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유아교육연구21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미치는 영향
엄정애(Jung Ae Ohm)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3호, 195~21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극놀이 환경 내 놀잇감의 구조성이 사회적 극 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상호주관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유아의 연령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전시에 위치한 W유치원의 만 3세와 만 5세 유아 각각 24명씩 총 48명이었다. 연령별로 동성 2명씩 한 집단을 이루어 놀잇감이 놓여있는 상황 - 에서 각각 20분씩 놀이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놀잇감의 구조성에 따라 사회적 놀이구조와 협상행동 유형은 차이가 있었으며, 이 차이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에게 사회적 극놀이를 통해 상호주관성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유아의 연령에 따라 놀잇감의 구조성을 잘 조정해주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Jigsaw - I 협동학습 전략을 적용한 유아 신체표현활동 프로그램의 지연된 자아존중감 증진 효과 연구
정계숙(Kai Sook Chung),이성애(Sung Ae Lee)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3호, 217~235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협동학습의 Jigsaw-I 전략을 적용한 신체표현활동 프로그램이 종료 6개월 후에도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그 지연된 효과를 밝히고, 본 프로그램의 대상 적합성을 결정하는 요인을 찾기 위하여 유아의 성과 사전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의 지연된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서로 다른 유치원의 두 학급을 실험 및 통제집단에 배정하여, 각각 40명씩 총 80명(남아 45명, 여아 35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척도로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본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지연된 효과가 있었다. 유아의 성에 따라 사전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없었으나, 남아는 인지능력 면에서 지연된 효과를 보였다. 여아의 사전 자아존중감 수준에 따라 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영아 참여수준에 대한 기초 연구 - 교사와 교수유형과 영아의 월령 , 기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이경옥(Kyung Ok Lee),이근영(Keun Young Lee)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3호, 237~25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영유아의 `참여` 개념을 소개하고, 영아의 참여수준을 관찰,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수행되었다. 관찰에 기초한 영아 참여수준 평가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영아발달 프로그램을 실시 중인 8-17개월의 영아 31명을 대상으로 영아의 참여수준을 관찰하였다. 관찰자 3인의 영아의 참여수준에 대한 평정 결과는 적절한 일치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 영아의 참여 기회를 허용하는 교수 유형에서는 높은 수준의 영아 참여가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월령과 기간에 따라 나타난 영아 참여수준의 차이는 영아 참여수준 평가기준이 프로그램의 질을 평가하는데 적절함을 보여주고 있다.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 선정과 투자 방안
나정(Jung Na),박은실(Eun Sil Park)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7~2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교육복지를 실현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투자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이다.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유아교육 수혜율, 인구 증감율, 재정 자립도의 기준을 채택하였다. 지역 선정 기준을 충족하는 정도에 따라서 180개 지역 교육청을 분류하여 네 가지 유형, 40개 지역의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을 선정하였으며 방문 면담을 통해 확인한 지역의 특성별 투자 방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유아교육 투자 우선 지역의 합리적 선정과 효율적 투자를 위한 제안으로 지역적 특성의 적극적 반영, 저소득 읍·면 지역에 대한 공립 유아교육 시설의 확대, 사립 유아교육 기관에 대한 지원, 사설 학원에 대한 정비와 장학,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각종 편의 시설 제공 등의 운영 방안을 제안하였다.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간의 구조 분석
우수경(Soo Kyeong Woo),최기영(Kee Young Choi)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29~55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능력과 관련변인들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구조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정서능력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기질,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며,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유아의 기질과 인지능력, 어머니, 아버지 및 교사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정서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적인 영향 경로에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잠재변인간의 직·간접적 영향에 의해 유아의 정서능력의 55%가 설명되었다.
아동의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박진재(Jin Jae Park),이은해(Un Hi Rhee)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83~11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아동의 또래관계를 돕기 위한 사회적 기술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고안한 것이다. 또래수용도가 학급 내 하위 25%에 속하는 만 5세 아동 32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16명씩 무선 배정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하였고, 실험집단에는 연구자가 개발한 중재 프로그램을 15회 실시하였다. 중재는 이야기 나누기와 역할극, 언어활동과 게임, 미술 작업의 형태로 코칭과 소집단 협력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 행동관찰과 사회성 측정 검사 결과, 또래 상호작용 행동 그리고 또래수용도 측면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그 차이가 중재가 끝난 10주 후에도 계속 유지됨으로써 본 연구의 중재 프로그램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고 또래수용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성공적 실천의 방해요인에 관한 연구
유수옥(Soo Ok Yoo),박현주(Hyun Ju Park),박랑규(Rang Gyu Park),강우선(Woo Sun Kang)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111~13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통합교육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성공적인 장애 유아 통합교육의 실천에 방해가 되는 요인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교사들은 프로그램, 준비되지 않은 교사. 비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 부모의 부정적 태도, 많은 원아수가 통합교육 실시에 방해요인이 된다고 하였다. 통합교육의 방해요인에 대한 지각은 통합경험 횟수보다는 교사 경력에 따라 더 많은 차이가 나타났고, 경력이 높을 때 통합교육이 더 어렵다는 의견이 높았다. 비장애유아와 비장애 유아 부모의 장애유아에 대한 부정적 태도 변화에 대하여서는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교사 경력과 통합 횟수에 관계없이 현재의 원아 수는 너무 많고 통합교육에 적합한 유아교육 프로그램과 자질 있는 교사 양성이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방해요인이라고 하였다.
「 발달에 적합한 실제 」 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수활동 및 창의적 역할과의 관계 비교 연구 - 유치원과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
이연승(Yeon Seung Lee),임애경(Ae Kyung Lim)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133~153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DAP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신념과 교수활동 및 창의적 역할과의 관계 규명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 창의성과 관련한 교육실제에서 DAP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DAP에 대한 신념 및 교수활동 수행정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치원 교사와 어린이집 교사의 DAP에 대한 신념과 DAP 교수활동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AP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교수활동 수행정도가 높으면 기관유형에 관계없이 교사의 창의적 역할 수행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 5 세 유아들의 쓰기 기능에 대한 인식
김소양(So Yang Kim)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155~17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치원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쓰기 기능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유아들은 지역사회의 다양한 상황에서 성인이 쓰기를 하는 모습을 담은 비디오 테이프를 보면서 무엇을 쓰는지, 어디에 쓰는지, 왜 쓰는지 등을 면접하였다. 유아들이 일반적으로 쓰기의 목적과 가치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쓰기 기능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쓰기 발달 과정의 한 측면이며, 유아들은 일상 생활 속에서 쓰기의 특성과 기능에 대한 중요한 지식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쓰기 활동에 대한 시사점도 논의되었다.
장애유아의 사회성 촉진을 위한 중재가 통합학급 유아들의 장애유아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Youn Kyung Cho),이소현(So Hyun Lee)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2] 제22권 제2호, 173~193페이지(총21페이지)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성을 촉진하기 위한 복수 또래 주도 중재가 3, 4, 5세 일반유아들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사회성 중재가 실시된 3개 학급의 일반 유아 44명(실험집단)과 장애상태와 연령 면에서 대응된 장애유아가 배치된 중재가 실시되지 않은 물리적 통합만이 시행된 3개 학급의 일반 유아 44명(통제집단)에 대해 16주 간격을 두고 사전-사후 사회성관계 척도가 측정되었다. 실험과 통제 두 집단 간의 사전-사후 차이에 대한 검증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수용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통합학급에서 장애유아의 사회성 촉진을 위한 또래 중재는 일반유아의 장애유아에 대한 수용도를 증진시킴으로써 이들간의 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제시되었다. 앞으로 통합학급에서 일반유아의 수용도를 증진시...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