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33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미디어 정보에 대한 중학생들의 평가 양상 탐색
조세린 ( Serin Jo ) , 고연주 ( Yeonjoo Ko ) , 이현주 ( Hyunju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1] 제41권 제1호, 59~70페이지(총12페이지)
대중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SSI)에 관한 미디어 정보를 비판적으로 평가하여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은 시민으로서 지녀야 할 과학적 소양의 한 측면이다. 본 연구는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선행되어야 할 학생들의 정보 평가 양상에 관한 것으로, 일상에서 접하는 SSI 미디어 정보를 과학적 요소가 강조된 수치정보와 정서적 공감이 강조된 공감정보로 구분한 후, 이러한 정보의 특성에 따라 중학생들의 정보 평가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탐색해보았다. 본 연구에는 중학생 96명이 참여하였으며, 신문기사 형식의 SSI 자료 내 정보의 신뢰도와 설득력 있는 정도를 묻는 질문지를 도입하였다. 질문지는 세 가지 SSI 주제에 대한 찬성 또는 반대 입장에 대해 과학적 요소가 강조된 수치정보와 정서적으로 호소하여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공감정보...
TAG Socioscientific issues, Scientific literacy, Information evaluation, Information reliability, Information persuasiveness,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과학적 소양, 정보 평가, 정보의 신뢰도, 정보의 설득력 있는 정도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과정적 관점 설명방식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김성기 ( Sungki Kim ) , 백성혜 ( Seoung-hye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583~59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기존의 밀도라는 개념은 현상에 대한 원인자를 제공하는데 한계점이 있으며, 부력이라는 개념은 많은 오개념을 갖고 있고 정량적 계산을 이해하기 위해 지나치게 어려운 개념이 필요함에 문제를 제기하여 지레의 원리를 적용한 과정적 관점의 새로운 설명방식을 제안하였다. 새로운 설명방식은 중력이라는 근본원리와 과정적 관점이 드러나도록 지레라는 가시적 도구를 활용하여 제안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많은 대안개념에 머물러 있었으며 밀도가 중력과 관련됨을 인식하는 교사는 절반이상 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이 현상을 물질적 관점으로 이해하면서 관점과 불일치하게 인식하였으나 수업처치 후 유의미한 개념 변화를 하였다(p<.000). 또한, 기존의 설명방식에 비해 원리와 과정적 관점을 잘 인식할 수 있다는 평가를 하였다. 이를 통해 지레의 원리를 도입한 과정적 과점의 설...
TAG process viewpoint, floating and sinking phenomena, Teachers’ perception, 과정적 관점, 뜨고 가라앉는 현상, 아르키메데스, 지레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개발된 수업 콘텐츠의 특징 분석
신정윤 ( Jung Yun Shin ) , 박상희 ( Sang He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595~609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사들이 개발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직접 제작한 10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의 제작 과정과 어려움,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하였으며, 연구참여자들이 제작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여 온라인 과학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은 교사가 수업 연구, 각본 작성, 수업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의 전 과정을 구상하고 수업 및 실험과정을 직접 촬영하는 형태로 제작되었거나 전자저작물이나 디지털교과서 등에 음성을 녹음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제작 시간 부족...
TAG teacher experience, teacher perception, content-based online science class, online science class video production, 교사 경험, 교사의 인식,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제작
테라포밍에 대한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소그룹 상호작용 중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박신희 ( Shin Hee Park ) , 최승언 ( Seung Urn Choe ) , 김찬종 ( Chan 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11~62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이것이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Vygotsky, 1978). 이에 따라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소그룹 상호작용의 특징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한 본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실제 수업에 활용할 9차시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4학년 초등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이다. 연구자는 수업자 및 관찰자로서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업 동영상 자료와 녹음 자료, 학생 면담 녹음 자료,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의성의 수준은 ‘Mini-C’ 창의성(Beghetto...
TAG Creativity, Creative ability, Modeling, Modeling-based learning, Small group interactions 창의성, 창의적 능력, 모델링, 모델링 기반 학습, 소그룹 상호작용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 내용 비교 연구
간치멕 ( Ganchimeg Gantumur ) , 곽영순 ( Youngsun Kwak ) , 차희영 ( Heeyong Cha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21~630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는 몽골과 한국의 중등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비교 분석하여 양국의 지구과학과 교육 내용을 점검하고 향후 지구과학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 교과의 변천 및 현행 운영실태를 파악하고, 다른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하며, 둘째, 몽골과 한국의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는 지구과학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서 중학교는 TIMSS 평가틀을 활용하였고, 고등학교는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 표준(NGSS)과 한국의 고등학교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내용을 혼합하여 전문가의 타당도 분석을 거쳐서 분석틀을 만들었다. 연구 결과, 몽골과 같이 러시아식 교육 체제를 따르고 있는 국가들에서는 지구과학을 독립적인 과학과목으로 편성·운영...
TAG international comparison of national curriculum, science curriculum, earth science curriculum, curriculum contents, TIMSS, 교육과정 국제비교, 과학교육과정, 지구과학교육과정, 교육과정내용
‘설다’와 ‘익다’의 너나들이 -이종네트워크로서 과학학습-
정용재 ( Yong Jae Jou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31~648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는 과학학습에서 무엇에 주목해야 하느냐는 고민의 연장선에서 이종네트워크로서의 과학학습의 의미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 이론적 논의를 통해 이종네트워크가 갖는 특징을 이종적 구성, 관계에 의한 존재, 번역에 의한 구축과 변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과학학습 역시 이러한 이종네트워크의 특성이 있음을 논의하였다. 더불어서, 이종네트워크로서 과학학습은 우리에게 사물의 격상, 결절된 이종네트워크로서의 개념, ‘설다’와 ‘익다’의 너나들이라는 이종네트워크의 구축과 확장으로서의 학습 과정에 주목할 것을 요청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이를 바탕으로 과학학습과 관련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TAG heterogeneous network, Actor-Network Theory, ANT, science learning, neonadeuri of unripe and ripe, 이종네트워크,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과학학습, 설다와 익다의 너나들이
과학사 과목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을 위해 필요한 학습 요소 및 관련 성취기준 위계성 분석
이종택 ( Jong-taek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49~656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과 진로선택과목 중 하나인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이 낮은 문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사 과목의 한국의 전통 과학 단원에서 다루는 전통 천문의기 9종과 관련한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내용의 적합성과 위계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년군을 달리한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각각의 천문의기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출발점으로 하여, 전통 천문의기와 관련된 구체적인 성취기준 또는 탐구 활동을 개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한국의 전통 과학문화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제고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과학사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택률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G History of Science, Korean Traditional Science, Korean Traditional Astronomical Instrument, Content hierarchy analysis 과학사, 한국의 전통 과학, 한국의 전통 천문의기, 학습 내용위계성 분석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손미현 ( Mihyun Son ) , 정대홍 ( Daeho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57~670페이지(총14페이지)
지식정보화 사회가 되면서 기존과는 다른 유형의 사회 문제들이 발생하고, 이를 파악하고 해결하는데 필수적인 역량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꼽을 수 있다. 지식정보처리역량은 정보의 수집과 분석, 활용을 할 수 있는 역량으로 학문 분야에 따라 그 적용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일반 소양적인 측면과 교과 맥락적인 측면으로 나누어 교육할 수 있다. 과학에서의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 교육은 이제까지는 일반 소양적인 측면에서 주로 실행됐으므로, 과학 탐구 활동을 통해 교과 맥락적인 측면에서의 교육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지식정보처리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과 수업전략을 개발하였다. 모형과 수업전략은 설계·개발 연구방법론에 따라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모형과 수업전략을 1차 개발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내적 타당화 과정...
TAG Data-driven Science Inquiry, ESDA inquiry model, Knowledge-information-processi ng competency, Data literacy,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ESDA 탐구모형, 지식정보처리역량, 데이터 리터러시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간 관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이경호 ( Gyoungho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6호, 671~68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교육의 의미와 정체성을 탐구하는 한 가지 시도로써, 교과교육과 함께 이와 관련이 깊은 학문, 교과, 교과내용간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분리적’ 관점의 기원을 살펴보고 이 관점이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간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질적-총체적’ 관점에서 이들 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분리적’ 관점은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간의 유기적이며 전체적인 관계를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는 관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교과교육이 현재의 지평을 넘어 새로운 지평을 열고 모학문, 교과, 교과내용 등과의 온전한 관계를 회복하며 질적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존의 ‘분리적’ 관점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한...
TAG academic discipline, subject, subject content, subject matter education, science education, historical flow and context of inquiry, practices, ‘essential-holistic’ perspective, 학문, 교과, 교과내용, 교과교육, 과학교육, 역사적 흐름과 탐구 맥락, 실천전통, ‘본질적-총체적’ 관점
과학 교수학습 모바일 활동에 대한 국내 문헌 분석 -학습자 주체성 지원에 관하여-
김효준 ( Hyojoon Kim ) , 송진웅 ( Jinwoong S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451~462페이지(총12페이지)
과학 교수학습에서 온라인 학습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모바일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학습 활동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학습자 주체성(learners’ agency)의 발현을 지원해 줄 수 있는 모바일 테크놀로지는 ICT 활용 교육의 핵심적 도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부터 2020년 4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학술지 게재논문 중 과학 교수학습에서의 모바일 활동에 관한 연구 문헌 22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대해 모바일 활동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학습자 주체성 발현에 대한 지원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단계로, 국내 과학교수학습의 모바일 활동 분석을 위해 Suarez et al. (2018)의 분류틀을 수정·보완하여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모바일 활동 유형을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다음 단계로, 과학 ...
TAG mobile activity,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learners’ agency, 모바일 활동, 과학 교수학습, 학습자 주체성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