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새국어교육19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새말을 매개로 한 국어교육 내ㆍ외 통합 학습 수업 설계
양영희 ( Yang Young 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307~340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본고는 ‘새말’의 교육적 효용성에 방점을 두고 그것을 매개로 한 통합 수업을 설계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방법:이에 각 교과를 분석하여, ‘국어교과’의 ‘문법, 화법, 매체’ 영역과 ‘사회ㆍ문화 교과’에서 새말을 학습 내용(제재)으로 구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역랑 신장을 중심으로 한 통합 수업 과정을 설계하였다. 먼저 ‘의사소통 역량, 대인ㆍ공동체 역량’은 새말의 구조를 분석하여 생성 원리를 탐구하도록 하였다. 그 과정에서 세대 간의 언어 문화적 특징을 공동체 의식과 대인 관계 관점에서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런 후에 새말 사용의 장점과 단점을 되돌아보는 ‘성찰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비판ㆍ창의적 역량, 문화 향유 역량’은 비하ㆍ혐오적인 어휘를 순화하여 새말을 만들어 보고 새로운 개념(생각)을 표현하기 위한 ...
TAG 의사소통 역량, 비판ㆍ창의적 역량, 문화향유 역량, 혐오 표현, 통합 매체, 대인ㆍ공동체 역량, 새말, communication competence, criticism, creative competence, cultural enjoyment competence, hate expression, integrated media, interpersonal, community competence, new words
한국어 학습자의 독자 고려 전략 양상 연구
김도연 ( Kim Do Ye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341~371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본고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쓴 논증적 텍스트를 통해 독자 고려 전략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32편의 논증적 텍스트를 표집한 후 독자 고려 전략의 사용 유형을 분석해 보았다. 결과:대화 참여자의 위치 정하기 전략과 이익 및 손실 강조하기 전략은 필자와 독자 간 관계에 따라 전략 사용에 차이를 보였다. 한국어 학습자 필자는 1인칭 단수 대명사 ‘나’와 1인칭 복수 대명사 ‘우리’를 통해 대화 참여자의 위치를 드러냈다. 독자가 포함된 ‘우리’는 연대감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었고 독자가 배제된 ‘우리’는 필자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익과 손실 강조하기에서 독자가 필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필자와 독자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내용을 근거로 든 반면에 사회적 지위가 동일한 경우에는 손실을 제시하는 경향을 ...
TAG 독자 고려, 독자 인식, 필자와 독자의 관계, 쓰기 전략, 사회적 맥락, 논증적 텍스트, reader consideration, audience awareness, reader-writer relationship, writing strategies, social context, argumentative texts
한국어 학습자의 모어와 한국어의 어두 파열음 산출에 나타나는 다언어적 특징 연구-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태국어, 한국어를 대상으로-
야마모토미사키 ( Yamamoto Misaki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373~400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러시아어, 일본어, 태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모어와 한국어까지 모두 5개 언어의 어두 파열음 산출 실험을 통해 개별 언어와 다언어적 특징 및 양상을 살피고 아울러 그 특징이 한국어 파열음 발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파열음의 대립을 기준으로 2항 및 3항 범주언어를 선정, 한국어학습자 32명과 한국어모어 화자 3명을 대상으로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다. 분석 항목은 1) VOT (ms) 2) 후속 모음의 기본주파수(F0:Hz)이다. 결과:평음의 VOT 분포 범위가 경음/격음에 비해 넓게 나타나는 경향이 한국어 모어화자를 포함하여 모든 언어권에서 관찰되었다. 또 학습자 모어들 간의 공통된 다언어적 특징을 F0에서 발견하였으며 그것은 한국어 파열음 발음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
TAG 다언어 대조, 어두 파열음, VOT, 한국어 학습자, 학습자 모어, 삼중 대립, multilingua Features, word-initial plosive sounds, Voice Onset Time, F0, language learners of Korean, learners’ native languages, three-way phoneme distinction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ㅗ/ 발음에 대한 연구-여성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웬신 ( Wen Xi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401~431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본고에서는 중국인 여성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음절 환경에서 나타나는 한국어 단모음 /ㅗ/의 양상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방법:중국인 여성 고급 학습자와 한국인 여성 15명을 선정하여 음성실험과 사후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음성자료를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모음 구간에서 시작, 중간, 종료 지점 부근에서 3개 지점에서 나타난 포먼트 f1, f2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f1, f2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다. 결과:1) 선후행 자음의 영향으로 /ㅗ/의 조음 위치가 불안정하고 음가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음절 환경에 따라 /ㅗ/의 음가가 [o], [əo], [Λ], [oə], [u], [ə]와 같이 다양하다. 2) 거주기간 및 학습기간 긴 여성 고급 학습자가 모국어의 영향을 덜 받고 모국어 /o/[...
TAG 단모음, , 포먼트 f1, 조음 기관의 움직임, 모국어 영향, 단모음 발음 교육, monophthongs, , formant f1, f2, articulatory organ movement, effects of the native language, monophthongs pronunciation education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정현선 ( Jeong¸ Hyeon-se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7~37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 인공지능이 미디어에 도입된 새로운 환경에서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를 논의하는 데 있다. 방법: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리터러시가 직면한 새로운 과제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삼아 관련 연구와 미디어 현상을 검토하는 방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미디어 자료의 선별과 활용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은 미디어 자료들이 사회적 현실을 구성하는 방식인 재현과 그것이 만들어내는 미디어 담론에 대한 비판적 판단을 중시하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접근을 포함해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이러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는 ‘삶 속의 텍스트’를 다룸으로써 사회적 차원의 리터러시 발달을 강조하는 비판적 리터러시 이론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음을 제시하였다. 결론: 디지털 미디어 환경의 미디어 리...
TAG 인공지능, 미디어 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 재현, 다출처 콘텐츠, 디지털 플랫폼, artificial intelligence, media literacy, critical literacy, representation, multi-source content, digital platform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 분석 연구
장은주 ( Jang¸ Eunj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39~68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교육 내용을 학교 교육에 체계적으로 반영하기 위하여, 교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미디어교육 관련 성취기준을 추출하고, 학년군 및 교과별 성취기준을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와 대응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국어, 사회/도덕, 기술·가정/정보, 예술 교과에 미디어교육 내용이 반영되어 있으며, 각 교과 특성과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 요소의 연관성도 드러났다. 그러나 일부 내용은 중복되거나 배제되어 있어 미디어 리터러시 구성요소에 따른 교육 내용의 체계화와 위계화가 필요하다. 결론: 교육과정 총론에 디지털 미디어 관련 역량을 반영하고, 각론에서 미디어에 대한 지식, 디지털 환경에서의 성찰적 책임을 바탕으로 한 참여 등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 리...
TAG 미디어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교육과정, media education, media literacy, digital literacy,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curriculum
교육과정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 연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최종윤 ( Choi¸ Jong-yo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69~97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쓰기 영역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의 교과서 반영 양상을 살펴보고, 기능 제시 방식의 개선 방안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방법: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 체계 기능의 성격과 범주를 고찰하였고, 국어과 교육과정과 초등 교과서를 대상으로 기능의 반영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쓰기 영역 내용 체계 기능의 제시 방식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측면과 교과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첫째, 하위 기능요소를 추가 및 조정하기, 둘째, 용어 제시 문제를 개선하기, 셋째, 기능의 제시 기준을 명확히 하기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고, 교과서 측면은 첫째, 기능의 반복 연습을 강화하기, 둘째, 학생이 쓰기 기능의 학습 가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셋째, 독자 분석하기와 독자 교류하기 관련 활동을 강화하...
TAG 교육과정, 교과서, 쓰기 교육, 쓰기 기능, 내용 체계, Curriculum, Textbook, Writing Education, Writing Skill, Content system
초·중·고 국어과 사과 교육 내용의 개선 방향
구영산 ( Goo¸ Youngs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99~134페이지(총36페이지)
목적: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사과 교육 내용을 사과 이해 및 수용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국어과 사과 교육의 내용 개선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이에 근거한 초·중·고 국어과 교과서의 내용을 1) 사과 이해의 맥락이 교육 내용으로 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 2) 사과 이해 및 수용 반응을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그 방식, 3) 국어교육의 측면에서 보다 적절한 사과 수용 반응을 교육내용으로 구체화하고 있는지의 여부 및 그 방식, 4) 그 외 사과 교육의 내용검토에 유의미한 사항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다양한 목표의 언어 학습 자료로 사과 담화 및 텍스트가 쓰이고 있으나, 사과가 교육과정 성취기준 및 교과서 학습 목표로 구현된 경우는 ‘화법과 작문’이 유일하다. ...
TAG 국어과 교육과정, 교과서, 사과, 사과 이해 및 수용, 사과 교육, Korean national curriculum, textbooks, apolog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apologies, apology education
데이터 기반 학습(Data-Driven Learning)을 통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연구
신범숙 ( Shin¸ Beomsu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135~161페이지(총27페이지)
목적: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의 데이터 기반 학습 적용 방안을 살피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데이터 기반 학습 관련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때 주요 분석의 대상이 된 것은 제2 언어 교육 연구, 그리고 학술 및 학위 논문 장르와 관련된 학문 목적 쓰기 연구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개념을 밝히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 구성해야 할 말뭉치의 유형과 특성을 살폈다. 또한 학문 목적 쓰기에서의 말뭉치 분석 틀로서 이동마디(Swales, 1991)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서론과 본론, 결론의 분석에 활용 가능한 기본 틀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적용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학습의 모형을 구안하고,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실행 가능한 ...
TAG 학문 목적 한국어, 장르 중심 쓰기, 과정 중심 쓰기, 데이터 기반 학습, 교육 과정, Korean for academic purpose, genre-based writing, process-oriented writing, data-driven learning, curriculum
IB 디플로마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소개와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 검토
김진실 ( Kim¸ Jinsil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163~194페이지(총32페이지)
목적: IB 교육과정의 고유 교과인 ‘지식론(theory of knowledge)’의 이해를 통해 IB 지식론과 국어 교과에서 다루는 지식의 연관성을 고찰한다. 방법: IB 지식론 과목 가이드와 지식론 평가 관련 자료, 그리고 국어 교과의 지식 질문(knowledge questions)을 검토한다. 결과: 지식론에서는 지식을 하나의 주장으로 표현하며 개방적이고 일반적인 지식 질문을 통해 지식의 속성과 지식이 구축되는 과정, 지식의 의의 등에 대한 폭넓은 성찰을 꾀한다. 지식론은 지식 구축의 방법을 반성함으로써 패러다임을 바꾸는 창의적 사고를 훈련시키고, 교과 통합적인 평가 문항을 통해 지식의 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며, 교실 속 지식을 현실로 연결시켜 지식의 궁극적 목적을 스스로 탐색하게 한다. 평가의 측면에서는 ...
TAG IB 디플로마 지식론, 지식 주장, 지식 질문, 지식 구축의 방법, 지식 영역, IB Diploma Theory of Knowledge, Knowledge claims, Knowledge questions, Ways of knowledge, Areas of knowledg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