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14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어문논집 90호 차례
민족어문학회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1~4페이지(총4페이지)
조선 후기 란정회(蘭亭會) 계승과 「란정기(蘭亭記)」 수용의 특징
정하정 ( Jung Ha-j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5~38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는 王羲之의 蘭亭會를 계승한 詩會의 존재를 밝힌 기존 연구에서 한걸음나아가, 조선 후기 난정회 수용의 경향 및 난정회 계승 시회에서 창작된 시문의 특징을 「蘭亭記」의 영향 관계 속에서 도출하고자 하였다. 조선 전기의 경우, 修禊를 행하는 자리에서 난정회를 연상하거나 자신의 시회를 雅會로서 표상하기 위해 난정회를 언급하는 정도였다. 그러다 점차 ‘癸丑暮春’과 ‘流觴曲水’라는 난정회의 시공간적 특성을 계승한 시회가 결성되고 그 시회에서 창작된 시문이 「蘭亭記」의 표현과 모티프를 수용하게 된다. 조선 후기에는 이러한 난정기 계승 의식이 보다 강화된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주목되는 것이 바로 續蘭亭會의 결성이다. 1673년 趙相愚에 의해 결성된 이 시회는, 1733년 趙龜命 등 풍양 조씨 가문 문인들을 중심으로 이어진다. 난정기의 일부 요소만 계승한 전기의 시...
TAG 王羲之, 蘭亭會, 蘭亭修禊, 蘭亭記, 續蘭亭會, 詩會, 少論, WangXizhi, NanJeonghoe, NanJeongSugye, 蘭亭修禊, NanJeongki, 蘭亭記, 續蘭亭會, SokNanJeonghoe, Poetry Club, So-ron factor
조지훈 육필시고 『지훈시초(芝薰詩鈔)』 연구
김종훈 ( Kim Jonghoo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39~66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조지훈(趙芝薰, 1920~1968)의 친필 시집 원고 『지훈시초(芝薰詩鈔)』의 성격과 위상 그리고 편집 연도를 탐구한 시도이다. 이 시집의 원고가 발견된 지30년이 지난 2001년 세상에 공개되었을 때에는 다른 원고와 섞여 소개되어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시집 원고에는 31편의 시가 3부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었으며 각각의 부는 서로 변별되는 정서로 묶을 수 있었다. 비애와 고요와 전망으로 대별되는 시집의 부 구성은 조지훈 전체 시의 이력을 환기한다. 그는 고요한 자연을 시의 본원적 고향으로 여겼으나 사회적 문제와 내적 정서를 시에 표현하는 것을 가리지 않았다. 한편 제목 변경, 본문 수정 흔적, 행과 연의 형태 등을 종합해서 고려했을 때 좁게는 1943년에, 넓게는 1943년에서 1945년 사이에 이 원고가 묶인것으로...
TAG 조지훈, 육필시집원고, 『지훈시초, 芝薰詩鈔, , 『청록집, 靑鹿集, , 『풀잎단장, 斷章, , Cho Jihoon, Jihoon Sicho, 芝薰詩鈔, a handwritten poetry manuscript, Collection of Chenglok poems, 靑鹿集, Grasssketch, 풀잎斷章
해방기 『강원일보』 문예면 연구
이미정 ( Lee Mi J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67~93페이지(총27페이지)
본 논문은 지역 문학의 자료 발굴 및 고찰을 위해, 더 나아가 강원지역 매체 연구의 일환으로 강원일보 문예면에 대해 논의하였다. 분석 시기는 지방지로서의 정체성을 확정한 1950년대 이전 즉, 해방기이다. 이 시기는 강원일보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모색기였다. 지역 신문은 지역문화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며 정론지로서 공론장의 역할도 수행한다. 강원일보 역시 중앙지와의 관계망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모색했으며, 신문 매체의 이해관계에 의해 지방지로서 빠르게 정체성을 인식해 나갔다. 그 결과 강원일보는 1957년 10월부터 전면 지방기사로 구성하게 된다. 지방지로서의 정체성을 갖기 전 모색기에 해당하는 해방기 강원일보는 미군정기라는 외부적 규제와 민중의 내적 열망 사이에서 반공적 규제 아래 순응적인 태도를 일관하며 계몽성을 내재한 채 지역의 정론지...
TAG 강원일보, 문예면, 강원도, 신춘문예, 지역신문, Gangwon Ilbo, feuilleton, Gangwon-do, New Year’s Literature, Local Newspaper
북한 언어정책의 비교·분석과 그 서술 변화에 대하여 -『조선로동당정책사(언어부문)』(1973)과 『조선로동당언어정책사』(2005)를 중심으로-
이상혁 ( Lee Sanghyeok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95~124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북한 언어정책의 역사와 그 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조선로동당정책사(언어부문)』(1973)와 『조선로동당언어정책사』(2005)를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약 30년의 시차를 두고 간행된 두 텍스트를 통해서 북한의 언어정책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면서 그 역사적 흐름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했다. 우선 『언어정책사』(1973)와 『언어정책사』(2005) 두 텍스트의 문헌적 성격과 내용적 특징을 통해서 편찬자가 북한의 언어정책을 기술할 때 어떻게 서술의 하위 범위를 설정하고 구조화했는지 살펴보았다. 그것을 통해서 『언어정책사』(2005) 서술이 『언어정책사』(1973)보다 서술 체계가 좀 더 입체적이고 맥락적 연계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언어정책사』(2005)의 내용적 특징을 검토하면서 『언어정책사』(197...
TAG 북한, 언어정책, 문화어, 『언어정책사』, 1973, 『언어정책사』, 2005, North Korea, language policy, Munhwaeo, The Joseon Labor Party Policy History, Language Division, 1973, The Language Policy History of the Joseon Labor Party, 2005
개인의 언어습관에 따른 시간벌기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 연구
전영옥 ( Young-ok Jeo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125~154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개인의 언어습관에 따른 시간벌기 담화표지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화자 변인이 담화표지·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의 대부분은 성별을 중심으로 하였지만, 이 연구에서는 특정 집단이 아닌 개인적인 습관이 언어 사용에서의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특히 전통문법에서 ‘더듬거림’으로 언급되었던 시간벌기 담화표지를 자신의 다음 발화가 잘 생각나지 않을 때 자신의 발화가 끊어지지 않도록 하는 담화 책략으로 보는 관점에서 접근하며, 전통문법에서 ‘입버릇’으로 언급한 언어습관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사용 양상을 나타내는지를 살펴본 것이다. 공적/사적, 대화/독백 자료를 포함한 말뭉치에서 20~30대의 남성 20명, 여성 20명의 발화를 살펴본 결과 ‘사용빈도’, ‘사용하는 담화표지의 수’, ‘즐겨 사용하는 상위빈도 담화표지’ 등에서 개인의 사용 차...
TAG 담화표지, 개인의 언어습관, 시간벌기, 더듬거림, 입버릇, discourse markers, personal language habits, time-gaining, stuttering, habitual utterances
대학생 에세이 담화에 나타난 ‘-게 되다’ 구문의 특성
김혜령 ( Hyeryoung K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155~17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생 글쓰기, 특히 에세이에서 나타난 ‘-게 되다’ 구문의 사용에 대하여 살펴 그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에세이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생 글쓴이들의 ‘-게 되다’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며, 담화 안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논의하였다. 대학생 에세이에서 ‘-게 되다’는 주어의 의지가 개입되지 않은 상황의 변화를 나타내는 의미로 쓰였다. 이렇게 주어의 의지가 없음을 나타내는 ‘-게 되다’는 담화 안에서 크게 세 가지 기능으로 사용되었다. 첫째는 책임의 회피로, 특히 사건의 결과나 부정적인 변화에서 자신의 책임을 지우려는 의도로 사용되었다. 둘째는 사건의 자연스러운 결과를 나타내는데, 사건이나 상황의 결과로 자신이 처한 상황이 불가항력이었음을 나타내려는 의도를 반영한 표현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의 경과를 기술하...
TAG -게 되다, 상황 변화, 담화화용적 기능, 책임 회피, 결과, 시간의 흐름, -ge doeda, change of situation, function of discourse, avoidance of responsibility, result, passage of time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의 초급 한국어 교재 분석 -「제대로 한국어 1, 2」를 중심으로-
오명희 ( Oh Myonghui ) , 신우봉 ( Shin Woobo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177~213페이지(총37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제주라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한국어 교재인 『제대로 한국어』의 교수·학습 내용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제주 지역과 수도권 대학 기관에서 개발한 초급 한국어 교재 3종, 총 8권의 교수 학습 상황, 외적구성, 내적 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원 구성에서 세 교재는 말하기 활동 중심의 단원 구성과 단원의 학습 목표 기술 여부에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자모 영역에서 『제대로 한국어』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자음과 모음의 글자와 음가만을 제시하고 한글을 쓰는 순서를 제시하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제대로 한국어』의 경우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가 세 교재 중 가장 많았으나, 1급과 2급에 동일한 이름의 주제가 겹치는 경우가 있어 주제의 다양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어휘...
TAG 한국어 교재,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 과정, 교수 학습 상황, 외적 구성, 내적구성, 제대로 한국어, Korean textbook, Internationally Circulated Standar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aching status, external composition, internal composition, Jedaero Korean
최신기술 활용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불안과 인식 연구
오선경 ( Oh Sunky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215~239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신기술 활용에 대한 불안감과 변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수·학습분야의 '최신기술'은 컴퓨터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교육 매체와 기술의 혁신을 의미하며, 코로나19로 인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기술 활용은 가속화되고 있다. 조사를 위해 한국어 교사 대상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총 86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은 최신기술 활용에 대한 관심도, 저항, 불안감, 한국어 수업에의 최신기술 활용 예측, 최신기술이 한국어 교육에 미치는 긍정적 전망의 5가지 범주, 총 3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 결과 한국어 교사들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신기술 활용에 대해 관심도가 높고(M=4.47), 기술 활용에 대해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예측하고 있으나(M=3....
TAG 최신기술 활용, 한국어 교육, 한국어 교사, 불안, 저항, 인식, new technology,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anxiety, resistance, perceptions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성과와 과제
장혜진 ( Jang Hyeji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90권 241~270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의 현황을 짚어보고, 주요 연구의 성과와 향후 연구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는 최근 들어 그 수가 급증하여 83편 이상의 연구 성과를 누적하였다. 발음 교육의 내용별로 연구 현황을 파악한 결과, 분절음 교육과 관련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그 가운데 단모음 연구와 폐쇄음, 파찰음, 유음 교육 연구가 많았다. 음운 현상 교육 연구에서는 한국어 음운현상에 대한 전반적인 오류 양상을 관찰하거나, 베트남인 학습자가 주로 오류를 보이는 음운 현상에 대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억양 교육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억양 실현에 나타난 음성적 특성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분절음 및 음운 현상에 관한 연구 주제가 보...
TAG 한국어 발음 교육,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분절음 교육, 한국어 음운 현상교육, 한국어 억양 교육,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Vietnamese Korean learners, Korean segment education, Korean phonological phenomena education, Korean intonation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