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546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유아들의 이야기
윤미경 ( Yun Mi-kyung ) , 서현선 ( Suh Hyun-su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269~291페이지(총23페이지)
현재를 살아가는 유아들은 스마트 미디어가 일상화된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목소리를 통하여 스마트 미디어와 관련된 경험을 듣고, 스마트 미디어 관련 이슈들에 대한 유아들의 견해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12명의 유아가 2명씩 짝을 지어스마트 미디어와 관련된 경험을 나누는 면담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은 일상의 경험을 통해 스마트 미디어의 다양한 쓰임새와 조작방법을 알고 있을 뿐만 아니라 스마트 미디어의 과용으로 인한 시력 저하, 유아들에게 적절하지 않는 콘텐츠에 대한 이슈, 절제에 대한 이슈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의 사용 역량에 대한 이슈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표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전통적인 교사 주도의 안전이나 중독 예방 측면에서 교훈적으로 접근하는 유아 미디어 교육을 넘어 디지털 네이티브이자 시민으로서 유아들이...
TAG 스마트 미디어, smart media, 유아들의 견해, young children’s views, 유아 미디어 교육, media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실외놀이터 놀이 영역과 영유아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
김명순 ( Kim Myoung Soon ) , 신혜영 ( Shin Hye Young ) , 신보원 ( Shin Bo Won ) , 남진경 ( Nam Jin Ky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293~31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실외놀이터의 놀이영역과 영유아의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S구에 위치한 대학 부설 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영유아 140명을 대상으로, 기관 내 환경적 특성이 다르게 구성된 4개 실외놀이터에서 놀이행동을 관찰하고, 동작가속도계를 착용하도록 하여 신체활동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로 SPSS 25.0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 관계를 분석한 결과, 실외놀이터 놀이영역에 따라 영유아의 놀이행동 및 신체활동성 간의 관계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관에서 영유아 놀이 지원 및 신체활동성 향상을 위한 실외놀이터 환경 조성 방안을 논의하였다.
TAG 실외놀이터 환경, outdoor play environment, 실외놀이터 놀이 영역, outdoor play areas, 영유아 놀이행동, children, s play behavior, 영유아 신체활동성, children, s physical activity
부부갈등이 영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
강수경 ( Kang Su K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317~338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부갈등이 12~13개월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어머니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가정의 영아를 첫 자녀로 둔 어머니 565명이다. 설문조사는 직접 가정을 방문하여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부갈등이 12~13개월 영아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부갈등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통해 12~13개월 영아발달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갈등이 12~13개월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동양육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
TAG 부부갈등, marital conflict, 공동양육, coparenting, 양육스트레스, parenting stress, 영아발달, infant development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칭찬의 의미
이지영 ( Lee Ji Young ) , 고진영 ( Go Jin Young ) , 김경철 ( Kim Kyung Chul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339~358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사용하는 칭찬과 그 의미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C시와 D시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5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2020년 5월 18일부터 2020년 7월 31일까지 참여관찰과 면담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유아교사가 생각하는 칭찬의 의미는 첫째, 유아를 움직이게 하는 동기부여의 의미, 둘째, 올바른 행동과 공동체 가치의 강화를 위한 의미, 셋째, 교사-부모 간 친밀한 관계형성의 의미로 나타났다. 이처럼 칭찬은 다채로운 모습으로 나타나며 일방적이지 않고 순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칭찬이 유아로 하여금 승인된 자유를 답습하고, 수동적 존재로 길들이는 도구로 변질되지 않도록 교사는 자신의 신념과 행동을 판별하고 새롭게 변형할 줄 알아야 한다. 또한 유아의 개별적 특성과 놀이의 맥락...
TAG 유아교사, early childhood teachers, 칭찬, compliments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와 원장과 연장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김은미 ( Kim Eunmi ) , 전유영 ( Jeon Yoo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359~38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어린이집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운영 실태와 인식,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원장 146명과 연장보육교사 153명이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첫째,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연장보육반은 주로 유사한 두 연령으로 반이 구성되었고, 교사 대 영유아 비율은 대부분 준수되고 있었으며, 전용 교실은 갖춰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연장보육 계획을 세울 때 기본보육반과 연계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연장보육제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면, 연장보육제도의 수혜자에 대해 원장은 기본보육 담임교사, 연장보육교사는 부모라고 인식하였다. 야간연장제도와 비교하였을 때 원장과 연장보육교사 모두 장점이 있다고 인식하였으나 제도의 장단점과 연장보육반의 구성 연령 및 적정인원에 대해서는 집단 간...
TAG 연장보육, extended childcare, 원장, daycare center director, 보육교사, daycare teacher, 요구, demands, 인식, perception
방과후 아동돌봄을 경험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원장의 코칭리더십,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그릿을 중심으로
정수정 ( Jeong Su-jeong ) , 이강훈 ( Lee Kang-h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3호, 387~41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원장의 코칭리더십,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그릿이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광역시 및 G도 소재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들 중 방과후 아동돌봄 경험이 있는 유아교사 448명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6.0 & AMOS 23.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원장의 코칭리더십,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그릿이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의 코칭리더십, 동료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임파워먼트와 그릿이 부분...
TAG 자아존중감, self-esteem, 사회적 지지, social support, 코칭리더십, coaching leadership, 임파워먼트, empowerment, 그릿, grit
유아수학교수에서 반성적 연속체의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 측정과 기하를 중심으로
이근영 ( Lee Keun Young ) , 정정희 ( Jung Jung Hee ) , 김정희 ( Kim Jung 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2호, 5~27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반성적 연속체(The Reflective Continua)를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수학교수의 방향성을 잡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된 연구이다. 반성적 연속체는 유아의 놀이에서 발현되는 수학적 경험을 교사가 포착하여, 맥락적으로 기록한 후, 이를 이후의 수학교수 계획에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호주의 ‘유아기 수리감각 프로젝트’에서 적용된 반성적 연속체를 한국의 현장에 적용하고자 유치원 만 4, 5세반 자유놀이 시간에 측정과 기하와 연관된 수학적 경험을 교사가 관찰·기록하였다. 교사의 기록을 반성적 연속체의 네 단계인 발현, 조사, 적용, 일반화 단계에 적용하여 분석한 후, 수학교수에 재적용하는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자유놀이에서 발현된 측정과 기하 개념은 교사의 반성적 연속체적용을 통해 네단계로...
TAG 유아수학교수, early childhood mathematics teaching, 반성적 연속체, the reflective continua, 사례연구, case study, 측정과 기하, measurement and geometry
유아음악 PCK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음악교육 실천과 의미생성
박소연 ( Park So-yeun ) , 이진희 ( Lee Jin-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2호, 29~67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는 PCK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실행연구를 통해 유아교사의 실천과정과 의미생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행연구의 과정에서 참여교사는 PCK의 구성요소(박소연, 이진희, 2019)중 박과 리듬과 관련된 음악활동을 통해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영역 확장하기를 실천해 나갔다. 이러한 실천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참여교사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의미생성은 ‘유아음악교육 새로운 시선으로 마주하기’, ‘유아음악교육의 변화 실행하기’, ‘실행을 통해 PCK 의미 재구성하기’라는 세 가지 주제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참여교사가 깊게 성찰하고 의미 있는 변화를 만들어가며 실천적 지식을 쌓는 과정에서 교육현장에서의 유용한 도구로서 PCK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아울러 의미 있는 유아음악교육을 만들어가기 위한 교사-되기의 여정이 실행연구를 통해 계속적으로 실천되어...
TAG 유아음악 PCK, early childhood music PCK,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유아교사, early childhood teacher
19~36개월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영아 시도 vs. 교사 시도 상호작용 특성을 중심으로
송지연 ( Song Jiyeon ) , 서소정 ( Seo Soj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2호, 69~9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19~36개월 영아와 교사가 시도하는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고, 영아와 교사 변인이 영아-교사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 소재 보육시설 6개소에 재원하는 19~36개월 영아 72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1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영아 1명당 주 1회 20분씩 총 8회의 160분간 현장관찰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상호작용 동기의 경우 영아와 교사 모두 놀이참여를 위한 상호작용이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으나, 상호작용 유형에서는 시도 주체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둘째, 주요 연구변인인 영아의 기질과 발달수준 및 교사의 학력과 경력에 따라 상호작용 주체별 동기 및 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아 시도 상호작...
TAG 영아-교사 상호작용, infant-teacher interaction, 영아 시도, infant-initiated, 교사 시도, teacher-initiated, 영아기질, infant temperament, 영아발달, infant development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사회과 교과지식의 연계성 분석
박재진 ( Park Jaeji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21] 제41권 제2호, 99~12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의 사회과 교과지식의 연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대상은 현행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이다. 분석의 내용적 기준은 사회교과협의회(NCSS)에서 제시한 사회과 교과지식 하위 내용 중 유아교육에 적합한 사회 교과인 지리학, 역사학, 사회학과 심리학, 경제학의 하위 내용이다. 연계 형태의 분석 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수정 보완된 계속성과 계열성을 준거로 한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사회과 교과지식은 하위내용별로 내용이 구성되어있는 정도의 차이가 있었으며, 두 학교 급간 간의 연계와 비연계가 복합적으로 나타났으나 연계의 비율이 비연계보다 조금 높았다. 사회과 교과지식 하위 내용별 연계의 차이가 있었으며, 역사와 사회학과 심리학의 경우 다...
TAG 사회과 교과지식, content knowledge of social study, 교과지식의 연계, articulation of content knowledg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