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식물분류학회 AND 간행물명 : 식물분류학회지11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New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for the endangered fern Ceratopteris thalictroides (Parkeriaceae)
( Won-bum Cho ) , ( Eun-kyeong Han ) , ( Myounghai Kwak ) , ( Jung-hyun Lee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2호, 129~133페이지(총5페이지)
TAG Ceratopteris thalictroides, conservation, microsatellite markers
Comparative achene morphology of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and related taxa (Polygonaceae)
( Min-jung Kong ) , ( Suk-pyo Hong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2호, 134~142페이지(총9페이지)
TAG achene morphology, micromorphology, SEM, pericarp, Persicaria section Cephalophilon
눈개승마속(장미과)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 및 분류학적 유용성
옥민경 ( Min-kyeong Oak ) , 송준호 ( Jun-ho Song ) , 홍석표 ( Suk-pyo Hong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2호, 143~152페이지(총10페이지)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 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7.50-16.99 μ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13.47 μ...
TAG 잎 표피세포, 기공복합체, 선모, 눈개승마속, 장미과, leaf epidermal cell, stomata complex, glandular trichome, Aruncus, Rosaceae
Pimpinella saxifraga (Apiaceae): A new record from Jejudo Island, Korea
( Chunghee Lee ) , ( Yujin Song ) , ( Yun-chang Jeon ) , ( Hee-young Gil ) , ( Seon-hee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43~47페이지(총5페이지)
눈개승마속 2종 5변종등 7분류군의 잎 표피 미세형태학적 형질에 대한 분류학적 유용성을 검토하고 자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하여 관찰하고, 기재하였다. 본 속에 속하는 모든 분류군에서 기공복합체(stomatal complex)는 배축면에만 기공이 존재하는 이면기공엽(hypostomatic type)이었으며, 표피세포는 양면 모두에서 동일하게 파상형(undulate)의 수층벽(anticlinal wall), 매끈하고, 편평한 병층벽(periclinal wall)이 나타났다. 기공복합체의 크기는 8.95-21.97×7.50-16.99 μm로 분류군마다 다소 차이를 보이는데, Aruncus dioicus var. astilboides (평균 18.01×13.47 μ...
TAG Pimpinella saxifraga, Apiaceae, Jeju Island, cinder cone, invasive species
소구상체(Orbicules)의 계통분류학적 검토
문혜경 ( Hye-kyoung Moon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9~23페이지(총15페이지)
Orbicule(소구상체)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6속 11분류군과 마편초과 3속 4분류군의 약벽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현화식물 내 소구상체의 분포가 갖는 계통분류학적 유용성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꿀풀과 분류군들에서는 모두 소구상체가 관찰되지 않았고, 마편초과 분류군들에서는 평균 1 μm 이하, 구형의 소구상체들이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 수준에서 일관성 있는 소구상체의 분포 특징은 현화식물 전체 orbicules에 대해 조사된 150과 중 123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소구상체의 분포 유형 자체가 분류학적 예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단...
TAG orbicul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apetum type, angiosperms, 소구상체, SEM, 융단조직 유형, 현화식물
Divergence time estimation of an ancient relict genus Mankyua (Ophioglossaceae) on the young volcanic Jejudo Island in Korea
( Hee-young Gil ) , ( Seung-chul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1~8페이지(총8페이지)
Orbicule(소구상체)의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꿀풀과에 속하는 6속 11분류군과 마편초과 3속 4분류군의 약벽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현화식물 내 소구상체의 분포가 갖는 계통분류학적 유용성 및 융단조직 유형과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꿀풀과 분류군들에서는 모두 소구상체가 관찰되지 않았고, 마편초과 분류군들에서는 평균 1 μm 이하, 구형의 소구상체들이 조밀하게 분포하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 수준에서 일관성 있는 소구상체의 분포 특징은 현화식물 전체 orbicules에 대해 조사된 150과 중 123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소구상체의 분포 유형 자체가 분류학적 예견적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단...
TAG Mankyua chejuense, monotypic genus, Jejudo Island, molecular dating, Ophioglossaceae
압해도(전라남도 신안군)의 식물상
현진오 ( Jin-oh Hyun ) , 나혜련 ( Hye Ryun Na ) , 김연수 ( Yeonsu Kim ) , 한병우 ( Byungwoo Han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65~99페이지(총35페이지)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압해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 식물에 대해 논의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총 28일간 현지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압해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4속에 속하는 413종 6아종 30변종 2품종 등 총 4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은 왕자귀나무, 병아리다리, 성주풀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1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6분류군 등 총 5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좀땅비싸리, 해변싸리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등을 포함하여 총 5...
TAG Aphaedo Island, flora, endangered and rare plants,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endemic plants, naturalized plants, 압해도, 식물상,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특산식물, 귀화식물
Floristic study of bryophytes in a subtropical forest of Nabeup-ri at Aewol Gotjawal, Jejudo Island
( Eun-young Yim ) , ( Hwa-ja Hyun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100~108페이지(총9페이지)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압해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 식물에 대해 논의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총 28일간 현지조사를 통해 확보된 표본에 근거하여 식물목록을 작성한 결과, 압해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102과 294속에 속하는 413종 6아종 30변종 2품종 등 총 451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이 중에서 멸종위기 및 희귀식물은 왕자귀나무, 병아리다리, 성주풀 등 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V등급 4분류군, IV등급 6분류군, III등급 19분류군, II등급 4분류군, I등급 26분류군 등 총 59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특산식물은 새끼노루귀, 좀땅비싸리, 해변싸리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생태계교란식물인 애기수영, 미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등을 포함하여 총 5...
TAG bryophyte, Aewol Gotjawal, liverwort index, life-form
양지꽃속(장미과)의 신종: 백두산양지꽃(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
조현 ( Hyun Jo ) , 신창근 ( Changkeun Shin ) , 서은경 ( Eunkyoung Seo ) , 김무열 ( Muyeol K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37~42페이지(총6페이지)
백두산에서 양지꽃속의 신종인 백두산양지꽃(Potentilla baekdusanensis M. Kim)을 새로이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백두산양지꽃은 잎이 우상복엽이며 엽신과 엽병에 털이 있고 3개의 상부 소엽이 하부 소엽보다 크며 포복경이 없어 양지꽃과 유사하다. 그러나 백두산양지꽃은 식물체가 소형이고 짧은 누운 털이 있으며 근생엽이 7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고 하부 소엽이 작으며 소엽가장자리에 털이 없고 꽃잎 기부에 황적색의 무늬가 있다. 반면에, 양지꽃은 식물체가 대형이고 긴 곧은 털이 밀생하며 근생엽이 9-15장의 소엽으로 이루어졌고 하부 소엽이 크며 소엽가장자리에 긴털이 밀생하고 꽃잎 기부에 황적색의 무늬가 없는 점에서 두 종이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TAG Potentilla baekdusanensis, P. fragarioides, new species, Rosaceae, Baekdusan Mt., 백두산양지꽃, 양지꽃, 신종, 장미과, 백두산
한라분취의 분류학적 인식
김별아 ( Byeol-ah Kim ) , 선은미 ( Eun-mi Sun ) , 윤선아 ( Seon-ah Yun ) , 김승철 ( Seung-cheol Kim ) , 임형탁 ( Hyoung-tak Im )  한국식물분류학회, 식물분류학회지 [2018] 제48권 제1호, 24~36페이지(총13페이지)
한라분취(Saussurea maximowiczii var. triceps)의 분류학적 실체에 대해 형태 및 분자적 접근을 했다. 줄기 길이, 잎의 크기와 같은 영양기관의 정량형질에서 한라분취가 버들분취(S. maximowiczii Herd.)보다 작은 경향이 있으나, 이는 연속적 변이이다. 소화, 총포를 비롯한 생식기관 성질에서 한라분취와 버들분취는 구별할 수 없었다. 버들분취와 한라분취의 염기서열을 확인한 결과 이들은 단계통을 이루었다. 한라분취는 강풍에 면한 한라산 고산지대에 적응한 버들분취의 생태표현형으로 추정된다.
TAG Saussurea triceps, ecophene, highland, Jejudo Island, 한라분취, 생태형, 고지, 제주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