수 ( Jun-soo Kim ) , 조준희 ( Joon-hee Cho ) , 김학윤 ( Hak-yun Kim ) , 조현제 ( Hyun-je Ch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 [2019] 제108권 제2호, 168~176페이지(총9페이지)
대구광역시에 자생하고 있는 모감주나무군락의 종조성과 구조 그리고 개체군 동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8년 7월에 자생 임분 3곳을 선정하여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매목조사를 실시하였다. 야외에서 수집된 식생 및 매목조사 정보를 바탕으로 종조성에 의한 군락 유형을 구분하고 그 유형별 계층구조, 구성 종의 상대 중요치, 생활형 조성, 종다양성, 그리고 개체군 구조 등을 분석, 비교하였다. 군락 유형은 참느릅나무-좀목형아군락, 광대싸리아군락, 그리고 사위질빵군락 등 3개 유형이 구분되고 그 식생단위체계는 1개 군락군, 2개 군락, 그리고 2개 아군락으로 정리되었다. 계층구조는 교목층의 높은 식피율(85% 이상)에 비하여 초본층은 10%이하로 매우 낮은 경향이었다. 구성종의 상대중요치(MIV)는 교목층 94.3, 아교목층 81.6, 관목층 75.5, 그리고 ...
TAG Koelreuteria paniculata, floristic composition, structure, dynamics, life form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