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문법 능력 발달 연구 동향 분석
오지은 ( Oh Jieun ) , 강지영 ( Kang Jiyoung ) , 김범진 ( Kim Beomj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1~43페이지(총4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진행된 문법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 주제어의 전체적인 네트워크를 조망하고, 그중심성을 분석하였으며, 주제어들의 하위 집단을 묶어 그 특징을 포착하였다. 먼저 전체 주제어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빈도를 조사한 결과 문법 능력 발달에 대한 연구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었으며, 지금까지 전개된 연구의 대상과 방법, 요소, 변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중심성 분석 결과 지금까지 문법 능력 발달 연구가 아동의 언어 사용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특히 조사, 어미, 어휘, 문장의 발달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게 다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위 집단 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들의 특징을 포착...
TAG 문법 능력, 언어 발달, 문법 능력 발달, 연구 동향, 네트워크 분석, grammatical competence, language development, grammatical competence development, research trends, network analysis
남북 통합 교육 제재로서 고려속요의 유의미성
이루리 ( Ruri L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45~7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통일 이후 남북 학습자가 한 교실에서 문학교육을 받게 되었을 때 남북 통합 교육의 제재로서 고려속요가 가지는 유의미성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남북 통합 문학교육은 남북 문화의 통합과 간문화적 역량의 함양을 목표로, 문학에 대한 태도를 교육내용으로 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문학을 바라보는 관점은 남과 북이 상이하나 고전시가에 대한 남과 북의 평가는 비슷한 점이 많이 발견된다. 이 접점을 바탕으로 통일 이후 남북 통합 문학교육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며, 그 접점이 가장 큰 장르가 고전시가 중에서도 고려속요라고 판단하였다. 고려속요가 남북 통합 문학교육 제재로 유의미한 이유는 남과 북이 고려속요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해석이 용이하고, 인간의 보편적 삶과 정서를 다루며, 다양한 해석과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고려속요는 특히...
TAG 통일, 남북 통합 문학교육, 고전문학, 고려속요, 간문화적 역량, unification, post-unification literary education, classical literature, Goryeosokyo, intercultural capabilities
국어교육에서 내국민 대상 재외동포 인식 교육의 가능성 탐색 - 국어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
이종원 ( Lee Jong-won ) , 윤여탁 ( Yoon Yeo-ta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75~125페이지(총51페이지)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에 초점을 맞추어 내국민을 대상으로 재외동포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교육의 가능성을 다양한 측면에서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족 개념과의 긴밀한 연관 속에서 형성된 재외동포 개념은 국제화 세계화로 인한 사회적 변화의 영향 아래 놓여 있다. 본 연구는 미래세대의 재외동포에 대한 인식이 점차 부정적으로 변화해가는 상황에 주목하여, 이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개념의 의미, 현황에 대한 검토 등을 거쳐 현재 내국민 대상 재외동포 인식 교육의 문제점을 정책 문서와 교과서 내용의 두 가지 범주로 정리하였다. 이후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 첫째, 재외동포 관련 용어 및 내용의 기준을 제시하고, 둘째, 재외동포를 바라보는...
TAG 재외동포, 인식 교육, 국어교육, 교과서, 다문화주의, 다문화교육, Overseas Koreans, Percep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education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 도구』 교재 내용 분석 - ‘한국어 교육과정(2017)’과 ‘국어과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
조청화 ( Zhao Qinghua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127~15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17년에 개정·고시된 '한국어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2019년에 출간된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 도구』교재의 내용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학습 도구』교재와 '한국어 교육과정(2017)'의 학습 재료와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 기능, 텍스트 유형, 학습 도구 한국어 어휘 부분에서 전반적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을 잘 반영하고 있지만 일부 학습 한국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하는 의사소통 기능과 텍스트 유형이 누락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습 도구』교재의 읽기와 쓰기 영역과 '국어과 교육과정(2015)'의 읽기와 쓰기 학습 요소의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 학...
TAG KSL 학습자, 학습 도구 한국어, 교육과정, 교재 분석, 읽기, 쓰기, KSL Learner, Learning Tools Korean, Curriculum, Textbook Analysis, Reading, Writing
디지털 시대 문학교육 원리로서 감성적 지각 (aisthesis)에 관한 연구
호창수 ( Ho Changsu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159~187페이지(총29페이지)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문화(문학)의 수용에서 인간의 인식과 감각의 방식을 전환하였다. 이는 곧 문화(문학) 현상에 대한 이해가 의사소통 행위의 측면에서 미디어론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특히 미디어의 디지털적 전환은 불확실성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둘러싼 현실과 가상의 구별을 어렵게 한다. 그러나 문화(문학)의 수용이 여전히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 ‘삶의 추체험’을 내용으로 한다고 할 때,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빚어낸 위의 ‘기술적 무의식’을 극복하기 위한 문화(문학) 수용 방법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 연구는 ‘매체감성학(Medienaisthetik)’에서 제시하는 ‘감성적 지각’의 개념이 디지털 테크놀로지 환경에서 문화(문학)를 수용하고 해석하는 주요 작용 원리가 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그 메커니즘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AG 감성적 지각, 디지털 테크놀로지, 기술적 무의식, 문학교육, aisthesis, digital technology, technical unconsciousness, literary education
아동문학의 공간에 나타난 환상성과 상상력 교육 - 송미경의 단편 동화를 중심으로 -
홍인영 ( Hong In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20] 제45권 189~214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문학을 통한 상상력 교육을 전제하고 아동문학에 나타난 공간의 환상성에 주목하여 상상력 교육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문학에서의 공간론과 환상이론을 살펴보았으며 환상을 현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논의한 캐서린 흄의 구분에 따라 작품을 분석하였다. 「아버지 가방에서 나오신다」의 가방, 「어떤 아이가」의 집, 「지구는 동그랗고」의 우주는 각각 성찰문학, 교훈문학, 탈환영문학의 특징을 지닌 공간이다. ‘가방’의 환상성이 독자로 하여금 불러일으키는 강한 정서적 반응은 성찰을 핵심으로 하며, ‘어떤 아이’가 숨는 ‘집’이라는 공간은 환상을 경유하여 가족이 겪는 소외와 무관심의 문제를 다룸으로써 독자의 행동변화를 촉구한다는 점에서 교훈적이다. 끝으로 현실과 거리를 두고 존재하는 ‘우주’는 일탈적 공간으로서 상상력을 촉발한다. 이들을 통한 상상력 교육으로는 참여적...
TAG 아동문학, 공간, 환상성, 문학교육, 상상력 교육, children, s literature, space, fantasy, literature education, education of imagination
세계시민의 리터러시와 국어교육
고정희 ( Ko Jeong-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1~37페이지(총37페이지)
이 글은 국어교육이 세계시민 교육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세계시민이란 사람들의 삶이 전 지구적으로 상호연결되어 있지만, 그러한 상호연결성이 ‘차이를 부정하는 보편주의’에 기초해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딜레마를 지닌 개념이다. ‘비판적 세계시민성’은 불평등한 세계화에 대한 자각과, 타자와 함께 배우는자세를 강조하는 관점으로, 국어교육에서 강조해 온 비판적 리터러시를 요구한다. 그 가운데 ‘특수한 관심사에 따라 모이지만, 보편적인 함의를 지니고 있는 세계시민’을 강조하는 ‘분산적 보편주의’가 세계시민의 딜레마를 해결할 수 있는 이론으로 주목된다. 국어교육은 ‘심미적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글로벌하게 정향될 때 ‘분산적 보편주의’의 실현이 가능하다. ‘심미적 리터러시’란 서로 직접적인 영향 관계에 있지않은 세계의 문화적 현상들 사이의 미...
TAG 국어교육, 세계시민 리터러시, 비판적 세계시민성, 분산적 보편주의, 심미적 리터러시, Korean language education, literacy of global citizenship, critical global citizenship, divisive universalism, aesthetic literacy
김연수의 <모두에게 복된 새해>를 통한 다문화 감수성 발달 교육 내용 연구 - 일인칭 서술자의 비판적 읽기를 통한 자문화 중심주의 성찰 가능성을 중심으로 -
김지혜 ( Kim Jeehy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39~6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다문화 감수성 발달 단계를 전제로, 학습자들이 자신의 자문화중심주의를 극복해야 문화 상대주의적 태도를 갖출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 학습자들이 갖추어야 할 사고방식을 철학적으로 검토하여, 학습자들이 자문화중심주의를 각성하고 자문화중심주의로부터 비롯된 오해들을 반성하기 위해서는 문화적 타자의 실체를 지각하고 종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그러나 문화적 타자와 만나거나 소통한 경험이 별로 없는 사람이 문화적 타자의 실체를 인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해석학자인 가다머(H. G. Gadamer)에 따르면 인간이란 자신이 잘 모르는 존재에 대해서 파악할 때 그 존재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활용하며, 그 중에는 선입견이나 편견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문학작품을 읽는 독자는 작품과 관련된 사회적 현상에 대해 성찰할 ...
TAG 다문화 감수성, 자문화중심주의, 문화적 타자, 지각, Wahrehmung, 종합, Synthesis, 김연수, multicultural sensitivity, ethnocentrism, cultural others, perception(Wahrehmung), synthesis(synthesis), Yeon-su Kim
소설교육의 인식론적 전통으로서 ‘감화론(感化論)’에 대한 고찰
박은진 ( Park Eun J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69~120페이지(총52페이지)
이 연구는 소설교육의 인식론적 전통으로서 ‘감화론’의 양상을 밝히고, 그것이 오늘날 소설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설이 인간에게 영향을 주어 인간을 변화시킨다’는 인식은 소설교육 연구가 전제하는 가장 기본적인 인식론적 기반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식이 근대 이전부터 시작된 전통적인 인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근대 이전 조선시대부터 애국계몽기,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여러소설 관련 자료들을 통해 그 양상을 밝히는 한편, 감화론의 구도와 원리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소설교육의 인식론적 전통으로서 감화론은 조선시대 소설의 영향력을 경전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연관 지으면서 드러난 인식으로서, 소설과 경전의 유사점을 찾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소설사가 진전되는 과정에서 형식적, 내용적 측면에서 소설이 유교에서 다루는 경사서와 유사점이 ...
TAG 소설교육, 인식론적 전통, 감화론, 감화의 원리, 소설교육의 기반, 내용과형식의 균형, 자발적 수용, 사회적 독서, 오늘날 소설교육에의 시사점, Novel education, tradition as cognitive level, Influence theory, Influence principle, base of novel education, voluntary acceptance, social reading, implications on novel education
고전소설 다시쓰기의 전통과 국어교육적 의미 - <춘향전>을 중심으로 -
서보영 ( Seo Bo-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121~151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문화적, 문학적, 교육적 영역에서 파편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고전소설 다시쓰기의 양상과 변천 과정을 고전소설 <춘향전>을 대상으로 살피고 이를 통해 고전소설 다시쓰기의 국어교육적 의미와 지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변모와 더불어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을 보이는 고전소설 다시쓰기를 모본과의 관계에 따라 이본, 개작본, 변용물로 분류하고 시간의 변화에 따라 주요한 양상들을 살폈다. 그 결과 고전소설 이본의 경우 필사본, 방각본, 활자본 다시쓰기의 차이를, 고전소설의 개작본의 경우 신작 고전소설로 다시쓰기, 근대작가들의 고전소설 다시쓰기, 문학연구자들의 교육용도의 다시쓰기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전소설 변용물은 영화에서 문화산업으로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을 통해 세 가지 측면에서 국어교육적 의미와 지향을 제시...
TAG 다시쓰기, 고전소설, 춘향전, 이본, 개작, 변용, 국어교육, Rewriting, Classical Novel, Chunhyangjeon, Various version, Modification, Adapt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