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14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정비 사업을 통해 본 경주 양동마을 전통조경 재료의 변화양상 - 1970년대 이후 마을 내 건축물 지붕 소재를 중심으로 -
김동현 ( Kim Dong-hyun ) , 이종성 ( Lee Jong-sung ) , 최종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50~57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경주 양동마을 건축물의 외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그간 수행되었던 조사사업 및 정비계획을 토대로 1970년대 이후 지붕재료의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70년대 양기와를 사용한 가옥의 비중이 와가와 유사하게 나타나며, 슬레이트 지붕이나 슬라브집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근대화·도시화에 의한 근대적 재료의 사용으로 마을 경관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977년 민속자료 보호구역 지정, 1984년 중요민속자료 지정에 따른 초기단계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보수정비 예산부족, 무분별한 보수 공사로 그 실효성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이전시기 초가의 감소, 양기와·슬레이트 등의 재료 사용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셋째,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
TAG 근대경관, 문화재 정비, 세계유산, 전통마을,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Modern landscape, Traditional Village, World Heritage
발굴유적 외부공간의 유형별 경관계획 및 조경시공 원칙 연구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58~6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적지 공간에서의 경관계획 및 시공기준에 대해 조경 분야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경관계획과 시공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적지의 유형은 보존상태 및 처리기법에 따라 분류되는데 보존 상태에 따른 분류는 건조물이나 구조물 등 지상에 노출된 유적과 매장문화재와 같이 지하에 매장된 유적, 유적에 대한 기록이나 명성이 전해져 오고 있으나 장소만 남은 유적 등으로 구분된다. 전시 처리기법에 따른 분류는 유적 주변을 격리하는 폐쇄와 유적 지상에서 관람할 수 있는 관통, 별도의 보호시설을 유적 위에 설치하는 중첩 등의 기법들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적지 관람 전시를 위한 조경계획의 원칙을 수립해보면, 유적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영역의 구분, 유적의 표면처리, 수목식재, 시설물 설치 등으로 구분된다. 유적은 원형의 공간...
TAG 원형보존, 조경계획 및 시공, 폐허의 장소, 흔적의 보호, Landscape planning and construction,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Protection of trace, The site of the ruins
창덕궁 전각권역의 해설 프로그램 개선에 관한 연구
김충식 ( Kim Choong-sik ) , 장지희 ( Jang Ji-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70~79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창덕궁의 전각권역을 대상으로 건축과 조경에 대한 해설 프로그램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과정에서 해설 현장에 연구자가 참여하여 2회의 녹취를 시행하였다. 녹취자료를 통해 해설 시간과 내용을 분석하고 사실성과 현장과의 연계성 등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도면과 현장조사를 통해서 해설 및 관람 동선을 파악하고, 주요 시설물의 위치와 현황을 분석하였다. 현장조사와 분석을 통해서 건물과 이와 관련된 인물, 역사에 관한 사실과 일화가 해설에 담겨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설은 1시간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러나 해설 동선에 따라 배치된 건물과 외부공간 특히 전통조경시설에 관한 해설이 매우 부족함을 발견하였다. 또한 해설과 관람 개방이 필요한 구역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분석을 기반으로 해설 프로그램의 개선안을 작성하였다. 해설지점...
TAG 소요시간, 이동 동선, 장소성, 전통조경시설, 해설사, Commentator, Movements, Placeness, Required Time, Traditional Landscape Facilities
익산 무왕길 탐방프로그램 이용자의 인식에 대한 연구
박율진 ( Park Yool-j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80~93페이지(총14페이지)
‘무왕길을 찾아 떠나는 여행’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탐방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대부분 자녀교육이 단초가 된 것으로 나타났다. 탐방시설 이용에 따른 지원 및 개선사항으로 걷는 길에 대한 안전성 확보와 안내시설물 보강 및 재정비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 탐방로 프로그램 운영관리에 대한 항목에서는 프로그램 내용이 충실하게 된 점을 높이 샀다. 그러나 최근 발굴된 정원 유적 등의 결과를 담지 못한 점에 대해 아쉽다는 의견이 많았다. 따라서 백제 정원유적으로 확실히 되는 왕궁리 산 80-1번지를 중심으로 내부 프로그램을 보강할 필요성이 있다. 그리고 백제문화권이 보유하고 있는 역사문화 및 환경의 가치를 보존하여 지역역사와 정원문화를 체험하는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일상에 지친 사람들에게 여유를 찾게 하는...
TAG 무왕길, 왕궁리 유적, 정원문화, 지역역사, 탐방 프로그램, Garden Culture, Local History, Muwang-gil, Tour Program, Wanggung-ri Archaeological Relics
SNS 사진과 사진측량을 이용한 정원유산의 3차원 형상 재현 가능성 연구 - 명승 제40호 담양 소쇄원(潭陽 瀟灑園)을 대상으로 -
김충식 ( Kim Choong-sik ) , 이상하 ( Lee Sang-ha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94~104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사진측량 기술을 과거의 촬영된 사진들에 활용하여 정원유산의 원형 재현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공물과 자연물이 혼재되어 입체 형상 재현 가능성 검토에 적합한 담양 소쇄원(명승 제40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소쇄원에서 근거리와 원거리의 360° 전방향에서 장애물이 없어 촬영이 가능한 조경시설물인 매대(梅臺), 애양단(愛陽壇), 오곡문(五曲門) 담장, 약작(略彴)과 자연경물인 광석(廣石) 5개 조경요소를 선정하였다. 인터넷 포털에서 5개 조경요소에 대해 촬영날짜, 초점길이, 노출 등의 정보가 포함된 151장의 사진을 수집하여 촬영구도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사진들은 요소별로 특정한 구도에서 집중적으로 촬영되는 경향을 발견하였다. 또한 조경요소별로 이용자들이 선호하는 2~3개의 촬영구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조경요소별로 빈도가 높은 촬영구도 ...
TAG 복원, 블로그, 역사정원, 촬영, 측량, Blogs, Historical garden, Measure, Photography, Restoration
3D 스캔 분석을 통한 전통조경 계획 및 설계 활용방안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105~112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조경계획 및 설계 분야에 3D 스캔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연구로 전통조경공간 계획설계에 대한 디지털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담양 소쇄원과 성락원을 대상으로 3D 스캔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 스캔을 통한 전통정원의 실측 결과 각 관측지점에서 취득한 점 데이터를 기반으로 좌표값의 병합, 데이터의 후처리 과정을 통해 ±3-5㎜ 오차의 정밀한 3차원의 모델링을 구축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3D 측량 결과 소쇄원의 경우는 제월당, 광풍각과 주변의 담장과 석축, 애양단 담장 등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얻었으며 성락원은 영벽지 일대의 지형과 바위각자, 송석정 일대의 암반부와 수로 주변에 대한 측량 데이터를 얻었다. 위의 자료들은 정원의 변화모습도 모니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3D 스캔을 통해 구축된 공간정보는 정밀...
TAG 성락원, 소쇄원, 실측, 조경설계 활용, 프로그래밍, Actual Survey, Programming, Seongrakwon Garden, Sosweawon Garden, Use of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안제준 ( Ahn Je-jun ) , 박율진 ( Park Yool-j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113~12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치료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훈련받은 치료사(Horticultural Therapist)가 실시하는 원예활동에 대상자가 참여하는 치료(Therapy)의 공간으로서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원예치료는 대상자의 치료를 위한 ‘의학모형’이며 원예치료정원은 대상자와 원예치료사의 활동을 기능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특성화된 공간임을 기본 전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의도적 표집에 의해 모집된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3차례의 델파이(Delphi)기법과 AHP기법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원예치료정원의 성능개선을 위한 평가지표를 도출하였고, 각 평가지표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여 평가항목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예치료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공무...
TAG 원예치료, 원예치료정원, 치유적환경, 치유정원, Enabling Garden, Healing Garden, Horticultural Therapy Garden, Restorative Landscape, Therapeutic Landscape
한국의 차문화공간과 다원(茶苑)에 관한 연구
( Rho Jae-hyun ) , ( Jang Hye-young ) ,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8] 제16권 1~13페이지(총13페이지)
다수의 차문화 관련 사료에도 불구하고, 자연친화적 정원문화 특성으로 인해 한국에는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현존하는 다원이 드물며 그나마도 정리된 자료조차 빈약하다.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연구를 통해 한국 차문화를 개관하는 한편 대표적 다정에 대한 입지와 공간 및 시설 특성을 고찰하였다. 음다(飮茶) 주체는 승려를 비롯하여 대부분 선비 혹은 문인 사대부로 문예활동(文藝活動), 수신(修身), 망중한(忙中閑), 은일(隱逸)등의 행위와 사상이 내포되어 있으며 한국의 사찰이나 부속 암자에서는 일본의 다옥(茶屋), 다정(茶庭)과 달리 차를 마실 수 있는 음다공간(飮茶空間)을 별도로 마련하지 않고 간단한 다구(茶具)를 활용하여 자연을 관망하며 자연에 동화될 수 있는 실외원(室外苑)을 찻자리로 택하였다. 조선시대에는 특히 차를 즐기면서 시를 읊은 풍류적인 지식인이 많았...
TAG 다산초당, 문화경관, 일지암, 차문화공간, 활래정, Cultural Landscapes, Dasanchodang, Hwallaejung, Iljiam, Tea Culture Space
전통 원림의 세계유산 문화경관적 가치 -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서의 보길도 윤선도 원림을 대상으로-
( Jung Hae-j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8] 제16권 14~27페이지(총14페이지)
보길도 윤선도 원림(명승 34호)은 자연경관과의 종교적·예술적·문화적 결합양상과 자연조화미가 잘 드러나는 대한민국의 대표정원 유적이다. 본 연구는 분명히 규정된 경관으로서 보길도 윤선도 원림의 ‘문화경관’적 정체성과 가치를 염두에 두고 세계유산 등재기준의 정당성 제시, 대상 범위 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길도 윤선도 원림을 세계유산 문화경관적 관점으로 재평가하며, 아울러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 입증해야 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증명하기 위한 조건인 ① 10가지 가치 평가 기준, ② 진정성, ③ 완전성, 그리고 ④ 보호관리체계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보길도 윤선도 원림과 완도의 경관자원이 세계유산 문화경관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세계유산 등재 기준에 따라 이들 자원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가 인정되어야 한다. 원림은 세계유...
TAG 명승, 문화경관, 세계유산, 원림, 윤선도, 탁월한 보편적 가치, Cultural Landscape, Landscape Garden, OUV, Scenic Site, World Heritage, Yun Seon-Do
문화경관의 보존을 위한 유형체계의 구성과 적용사례
( Kim Soon-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018] 제16권 28~3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역사경관 중 문화경관의 성격을 지니는 문화유산을 현행 문화재보호법 아래에서 어떻게 보존할 수 있을지에 대한 방안으로서 문화경관으로서의 성격에 맞는 보존·관리 및 활용방안의 적용을 위하여 문화경관에 대한 보존과 관리에 적합한 유형 체계를 수립하고 수립한 유형체계의 적용을 통해 추후 문화경관의 유형체계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문화경관의 보존을 위한 유형체계 구성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유형별 실질적인 보존을 위한 방법의 차이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4개의 범주로 구성된 유형체계는 지금까지 제안된 다른 유형체계와는 달리 각 유형별 문화경관의 중점적인 보존과 관리를 위한 대상 및 방법을 분명하게 밝힘으로서 유형별 보다 실질적인 보존방안의 차이를 인식시킨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실제 보존·관리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TAG 명승, 보존관리, 역사경관, 지정문화재, Conservation and Management, Historic Landscape, Scenic Site, State-designate Heritag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