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AND 간행물명 : 한국초등교육115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과학적 가설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들의 감정요소 분석: FaceReader 데이터의 정서가와 각성도를 중심으로
장기범 ( Jang Kibum ) , 신동훈 ( Shin Dongho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187~204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조정된 정서가와 각성도를 기반으로 과학적 가설생성 학습에서의 감정관련 요소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차원 축(valence, arousal)에서 구분되는 네 영역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9명의 초등학생들이 가설생성학습을 할 때의 감정 관련 데이터를 FaceReader 7.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집하고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조정된 정서가와 각성도에 따라 차원 축을 4개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다변량 분산 분석(MANOVA)과 일원 분산 분석(ANOVA)은 이 4가지 영역을 독립변수로, 감정관련 요인을 종속변수로 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첫째, 연구 참여자들이 과학적 가설생성학습을 할 때의 조정된 정서가와 각성도를 차원 축(valence, arousal)에 표시하면 □영역이 가장 많았다. 둘째...
TAG 과학적 가설생성, 차원 축, 감정, Action Unit, 정서적 태도, Scientific Hypothesis Generation, Dimension Axis, Emotion, Emotional Attitude
초등수학교육에서의 공간능력에 관하여
전인호 ( Jeon In Ho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05~218페이지(총14페이지)
오랜 기간의 연구를 통하여 어린이의 공간능력(spatial ability)이 창의력과 혁신능력에 크게 관여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학생들이 갖추어야하는 미래능력의 하나로 공간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그럼 초등수학교육에서도 공간능력의 신장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매우 필요하면서도 흥미로운 일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초등수학교육에서 공간능력과 관련한 쟁점들을 알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결론적으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알게 된 것은 공간능력과 관련하여 초등수학교육에서의 근본적인 문제는 교육과정에 공간능력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며, 이는 우리 초등수학교육과정의 NCTM(1989)의 영향으로 인하여 애초에 공간능...
TAG 공간능력, 공간감각, 공간시각화, 공간방향, Spatial Ability, Spatial Sense, Spatial Visualization, Spatial Orientation
학교 국어교육 복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문식성 교육을 중심으로
원진숙 ( Won Jinsook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19~234페이지(총16페이지)
아직 우리 국어교육 학계에서 ‘국어교육 복지’는 주요한 연구 주제로 자리잡지 못한 실정이다. 이는 공교육 시스템 안에서 국어교육이 사회적으로 취약한 소외 계층의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해 주는 교육 복지의 실천적 도구로 자리잡고 있지 못함을 방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적 문화적 차이, 부모가 지닌 사회적 자본의 결핍으로 인해 출발점에서부터 평등하지 못한 조건에서 시작해야 하는 국어 취약 계층 학습자들에게 국어 문식력을 교육할 수 있는 제반 조건들을 국어교육 복지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국어교육 복지’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특히 사회문화적 특수성으로 인해 심각한 문식력 격차를 보이는 다문화 학습자의 ‘포용적’ 국어교육 복지 실태를 교육부의 다문화 학생 지원 정책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학교 안의 다양한...
TAG 국어교육 복지, 포용적 국어교육 복지, 보편적 국어교육 복지, 사회문화적 중재자, 권한부여적 관점, 다중문식성, 국어 문식성 교육, Inclus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lfare, Universal Korean Language Education Welfare,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Empowerment Approach, Multi-Literacy
인공지능을 활용한 미술 활동과 미래 미술교육의 방향성 탐색
고홍규 ( Koh Hongky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35~248페이지(총14페이지)
급속한 인공지능 기술의 발달은 우리 생활과 사회, 문화의 영역 등 곳곳에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시각예술 분야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많은 시각 예술가들은 이미 인공지능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신의 예술 창작에 활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 영역에서 인공지능 기술이 활용되는 사례와 함께 그와 관련한 이슈를 살펴보고, 미술교육의 변화와 방향성은 어떠할지에 대해 논하였다. 이른바 미술 작품이란 무엇인가, 인간과 비인간의 창작은 어떻게 다른가 등 그동안 우리가 가졌던 미술의 개념과 의미에 관한 재고가 그것이다. Cohen과 The Next Rembrandt의 사례를 통해 미술 작품 창작의 주체에 관한 논의를 살펴보았고, < Edmond de Balamy >와 Klingemann의 사례를 통해 미술 작품의 저작권과 소유권의 문제를 언급하였으며, Ste...
TAG 인공지능과 시각예술, 인공지능과 미술교육, 인공지능 미술,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sual Art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rt Edu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Art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3~17 목표에 근거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조영철 ( Jo Youngchul ) , 이상원 ( Lee Sangwo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49~276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지속가능발전목표와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학교교육 현장 적용 및 확산을 목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 선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국내외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선행연구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목표 13~17 목표와 관련한 주제로 가치관, 태도, 기술을 습득하고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5개씩 총 15개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학생 10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사전·사후 단일집단 실험설계 방법으로 5개 주제를 가지고 8주 동안 10차시 수업을 적용하였다. 핵심역량, 지속가능발전교육 기본...
TAG 지속가능발전교육, ESD,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Program,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죽음교육의 방향 탐색: <코코>를 중심으로
하근희 ( Ha Geunhe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77~29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애니메이션 <코코>를 활용하여 죽음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고 보고, 이를 활용한 어린이 학습자 대상 죽음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많은 사람들이 어린이에게 죽음교육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어린이에게도 죽음교육은 필요하다. 죽음교육은 인간의 본성 회복을 돕기 때문이다. 또, 죽음에 대해 배움으로써 죽음에 대한 불안과 공포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어린이가 죽음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람들이 죽음에 대해 부정적 태도를 가지고 있어 어린이에게 죽음교육을 하기는 쉽지 않다. 그러므로 죽음과 교육을 잇는 매개체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애니메이션, 그 중에서도 <코코>가 죽음교육의 매개체가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코코>는 상상의 세계인 죽은 자의 세상을 간접 체험할 수 있게 해 주고, 어린이들로 ...
TAG 죽음교육, 애니메이션, 본성 회복, 코코, 어린이, Death education, Animation, Restoration of Nature, Coco, Children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위한 초등 교사의 요구 분석
최선희 ( Choi Sunhee ) , 이관희 ( Lee Kwanhee ) , 최영인 ( Choi Young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295~324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디지털 교과서 과목 확대의 필요성을 토대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을 선제적으로 정립하고자 하는바, 디지털 교과서 활용 주체인 현장 교사들의 요구를 다각도로 분석하여 향후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주요 방향과 기능을 모색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정책과 방향’, ‘디지털 교과서 프로토타입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등 디지털 교과서 제반 연구를 살펴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의 개발 방향과 주요 기능이 국어과 하위 영역별로 명확히 제시될 필요가 있음을 논구하였다. Ⅲ장에서는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초등 국어과 디지털 교과서 전반에 대한 공통 질문과 국어과 하위 영역별 특정 질문으로 대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 참여한 교사는 총 12명이며, 3명의 교사를 하...
TAG 국어 교육, 디지털 교과서, 초등 교사, 포커스 그룹 인터뷰, Korean Language Education, Digital Textbook,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cus Group Interview
독자의 자아 확립 교육 방향 고찰: 『대학(大學)』의 8조목을 중심으로
김도남 ( Kim Dona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325~341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大學)』의 8조목을 중심으로 독자의 자아 확립을 돕는 읽기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논의는 읽기 교육에 대한 접근의 다양성과 읽기 교육의 지향을 다양화하기 위한 하위 목표도 갖는다. 『대학』은 유학의 주요 경전 중의 하나이다. 이 『대학』은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질 수 있지만 이 논의에서는 사람이 공부를 하는 목적을 규명한 것으로 보았다. 그래서 『대학』의 8조목은 공부하는 사람이 지향해야 할 바를 제시하고, 지향하는 바를 이루기 위하여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단계별로 제시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대학』의 8조목을 읽기 교육과 관련지어 독자가 자아를 확립하는 논의의 토대로 삼은 것이다. 그래서 『대학』의 8조목은 독자가 자아 확립을 위한 실행의 단계를 구분하는 근거가 됨을 살폈다. 이 논의에서는 8조목의 내용을 반영하여 자아의 확립을...
TAG 읽기 교육, 읽기 방법, 자아 확립, 대학 8조목, 내향적 읽기, Reading education, Reading mothed, Self establishment, Daehak’s 8 items, Introvert reading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접근 방향 탐색
김예진 ( Kim Yeji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343~356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자기 이해 지향의 읽기 측면에서 독자의 이해 확장을 돕는 읽기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는 의미의 중심성에 기반한 텍스트 이해와 지식의 획일화로 학습자의 다양성을 제한하는 읽기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읽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차연(디페랑스: differance)을 읽기와 접목한 ‘차연적 읽기’의 교육적 접근 방향을 탐색한다. 자크 데리다는 모든 대상이 텍스트에 해당하며, 텍스트에는 차연의 논리가 내재하여 있음을 설명한다. 차연의 구조는 하나의 기의(시니피에: signifie)가 여러 기표(시니피앙: signifiant)들과 대응하는 모습으로, 각각의 기표는 기의의 일면을 지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텍스트의 의미는 차연으로 인하여 한 가지로 고정...
TAG 의미 생성, 차연, 차연적 읽기, 텍스트 이해, 읽기 교육, Meaning Generation, Differance, Differantial reading, Understanding Text, Reading education
옛이야기 감상에서 장소감의 활용과 교육 방법
이근영 ( Lee Geunyeo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한국초등교육 [2021] 제32권 제1호, 357~369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는 장소감을 활용하여 옛이야기의 감상 방법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옛이야기는 초등학교 교과서에서 다양하기 활용되고 있으나, 간혹 옛이야기를 쉽고 재미있는 이야기, 교훈적인 이야기로 간주하고 특정 학습 목표를 위한 읽기 제재로 다루기도 한다. 그러나 옛이야기는 오랜 세월동안 이어져 오면서 인간의 삶에 대한 심층적인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이 옛이야기를 즐겁게 향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장소감’을 활용하여 옛이야기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장소감이란 인간이 장소에 대해 느끼는 특별한 감각이다. 즉, 주체가 장소감을 인식한다는 것은 자신의 삶의 방식과 존재 의미를 깨닫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에는 자신이 살아가는 곳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지 않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장소감은...
TAG 장소, 공간, 옛이야기, 장소감, 문학교육, Place, Space, Old story, Sense of Place, Literature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