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AND 간행물명 : 통합교육과정연구2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KDB 모형에 기초한 간학문적 통합 단원 설계: 2009 개정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박일수 ( Ilsoo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2호, 29~51페이지(총23페이지)
우리나라에 KDB 모형에 대한 이론이 소개되어 있으나, 이에 기초하여 간학문적 통합단원을 설계한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단위 학교의 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간학문적 통합 단원을 설계한 사례를 제공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이 연구는 KDB 모형에 기초하여 간학문적 통합 단원을 설계하였다. 2009 개정 초등학교 4학년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스캔하고 클러스터한 결과, 국어, 도덕, 사회, 음악, 체육,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공통적으로 간학문적 개념(K)으로 ‘상호의존성’, 간학문적 기능(D)으로‘협력’, 인성 요소(B)로 ‘배려하는 사람’을 다루고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세 가지 KDB 요소에 기초하여 “우리가 꿈꾸는 세상”이라는 간학문적 통합 단원을 설계하였다. 이 연구가 간학문적 통합 단원을 설계하려는 교사 및 예비교사...
TAG KDB 모형, 간학문적 통합, 백워드 설계 모형, 통합교과, 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 통합, KDB model, Drake, backward design,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integrated curriculum unit, curriculum design
범 교과 학습주제의 한계 논의
왕관은 ( Guan En Wang ) , 박창언 ( Changu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2호, 53~7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운영상의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교육현장에서 범교과 학습주제가 제대로 운영되기 위해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 있는 것이다. 이들 논의를 위해 우선 범 교과 학습 주제의 배경과 관점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다음으로 범 교과학습 주제의 적용 경로로 법령과 국가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국가 교육과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범 교과 학습 주제의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당화와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범 교과 학습 주제의 성격을 명료히 하고,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이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추가적으로 제시한다고 하더라도, 법률 규정에 의한 범 교과 학습 주제에 대한 사항은 교육현장 운영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그래서 교육에서 국가의 통제와 단위학교의 자율의 갈등이 문제가 아니라, 입...
TAG 범교과 학습주제, 통합 교육과정, 국가 교육과정, 학교 자율성, 입법적 통제, cross curricular themes, integrated curriculum, national curriculum, autonomy of school, legislative control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 탐구를 위한 제안
이한나 ( Hanna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2호, 71~92페이지(총22페이지)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 과정 탐구를 위한 연구 방법과 그것을 기반으로 한 연구 절차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교사가 내러티브적 지식을 생성하는 것은 자신의 경험에 대해 내러티브적으로 사고할때 가능한 것이기에 교사가 자신의 경험에서 지식을 생성해내는 일은 내러티브 탐구에서 내러티브 탐구자가 하는 일과 비슷한 일이라는 점에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를 기반으로 교사가 하는 일이 내러티브 탐구자가 하는 일과 같은 일임을 전제하는 연구자의 관점에 맞게 연구자와 참여자의 역할을 설정하고, 연구 과정을 설계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례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자가 탐구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낼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 연구자가 구상한 연구 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연구...
TAG 교육과정 지식, 내러티브적 지식, 내러티브적 사고, 내러티브 탐구, curriculum knowledge, narrative knowledge, narrative thinking, narrative inquiry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로서 경험하는 영어 수업 속 식민주의
민성은 ( Sungeun Min ) ,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2호, 93~123페이지(총31페이지)
이 글은 초등학교 영어전담교사의 개인적인 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학교 영어 교육에 포함된 식민성을 이해하고, 대안적 관점과 접근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쳤던 일련의 시간을 통해, 영어 전담교사로서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높이는 것이 아닌 영어를 둘러싼 서구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자연스럽게 학생들에게 내면화 시키고 있었던게 아닌가 하는 자성에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생과의 생활 속 다양한 장면들의 이야기, 기억자료, 심층 면담 등을 통해 영어 식민성에 관한 요소들을 추출하여 주제화 시켰다. 이러한 연구 과정들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수업을 진행하고 문화를 전달하는 교사 연구자의 사고 속에 영어를 우월한 언어로 여기는 식민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사고는 교사의 의식적, 무의식적 발언,...
TAG 영어 교육, 식민주의, 자문화기술지
2015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일 고찰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1호, 1~18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2015 바른 생활과 교육과정, 슬기로운 생활과 교육과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을 개정하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초등통합교과교육과정의 역사에서 진일보하는 개정이 되기 위해서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지난 5번의 국가수준의 통합교과 교육과정 어떤 모습으로 발전하고 성장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기초로 2015 개정 초등통합교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서 고려해 볼 점을 주로 2009 개정으로 인한 변화를 보완 정교화 하는 방향에서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대주제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둘째, 바ㆍ슬ㆍ즐 교과의 내용 및 필수학습 요소 구축이 필요하다.
TAG 초등통합교육과정, 국가교육과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integrated subject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national curriculum, disciplined life, intelligent life, pleasant life
통합교과 교과서 외적 요소의 변천
이희정 ( Hee Jung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1호, 19~42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4차에서 2009개정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에 의거 편찬한 통합교과 교과서의 외적 요소가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에 기초해서 차기 통합교과 교과서 개발에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교과서 외적 요소란 ⓐ 분책, ⓑ 판형, ⓒ 지질과 색도, ⓓ 게재물의 형태를 포함한다. 연구 결과, 첫째, 분책은 4차부터 2007개정까지 바른생활과 보조교과서, 슬기로운 생활과 보조교과서, 즐거운 생활을 각각 학기별로 1권, 2009 개정은 주제별 교과서를 학기별로 4권 개발하였고, 보조교과서는 5차 바른생활과와 슬기로운 생활과에서 처음으로 개발하였는데, 슬기로운 생활과의 관찰은 5차에서만, 바른생활과의 바른생활이야기는 5, 6차, 생활의 길잡이는 7차와 2007 개정까지 유지했다. 즉, 매학기 5권~4권 분책...
TAG 통합교과 교과서, 교과서 외형, 교과서의 외적 체제 요소, integrated subject textbook, the appearance of textbooks, the external elements of textbooks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 기술
정미향 ( Mi Hyang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1호, 43~6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개발하는 ‘교사의 교육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초등학교 동학년 교사들이 한 학기 교육과정을 어떻게 개발하는지를 보여주는 데 있다. 이를 위해 3년 동안 교육과정을 함께 개발해 온 S초등학교 4학년 동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공동으로 작업한 교육과정 회의에 참여하면서 협의 과정 동영상 및 교육과정 문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학년을 중심으로 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개발되었다. 하나의 주제를 중심으로 여러 교과를 통합하여 가르치는 프로젝트 교육과정을 우선적으로 편성하고, 프로젝트에 포함되지 않은 교과 단원들을 대상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학기 교육과정 계획표에 기록하였다. 이처럼 S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살펴본 결과...
TAG 교사의 교육과정, 초등학교 동학년 교육과정,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편성, teachers` curriculum, Same Grade Level Teachers` Curriculum Development, curriculum development
시선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교과서 읽기 스타일 연구
정선미 ( Sun Mi Jeong ) , 강충열 ( Chong Youl Ka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1호, 69~88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교과서를 읽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시선 분석을 통해 초등학생의 교과서 읽기 스타일을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구체적 실행을 위해 초등학교 1학년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시선 추적 장치(Tobii X2-60)를 통해서 통합 교과서(가을 1-2)를 읽는 동안의 시선 영상을 촬영하여 시선측정율과 시선 이동 경로, 시선 응시 시간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교과서를 읽는 학생들의 시선측정율 전체평균은 56.61%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 게재물간 시선 이동의 순서와 방향은 그림, 사진, 통합텍스트 그리고 텍스트 순이었다. 하지만 교과서에서 응시하지 않은 게재물들도 있었다. 셋째, 교과서 게재물 중 텍스트와 그림을 혼합한 ‘통합텍스트와 지시문’에서 전체응시시간이 가장 길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
TAG 교과서, 초등학생, 시선추적, textbook, elementary school students, eye-tracking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 분석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5] 제9권 제1호, 89~114페이지(총26페이지)
현재 우리나라에는 13개의 대학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양성하고 있으며, 이들 대학의 교육과정 문서는 교양과정, 교직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으로 구분되어 있다. 물론, 이들 대학의 교육과정은 기본적으로 교육부가 마련하는 법규와 정책에 바탕을 두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교양과정을 제외한 나머지 세 가지 과정의 세부 영역과 그 속에 포함될 강좌 및 이수 학점을 법률로 규정해 놓고 있다. 이 글에서는 교육부의 그 법규 및 정책과 그것에 근거한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교육과정을 교차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 대학이 배당하는 교직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의 학점은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둘째, 교직과정과 전공과정의 세부 영역 및 강좌명은 법규 및 정책과 현실 사이에 다소간 거리가 있었다. 그 거리를 좁히는 일은 한편으로 대학이...
TAG 초등교사, 교육과정, 교양과정, 전공과정, 교직과정, 심화과정, elementary school teacher, curriculum, general education course, teacher training course, major course, specialization course
통합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활동의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구현 양상
김민하 ( Min Ha Kim ) , 성기련 ( Ki Ryun Su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4] 제8권 제4호, 1~33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에서는 2009 개정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이 통합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국악 관련 활동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개선점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통합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관련 활동 중에는 성취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이있었다. 주제와 제재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취 기준에 부합하는 활동을 구성해야 하며,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여러 가지 활동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성취 기준의 보완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즐거운 생활’과에서 중점을 두고 있는 ‘놀이하기, 나타내기, 모방하기, 감상하기, 공연하기’의 5가지 표현 기능에 대한 안내나 지침을 마련하여 활동 주제 및 성취 기준에 적합한 표현 기능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악 관련 활동은 공연하기 표현 기능을 제외한 4가지 표현 기능을 중심으로 구성되...
TAG 즐거운 생활과 교육과정, 통합교과서, 국악 관련 활동, 통합교과, "Pleasant Life"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 textbooks, activities related to Korean music, integrated subject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