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168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 비교 분석
장재홍 ( Jaehong Ja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4호, 1025~105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른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방식에 따라 수업개선활동과 과제피드백이 교사효능감과 수업이해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실시한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 이하 GEPS) 제7차년도(2018년) 고등학교 교사 데이터를 총 2754명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수의 교사는 교사별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정도와 필요성에는 공감하고 있으나, 평가방식의 기대 정도와 실제 수행교사들의 선호도는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별 과정중심평가를 지필평가에만 적용하는 것은 수업개선이나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수행평가에 교사별 과정...
TAG Teacher by Teacher Process Fortified Assessment, instructional improvement, task feedback, teacher efficacy, understanding instructions, latent means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교사별 과정중심평가, 수업개선활동, 과제피드백, 교사효능감, 수업이해도, 잠재평균분석, 다집단분석
학습자 중심 학습을 위한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모형(T-CID) 개발 연구
이은상 ( Eunsang Lee ) ,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4호, 1057~1086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사 간 협력적 수업 설계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설계·개발연구를 채택하였다. 우선, 협력적 수업 설계 문헌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 분석(Systematic Review)과 분산인지 문헌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1차 설계원리를 도출하고 ADDIE 요소를 결합하여 1차 협력적 수업 설계모형과 설계활동별 세부 내용을 개발하였다. 다음 단계로 9명의 전문가 검토, 9명의 현장교사의 사용성 검토, 현장교사 1팀의 현장평가를 실시하여 타당화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5개의 설계원리(상호의존, 인지분산, 활성화, 외현화, 조정)와 13개의 상세지침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설계모형은 총 5개의 단계(팀준비, 분석, 설계, 개발·실행, 평가), 10개의 설계 활동과 23개...
TAG collaborative instructional design, student-centered learning, distributed cognition, 협력적 수업 설계, 학습자 중심 학습, 분산인지
특성화고 플립드 러닝을 위한 수업기본원리 적용 수업설계원리 개발
신연주 ( Yeonju Shin ) , 송해덕 ( Hae-deok S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4호, 1087~1124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수업기본원리를 적용하여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수업 환경에 적합한 플립드러닝 설계원리와 설계지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Merrill의 수업기본원리를 적용한 특성화고 플립드 러닝의 수업설계원리와 설계지침을 개발하고, 설계원리를 적용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반응을 검토하여 설계원리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설계원리 개발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설계원리의 구성요소와 설계지침을 도출하고, 특성화고 현장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초기의 설계원리 및 설계지침을 개발하였다. 설계원리 타당화 연구에서는 내적 타당화를 위해 세 차례의 전문가 검토와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외적 타당화를 위해 수업설계원리를 적용하여 수업을 운영하고 수업 설계에 참여한 교사...
TAG Flipped learning, first principles of instruction, design principle, vocational highschool, 플립드 러닝, 수업기본원리, 수업설계원리, 특성화고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신소영 ( Soyoung Shin ) , 김민정 ( Minjeong K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4호, 1125~115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융복합 인재 양성 실천을 위한 대학의 교육혁신 전략의 하나인 능동학습강의실(Active Learning Classroom)의 활용 경험과 학습성과 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 관계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능동학습강의실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모색할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멀티미디어 지원 환경에서 교수와 전체 학생 간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활동(팀별 토론, 협동 학습 및 실습)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A 대학 능동학습강의실에서 15주간 진행된 11개 정규 교과목 수강생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능동학습강의실 활용 경험은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대학생들이 학습자 중심의 능동학습강의실에서 학습했을 ...
TAG active learning classroom, learning outcomes, self-regulated learning, 능동학습강의실, 학습성과, 자기조절학습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개발 연구
김혜경 ( Hyekyu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4호, 1151~118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 벽지·농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들이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현장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은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공동화상수업 운영의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동은 협력요구분석, 공동교육과정 설계, 공동교육과정 개발,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평가의 5단계 10개 세부 운영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동화상수업 운영 차원은 공동화상수업 환경분석, 공동화상수업 설계, 공동화상수업 개발, 공동화상수업 운영, 공동화상수업 평가의 5단계 11개 세...
TAG classroom for video conferencing, co-curriculum, co-class using video conferencing, 화상교실, 공동교육과정, 공동화상수업
The Effects of Joystick-controlling and Walking-around on Navigating a Virtual Space
( Jeeheon Ryu ) , ( Sanghoon Park ) , ( Eunbyul Yang ) , ( Museok Jeong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제21권 제2호, 125~15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 벽지·농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들이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현장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은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공동화상수업 운영의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동은 협력요구분석, 공동교육과정 설계, 공동교육과정 개발,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평가의 5단계 10개 세부 운영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동화상수업 운영 차원은 공동화상수업 환경분석, 공동화상수업 설계, 공동화상수업 개발, 공동화상수업 운영, 공동화상수업 평가의 5단계 11개 세...
TAG Virtual reality, Room-scale, Navigation, Usability, Learning engagement, Virtual presence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A Systematic Review
( Hamide Kubra Altun ) , ( Jeongmin Lee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제21권 제2호, 155~191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 벽지·농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들이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현장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은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공동화상수업 운영의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동은 협력요구분석, 공동교육과정 설계, 공동교육과정 개발,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평가의 5단계 10개 세부 운영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동화상수업 운영 차원은 공동화상수업 환경분석, 공동화상수업 설계, 공동화상수업 개발, 공동화상수업 운영, 공동화상수업 평가의 5단계 11개 세...
TAG Immersive learning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English language teaching, Systematic review
Investigating Good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n the Perspectives of University Students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Suna Oh ) , ( Jeonghee Lyu ) , ( Heoncheol Yun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제21권 제2호, 193~21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 벽지·농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들이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현장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은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공동화상수업 운영의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동은 협력요구분석, 공동교육과정 설계, 공동교육과정 개발,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평가의 5단계 10개 세부 운영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동화상수업 운영 차원은 공동화상수업 환경분석, 공동화상수업 설계, 공동화상수업 개발, 공동화상수업 운영, 공동화상수업 평가의 5단계 11개 세...
TAG Good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al practice, University students, Social network analysis
Policy Suggestions for Fostering Teacher ICT Competencies in Developing Countries: An ODA Project Case in Peru
( Hyo-jeong So ) , ( Jongwon Seo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20] 제21권 제2호, 217~24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 벽지·농어촌 지역의 소규모학교들이 화상교실 시스템을 활용하여 공동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모델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 프로토타입을 도출하였고, 현장교사 인터뷰, 전문가협의회, 현장전문가 타당화를 통해 최종 모델을 도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화상교실을 활용한 공동교육과정 운영모델은 공동교육과정 운영과 공동화상수업 운영의 두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첫째, 공동교육과정 운영 활동은 협력요구분석, 공동교육과정 설계, 공동교육과정 개발,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동교육과정 평가의 5단계 10개 세부 운영 활동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공동화상수업 운영 차원은 공동화상수업 환경분석, 공동화상수업 설계, 공동화상수업 개발, 공동화상수업 운영, 공동화상수업 평가의 5단계 11개 세...
TAG ICT in education, Teacher ICT competency,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원격교육과 교육공학의 과제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619~643페이지(총25페이지)
2020년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19)로 인해서 원격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원격교육이 시작된 1800년대 이래 원격교육은 발전되고 확장되었다. 원격교육은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의 보완이며 일부 교수자와 학생에 적용되는 제한된 사례이었다. 2020년 코로나19 대응의 원격교육은 보완적이고 제한적인 사례를 초·중등 학교교육과 대학교육 전체로 확대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원격교육의 정의와 연구를 통해 이 분야의 지식기반을 탐색해보고 이를 기초로 코로나19 더 나아가 코로나 이후 교육공학 분야의 원격교육에 대한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격교육의 다양한 정의와 용어를 분석하여 개념의 확장성을 보았고, 원격교육의 정의에 내재된 요소와 원격교육 체제모델을 통해 원격교육의 운영요...
TAG distance education, remote learning, e-learning, COVID-19, educational technology, 원격교육, 원격수업, 이러닝, 코로나19, 교육공학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