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45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피터 하게트(Peter Haggett)의 지리 사상과 생애: 지리학의 `계량혁명` 태동기를 중심으로
최권능 ( Kwon-nung Choi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5] 제59권 27~37페이지(총11페이지)
지리학에서의 가장 큰 변화는 1950년대 전후 시기를 중심으로 대두된 계량혁명과 더불어 발생했다. 이 흐름속에서 하게트(Peter Haggett)는 지리학 분야에서 논리실증주의 정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지리학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그의 연구가 전혀 조명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량혁명의 근원지인 케임브리지 대학에서 정립된 그의 지리적 사상과 생애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대표 저서인 「인문지리학에서의 입지 분석」을 통해 구조적 변환기 지리학 발전의 촉매제를 한 그의 사상을 고찰했고, 「계량지리학의 정신」을 통해 그의 수용적 학문자세를 살펴보았다.
TAG 피터 하게트, 계량 혁명, 인문지리학, 케임브리지 대학, Peter Haggett, Quantitative Revolution, Human Geography, University of Cambridge
20세기 의료 지리학 연구의 정립: May를 중심으로
배연아 ( Yeon-ah Ba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5] 제59권 13~2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20세기 의료 지리학 연구의 정립을 May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히포크라테스로부터 시작된 의료지리학의 흐름은 20세기 중반 May(Jacque M. May)를 기점으로 현대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May는 의료지리학의 목적과 방법을 새롭게 논의하여 의료지리학을 정립하였다. 방법론적 측면에서는 통계적인 자료 수집과 분석을 중시하여, 이후 GIS를 이용한 연구들에 영향을 주었다. 내용적 측면에서는 자연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구, 식문화 등의 인문적 요인들을 질병의 원인으로 다루었다. 이후 인문적 요인들의 변화를 통한 건강의 개선을 목표로 하는 연구들이 이어졌다
TAG 의료 지리학, 건강 지리학, 열대 질병, 지도, GIS, Medical geography, Health geography, Tropical Diseases, Map,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천상병 시에 드러난 장소 정체성 형성 과정 분석: 1972년 이후 작품을 중심으로
최학모 ( Hak-mo Choi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5] 제59권 39~48페이지(총10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헤이의 장소감 발달 연구와 렐프의 장소 내부적 정체성 형성 과정을 바탕으로 천상병의 1972년 이후 시 작품에 드러난, `서울 변두리, 수락산 자락`에 관한 장소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해 분석했다. 이주 초기, 해당 지역에 대해 장소감을 형성하지 못한 채 `중년의 위기`를 겪었던 그는 목순옥과의 성공적인 결혼 생활로 지역에 대해 애착을 키우게 됐다. 그 결과, 그의 작품에서도 `서울 변두리, 수락산 자락`에 대해 행동적 내부성으로부터 실존적 내부성에 이르기까지 장소 내부적 정체성을 키워나가는 모습이 차례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소 마케팅으로 얼룩졌던 그의 장소 정체성에 대해 바르게 정립하는 한편, 시를 활용한 문학지리학 연구 가능성과 지리 교육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문학지리학, 장소감 발달, 장소 내부적 정체성, 천상병, 수락산, 의정부, Literary Geography, Sense of Place in Developmental Context, Place Identities of Insideness, Cheon Sang-Byeong, Mountain Surak, Uijeongbu
도시 공간 구조 관점에서 Hoyt의 섹터 모델(Sector model)에 대한 재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5] 제59권 49~69페이지(총21페이지)
호이트(Hoyt)의 섹터 모델(sector model)은 도시 내부 구조의 대표적인 고전 모델로서, 도시 주거 공간 구조설명에 매우 유용하다. 호이트는 섹터 모델뿐만 아니라, 경제 기반 이론, 쇼핑센터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지리학 연구 발전을 수행하였다. 1939년 발표된 섹터 모델은 경제적 측면에서 다양한 섹터들로 구성된 주거 공간 패턴을 나타내며, 상류층, 중산층, 저소득층 섹터 별로 입지와 특성이 다양하며, 경제적 계층 섹터별로 거주지 분리가 나타난다. 또한 도시 성장에 따라 섹터 형태의 도시 공간 구조는 도심에서 외부로 확대되며, 필터링 프로세스(filtering process)를 통해 주거 이동성과 교외화가 활발해진다. 섹터 모델은 이후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그 모델의 적합성, 설명력이 검증되어 왔으며, 이후 교...
TAG 호이트, 섹터 모델, 도시 구조, 필터링 프로세스, 교외화, Hoyt, Sector model, Urban structure, Filtering process, Suburbanization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조명: 지리적 세계관과 국토에 초점을 둔 개혁안을 중심으로
나인경 ( In-kyung Ra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5] 제59권 1~11페이지(총11페이지)
본 논문은 홍대용의 지리적 관심과 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지리학자로서 홍대용을 재평가해보고자 한다. 홍대용은 과학적 관찰과 경험을 통해 중국 중심의 지리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구형의 땅에서 중국 외에도 조선을 비롯한 모든 국가가 중심이 될 수 있다는 지리적 세계관을 제시해 탈중화적 시각으로 세계를 인식했다. 이 같은 지리적 세계관은 오늘날의 세계화 시대에 요구되는 다원주의적 세계 인식과도 맞닿아 있다. 홍대용은 국토에 대한 지리적 이해를 바탕으로 토지 중심의 사회 개혁안들도 제시했는데 이는 지리학자로서 그의 궁극적인 지향점이 유민익국(裕民益國)에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그는 제한적이나마 글로컬라이제이션을 주창하며 당대로는 매우 진보적인 사고를 보여주었다.
TAG 홍대용, 지리적 세계관, 탈중화, 다원주의, 글로컬라이제이션, Hong Dae-Yong, Geographical world view, De-Sinocentrism, Pluralism, Glocalization
현대 지형학 연구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한 고찰
신원정 ( Won-jeong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4] 제58권 1~18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현대 지형학 연구가 정성적 접근에서 정량적 접근으로 변화한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Powell과 Gilbert로부터 시작된 현대 지형학은 Davis를 중심으로 정성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지형의 역사적인 의미를 중시하였고 지형경관을 기술적, 서술적으로 묘사하였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이 데이비스가 제시한 침식윤회설의 한계점들을 지적함에 따라 데이비스적 지형학에 대한 논쟁이 이루어졌다. 더욱이 2차 세계대전 이후 지형을 어떻게 활용할 지에 대한 논의가 제기되고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형 경관에 대한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가 요구되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 Horton의 연구 이후 많은 학자들이 Horton의 영향을 받아 계량적인 방식으로 연구하게 되었고 이후 지형학 연구는 Strahler를 중심으로 정량적인 접근이 ...
TAG 현대 지형학 연구, 정성적 지형학, 정량적 지형학, 데이비스, 스트랄러, Contemporary geomorphology, Qualitative geomorphology, Quantitative geomorphology, Davis, Strahler
정약용의 지리적 관심에 대한 고찰: 『목민심서』, 『경세유표』를 중심으로
장필영 ( Pil-young Ja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4] 제58권 19~31페이지(총13페이지)
우리나라의 전통 지리학은 조선 후기의 실학자들에 의해 크게 발전하였고, 이 가운데에서 다산 정약용은 매우 중요한 학문적 영향을 끼쳤다. 정약용은 지리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리학 연구를 다룬 많은 저서들을 남겼으나, 지금까지 지리학자로서의 정약용에 대한 연구는 심층적으로 조명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약용의 저서 중 『목민심서』와 『경세유표』에 나타난 지리적 사상과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약용의 지리적 관심에 대해 고찰하였다. 정약용은 지리를 활용하여 현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민생 안정과 국토의 효율적인 관리라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한 실학적 지리학자였다.
TAG 정약용, 실학, 지리학, 목민심서, 경세유표, Jung Yak-yong, Practical science, Geography, Mokminsimseo, Gyeongseyupyo
지역별 장애인의 치과의료기관 공간 접근성 분석: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박치용 ( Chi-yong Par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4] 제58권 33~4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지역별 치과의료기관 공간 접근성을 비교해 장애여부와 지역특성이 치과의료기관 접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사례지역인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여수시, 전라남도 완도군은 각각 대도시, 중소도시, 농촌지역의 전형적인 특성을 지닌다. 이에 세 지역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치과의료기관 공간 접근성을 2SFCA(2-Step Floating Catchment Area)에 따라 ArcGIS 9.3을 이용해 산출했다. 그 결과 세 지역 각각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치과의료기관 접근성과 접근성 상·하위 지역을 찾아 비교할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과 농촌지역의 치과의료기관 접근성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했다.
TAG 치과의료기관, 장애인, 공간 접근성, Dental institutions, the Disabled, Spatial accessibility, 2SFCA, 2-Step Floating Catchment Area
혼돈기의 지리학자 정 갑(鄭甲, 1904~1988) 교수의 생애와 활동
이기석 ( Kisuk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4] 제58권 47~7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조사보고서는 일제강점기에 대학에서 지리학을 연마한 후에 보통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광복 후에는 서울대학교에서 교수로 재직한 정갑의 생애와 연구 활동을 정리한 것이다. 그는 한국전쟁 와중에 북한으로 납북당하여 그 후 그의 활동은 아직까지 공식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광복 이후 그가 번역한 지리서와 지리교과서를 통하여 그가 추구하려던 지리학의 의도를 추적할 수 있다.
TAG 지리학 방법론, 인문지리학, 자연지리학, 지리교과서, Methodology of geography, Human geography, Physical geography, Geography textbook
경도의 역사와 지리학에 대한 영향: 경도 측정 방법과 본초자오선의 통일을 중심으로
이준우 ( Jun Woo Lee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3] 제57권 1~10페이지(총10페이지)
자오선은 인간이 만들어낸 가상의 선으로 본초자오선과 경도라는 두 개념을 낳았다. 인류가 경도를 측정하려고 시도하는 과정에서 물리학적, 천문학적, 기계공학적 지식이 쌓였다. 세계 각국은 여러 본초자오선을 사용하다가 1884년에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통일하였다. 경도의 사용은 관측자의 위치를 일관되게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여러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다. 존재하지 않던 것에 믿음을 부여함으로써 하나의 실체로 작동(사상적인 측면)하게 되었고, 세상을 탐험하고 지도를 제작하는 등의 인류의 활동이 촉진(지리적인 측면)되었다는 점에서, 경도는 지리적 사상이 만들어낸 인류의 핵심 발명품이라 할 수 있다.
TAG 자오선, 본초자오선, 경도, 존 해리슨, 크로노미터, 국제 자오선 회의, Meridian, Prime meridian, Longitude, John Harrison, Chronometer, International Meridian Confere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