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류학회지140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멸종위기어류 미호종개 Cobitis choii (Pisces: Cobitidae)의 서식지 특징과 연령추정
고명훈 ( Myeong-hun Ko ) , 방인철 ( In-chul Ba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1호, 46~54페이지(총9페이지)
멸종위기어류인 미호종개 Cobitis choii의 서식지 특성과 연령 등의 생태적 특징을 밝혀 보전학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1년 금강 지류인 지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미호종개의 서식지는 하류부의 모래톱이 형성된 지역으로, 모래 입자 크기는 대부분 0.21~1.18mm(88.7%)로 작은 편이었다. 치어는 수심이 5~20 cm로 낮고 유속은 0~15 cm/sec로 느린 곳에 주로 서식하고 있었지만, 1년생과 2년생, 3년생 이상의 개체들은 공통적으로 수심 20~50 cm, 유속 10~25 cm/sec의 느린 여울부에 서식하고 있었다. 성장은 활동기인 4월부터 10월까지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나 월동기인 11월부터 3월까지는 성장을 멈추었다. 연령 (암컷)은 6월을 기준으로 만 1년생은 전장40~61 mm, 만 2년생은 ...
TAG Endangered fish, Cobitis choii, habitat characteristics, growth, age
남한강 수계 흑천에 서식하는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Pisces: Acheilognathinae)의 산란 특성
김형수 ( Hyeong Su Kim ) , 윤정도 ( Jeong Do Yoon ) , 양현 ( Hyun Yang ) , 최혜승 ( Hye-sung Choi ) , 이정호 ( Jeong-ho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35~243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2012년 1~7월까지 경기도 양평군 흑천 일대에서 한강납줄개의 산란 특성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한강납줄개는 물의 흐름이 느리고 달뿌리풀과 버드나무의 수생식물이 많은 곳의 모래와 뻘의 하상구조를 보이는 지점을 선호하였다. 연령은 6월 기준으로 13~22mm는 당년생, 체장 30~45mm는 만 1년생, 45~55mm는 만 2년생, 55~70mm 이상군은 만 3년생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조사기간 동안 암수 성비는 1 : 0.80로 나타났고 산란기는 3월부터 6월까지로 추정되었다 (수온 11.0~26.2℃). 한강납줄개는 작은말조개 Unio douglasiae sinuolatus에 비점착성 알을 산란하였고 확인된 알 및 및 자어수는 1~22 (5.8±5.51)개였다. 반새 위치에 따른 알 및 자어수는 왼쪽 외반새 1~9 ...
TAG Rhodeus pseudosericeus, Heukcheon, bitterling, population ecology, endangered species
한국고유종 돌마자의 난자형성과정
김재구 ( Jae Goo Kim ) , 류동석 ( Dong Suck Reu ) , 박종영 ( Jong Yo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52~257페이지(총6페이지)
잉어목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한국 고유종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난소 내 생식세포들의 형태학적 특징을 연구하기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자형성과정(oogenesis)은 크게 염색인기 (chromatin-nucleolus stage), 주변인기 (peri-nucleolus stage), 난황형성기 (vitellogenesis)의 난황포 및 난황구기와 성숙 (mature stage)의 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에는 배포가 크게 형성되며 실모양의 염색질이 산재되어 있다. 주변인기에는 핵 내에 산성의 인들이 핵막인근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난막 (egg envelope)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난황형성기의 난황포 단계에서는 세포질의 대부분이 ...
TAG Korean Endemic Species, Microphysogobio yaluensis, oocyte, oogenesis, Cyprinidae
여름철 동해 남부에 출현하는 청어 (Clupea pallasii) 유어의 일섭식 변동
박주면 ( Joo Myun Park ) , 허성회 ( Sung-Hoi Huh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67~271페이지(총5페이지)
본 연구는 여름철 동해 남부 연안에 출현하는 청어 유어 301개체의 일섭식율 변동을 조사하였다. 어류시료는 여름철에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소형 저인망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청어 유어의 공위율 (ratio of empty stomach), 만복도 (stomach fullness), 위내용물중량지수 (stomach contents index, SCI), 만복도지수 (stomach fullness index, IF)는 낮과 밤의 변화에 따라 뚜렷하게 변동하였다. 공위율은 밤에 높았지만, 다른 지수들은 낮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일몰 직전에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낮 동안 청어 유어의 위내용물은 요각류 (Copepoda)와 난바다곤쟁이류 (Euphausiacea)로 구성되어 있었고, ...
TAG circadian change, feeding activity, juvenile Pacific herring, East Sea, 일주기변동, 섭식강도, 청어 유어, 동해
한국산 쥐치과 어류 1미기록, Cantherhines pardalis
김맹진 ( Maeng Jin Kim ) , 한송헌 ( Song Hun Han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72~276페이지(총5페이지)
쥐치과에 속하는 Cantherhines pardalis 1개체 (표준체장 105.4 mm)가 2012년 6월 20일에 부산 연안에서 자망에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등지느러미 기조수 II, 34개를 갖는 점, 뒷지느러미 기조수 31개를 갖는 점, 가슴지느러미 기조수 13개를 갖는 점, 꼬리지느러미 미병부에 큰 가시가 없는 점, 첫 번째 등지느러미 극조 측면에 분명한 거치가 있는 점, 그리고 흉부 말단에 딱딱한 비늘이 돌출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이 종은 형태적으로 검은쥐치 (C. dumerilii)와 유사하지만 꼬리지느러미 비병부에 가시가 없어서, 2쌍의 가시를 가지는 검은쥐치와 형태적으로 쉽게 구분된다. 또한 유전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이 표본이 C. pardalis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에서 ...
TAG Monacanthidae, Cantherhines pardalis, first record, Busan, 쥐치과, 무늬쥐치속, 육각무늬쥐치, 미기록종, 부산
우리나라 남해와 서해에서 채집된 대구의 계수 형질 비교
곽우석 ( Woo-seok Gwak ) , 주형운 ( Hyeong-woon Joo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58~260페이지(총3페이지)
이번 연구는 남해 진해만과 서해 보령에서 채집된 대구 간의 계수 형질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2006년 1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경남 거제시 장목면 외포 위판장에서 210개체, 2007년 충남 보령시 수협 위판장에서 122개체를 채집하였다. 계수 형질인 대구의 척추 골수, 제1등지느러미 연조수, 제2등지느러미 연조수, 제3등지느러미 연조수, 제1뒷지느러미 연조수, 제2뒷지느러미 연조수, 가슴지느러미 연조수, 배지느러미 연조수, 새파수에서 두 해역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번 연구에서 대구의 계수 형질 분석 결과 진해만 대구와 서해 대구는 계수 형질에 있어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대구의 경우, 계수 형질은 계군 분석을 위한 분류 형질로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TAG Gadus macrocephalus, morphomeristic features, stock discrimination
한국산 쥐치과 미기록종, Thamnaconus tessellatus의 최초 보고
박정호 ( Jeong-Ho Park ) , 장서하 ( Seo Ha Jang ) , 김도균 ( Do Gyun Kim ) , 정재묵 ( Jae-Mook Jeong ) , 강수경 ( Sukyung Kang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77~281페이지(총5페이지)
복어목 쥐치과에 속하는 Thamnaconus tessellatus 1개체 (표준 체장 273.1 mm)가 제주도 서쪽 해역에서 외끌이중형저인망으로 어획되어 부산공동어시장에서 2015년 5월 30일에 채집되었다. 이 개체는 두부와 몸 모두 암갈색 점이 밀집하여 분포하고 꼬리지느러미 말단이 검지 않으며, 등지느러미 첫 번째 극조가 눈 중앙의 뒤쪽에서 시작하고 등지느러미 연조가 34~37개인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처음 보고되는 이 쥐치류의 국명으로 Yamada et al. (1995)에 따라 “남별쥐치”를 제안한다.
TAG Monacanthidae, Thamnaconus tessellatus, deep-water leatherjacket, new Korean record, Jeju Island, 쥐치과, 남별쥐치, 심해 쥐치류, 한국 미기록종, 제주도
섬진강에 서식하는 멸종위기어류 모래주사 Microphysogobio koreensis (Pisces: Gobioninae)의 산란특성
박종성 ( Jong Sung Park ) , 김형수 ( Hyeong Su Kim ) , 박종영 ( Jong Young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61~266페이지(총6페이지)
모래주사 Microphsygobio koreensis는 환경부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는 한국 고유종이다. 본 연구에서 모래주사의 산란시기와 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해 종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조사는 2011년 4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전북 임실군 신평면 덕암리에서 실시하였다. 자연 상태와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산란시기는 4~5월로 산란성기는 수온이 20~23℃인 5월초로 확인되었다. 산란시기의 수컷은 몸 전체가 밝은 주황색을 띄고 아가미 뒷부분에서부터 미병부까지 이어지는 중앙 줄무늬와 가슴지느러미 그리고 배지느러미가 붉어지는 특징을 보였고 추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암컷은 몸 전체가 어두운 갈색을 가졌다. 난소 내 포란수는 10,705~22,165 (15,573±4,274)개였고 성숙난의 수는 ...
TAG Microphysogobio koreensis, spawning period, spawning characteristics, nuptial color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사량넙치 Psettina tosana 자어의 분자 동정 및 형태 발달
지재민 ( Jae-min Ji ) , 유효재 ( Hyo-jae Yu ) , 황강석 ( Kang-seok Hwang ) , 박정호 ( Jeong-ho Park ) , 이정훈 ( Jeong-hoon Lee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4호, 244~251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2016년에 한국 남해에서 채집된 둥글넙치과 자어를 분자방법으로 동정하였으며, 자어의 크기별 외부 형태를 상세히 기술하였다. 채집된 자어 15개체 (3.53~19.49 mm 체장)의 mitochondrial DNA (mtDNA)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gene (COI) 434 bp의 염기서열을 비교한 결과, 모두 사량넙치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의 자어는 2개의 길게 연장된 등지느러미 기조를 가지며,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기저에 흑색소포가 일렬로 나 있는 반면 체측에는 흑색소포가 없었다. 성장하면서 체장에 대한 두장 및 두고의 비율이 증가 추세에서 감소 추세로 바뀌는 변곡점이 체장 9.93 mm~10.73 mm에서 확인되었다. 사량넙치 자어...
TAG Psettina tosana, larvae, molecular identification, morphological development
하절기 가두리양식 참돔의 절식에 따른 성장과 혈액성상의 변화
김원진 ( Won Jin Kim ) , 원경미 ( Kyoung Mi Won ) , 신윤경 ( Yun Kyung Shin ) , 이정용 ( Jeong Yong Lee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7] 제29권 제3호, 165~175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하절기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고수온, 적조와 같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상가두리 (6 m×6 m×6 m) 절식 사육을 통해 참돔의 생존율, 성장, 성장 회복 그 리고 생리반응을 조사하였다. 6주간의 절식 후 4주간의 먹이 공급을 통한 연구결과 생존율은 섭식구 94.4%, 절식구 98.1%로 나타났다. 체중 성장률은 절식구에서 -12.4±3.2% 성장을 보여 체중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지만, 먹이 공급 후 36.7± 6.8%의 빠른 성장 회복을 나타냈다. 혈액분석을 통한 절식구의 영양상태 또한 섭식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먹이 공급 후 개시 시 수준으로 빠르게 회복하였다. 또한 스트레스 지표를 분석한 결과 절식기간 섭식구의 Hb, Ht의 수치가 증가 하였으며, 섭식구의 급격한 혈액성상의 변화는 하절기 해...
TAG Starvation, re-feeding, growth, hematological characteristic, red seabream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