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3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학교 학교교과목 현상에 대한 의문과 이에 대한 해명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교교과목 현상을 둘러싼 의문들을 살펴보고, 학교교과목 현상을 지지하는 입장에서 이에 답해보고자 하였다. 학교교과목에 대한 의문은 학자에서 교사까지 다양하며, 이는 크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1) 학문으로서 교과를 인식함으로써 오는 의문, 2) 교과의 고정불변성에서 오는 의문, 3) 교사가 만든 것은 단원이라는 인식에서 오는 의문, 4) 학교교과목의 현장 과중함과 관련된 의문. 학교교과목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문은 교과를 구성하는 일부 축이라는 것, 교과는 고정성도 지녔지만 생성성도 지녔다는 것, 교과를 개발하는 행위는 다양한 층위와 방식이 존재한다는 것 등, 교과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학교교과목이 현재 교사 교육과정을 드러내고, 초등교육에 적합한 교육과정 조직을 찾아가는 마중물이 될 거라는 믿음이 ...
TAG 교과, 학교교과목, 교사 교육과정, subject matter, school subject, teacher curriculum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 탐색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27~5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실수준의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한 일(활동)을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9명의 초등교사가 자신의 교실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사례(총 9사례)를 수집하고, 사례에 대해 3번 면담을 수행하여, 사례연구리뷰(case study review)를 수행하였다. 이에 초등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내용을 다음과 같이 탐색하였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면서 하는 일/활동 목록, 총 234개 추출하였다. 둘째, 각 목록을 다시 교사가 발휘하는 능력으로 재진술하고, 이를 3개, 결정력, 창안력, 조정력으로 범주화하고, 각 범주별로 32개의 요소를 탐색하였다.
TAG 교육과정 문해력, 교육과정 개발,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개발, curriculum literacy, curriculum developing,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expertise
초등교사의 통합교육과정 개발 원천에 관한 연구
이윤미 ( Yunmi Lee ) , 박희진 ( Heejin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53~75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선택하는 '조직 중심체(Organizing Centers)'를 분석함으로써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원천과 그 실제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있는 전국의 초등교사 5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조직중심체는 ‘교과에서 다뤄지는 주제’이고, 이 주제는 성취기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과 이외의 조직 중심체를 선택할 때에는 ‘학생들의 삶과 관심’이 개발의 기준이 되고 있었다. 셋째, 사회문제나 쟁점, 교사 본인의 관심이나 흥미를 조직 중심체로 사용할 때는 비교적 성취기준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교사들은 사회문제나 쟁점, 학생의 관심이나 문제를 기반으로...
TAG 통합교육과정, 조직 중심체, 교육과정 개발의 원천, 교사교육과정, integrated curriculum, organizing centers, source of curriculum development, teacher curriculum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해결과제와 방향성 고찰
정주영 ( Jooyoung¸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77~111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초등학교 1-2학년군의 통합교과가 직면한 과제를 고찰하여 통합교과가 해결하고 지향해야 할 바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특징을 검토하고, 제기될 수 있는 과제를 제시한 후,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 통합교과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연구 결과, 특수교육통합교과는 기본 교육과정의 성격 규정, 통합교과의 성격 규정, 생활 주제의 적절성, 통합교과에 관한 공감대 형성, 내용으로서 주제의 적절성,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 등의 여섯가지의 과제가 제기되었다. 해결 방안으로는 첫째, 통합교과의 성격과 정체성에 관한 공감대 형성과 합의, 둘째, 타당한 통합교과 주제의 도출과 선정, 셋째, 기능적 교육과정을 넘어서는 생활 주제가 지향하는 가치와 탈학문적 통합교과에 관한 공감대...
TAG 특수교육 통합교과, 기본 교육과정, 특수교육교육과정, 생활 주제 중심 교육과정, integrated subject of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of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life-themed curriculum
초등교사가 성취기준을 해석하는 사례 연구
하언지 ( Eonji¸ Ha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113~138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성취기준으로 수업을 만드는 과정에서 성취기준을 어떻게 해석하는지를 기술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교사의 성취기준 해석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진교사가 수업을 실행하며 성취기준을 해석한 사례를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의 성취기준 해석을 성취기준의 사용 방식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성취기준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해석한다. 이때 성취기준에서 내용을 선정하였다. 둘째, 성취기준을 ‘범주’로 교육과정 내용을 해석한다. 이 경우 교육내용을 교수학적 해석의 요소와 관련해서 정한 후 그 내용이 성취기준의 범주 안에 속하는지 확인한다. 셋째, 성취기준을 ‘도구’로 교육과정 내용을 해석한다. 이는 교육목적에 따라 내용을 정한 다음 이를 성취기준과 연결시키는 방식이었다. 이 세 가지 방식 모...
TAG 교육과정 해석, 성취기준 해석, 교사의 해석능력, Interpretation of Curriculum, Interpretation of Achievement Criteria, Teacher’s interpretative abilities
중국불교의 교판론에 대한 교육적 이해 - 천태(天台)의 오시팔교판(五時八敎判)을 중심으로
이승철 ( Seungchul Lee ) , 지준호 ( Chunho Chi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139~15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 교학불교의 독창적 이론인 교판론(敎判論)에 대한 교육학적 입론을 전제로 그 교육적 함의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소개의 논제를 다루고 있다. 첫째, 중국 사상사에서 불교의 전래와 수용 과정을 검토함으로써 교판론이 요청된 필연적 상황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전체 교학에서 교판론이 갖는 위상과 역할을 검토하고 있다. 둘째, 천태교학이 제기하는 교판론을 특히 경전 분류의 준거에 따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교판에 대한 교학불교의 실제 사례를 확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논의들을 통해 제기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의를 소략한다면 교판론은 다음과 같은 교육적 의의를 갖는다. 교판론은 난무하는 지식으로 인하여 교육의 본의가 위협받을 때 이들 속에서 옥석(玉石)을 가려내야 하는 교수자의 책무와 태도,...
TAG 교학불교, 敎學佛敎, 교판론, 敎判論, 교시, 敎示, 천태, 天台, 오시팔교, 五時八敎, Buddhist theory, discrimination of teaching, Tendai Buddhism, Buddhism education theory, fundamental techniques
NIE에서 시넥틱스를 활용한 이야기 만들기 - 초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김은정 ( Eunjeo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4호, 155~17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NIE에 애니메이션 및 동화를 도입하여, 시넥틱스 기법으로 초등학생들이 창의적인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2020년 2학기에 온라인으로 23명의 초등학생들에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학생들의 작품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이야기 만들기의 형태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애니메이션과 동화의 구성요소와, 신문의 이미지와 글자를 연결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출한다. 둘째, 애니메이션, 신문, 동화의 구성요소들 중에서 학생들은 주로 신문과 애니메이션 혹은 동화의 구성요소들을 연결시키는 형태를 취했다. 셋째, 이야기 만들기에서 애니메이션이나 동화의 이미지를 많이 활용할수록 원작품에 기반하여 이를 수정한 형태가 되고, 신문의 구성요소를 많이 활용할수록 원작품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TAG NIE, 시넥틱스, 창의적인 이야기, 신문, 애니메이션, 동화, creating a story, Synectics, newspaper, animation, fairy tales
2015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정체성으로 인한 학습결과 차이
홍영기 ( Youngki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1~31페이지(총31페이지)
본 글은 2015개정 통합교과교육과정 적용과정에서 국가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통합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학생들의 학습결과에 끼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4차 개정부터 2015개정까지 통합교과에서 다루는 내용과 범위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 결과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개정에 따른 통합교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 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교과에서 다루는 내용의 변화가 교사의 수업계획과 학습에 주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교사의 통합교과 수업계획과 학습결과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수업 사태의 조망을 통해 교사의 통제 밖의 상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표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학습결과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
TAG 2015개정 통합교과교육과정, 성취기준, 내용체계, 수업계획, 학습결과, 2015 revised integrated subject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content system, lesson plan, learning results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를 위한 ‘특별활동 운영’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 개발
박일수 ( Ilsoo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33~57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의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를 위한 ‘특별활동 운영’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는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실로꿴형의 통합교육과정 모형을 활용하여 개발되었다.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의 교육내용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미래교육과 인공지능 및 소프트웨어, 스크래치 및 엔트리 저작도구 실습, 소프트웨어 연계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등으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는 코로나 19로 인하여 온라인으로 진행되었다. 소프트웨어 융합강좌의 절차는 강의개요 제시, 온라인 강의, 과제(보고서, 실습, 프로젝트), 피드백 및 평가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특별활동 운영’ 소프트웨어 융합 강좌는 예비교사는 창의적 체험활동 지도 역량과 소프트웨어 교육 역량 강화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가 소프트...
TAG 소프트웨어 교육, 융합, 창의적 체험활동, 특별활동, 통합교육과정, software education, convergence,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extra curricula activities, integrated curriculum
교과에 관한 선험적 정당화 논의의 재음미
박채형 ( Chaehyeong Park ) , 조상연 ( Sangyeon J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59~79페이지(총21페이지)
외재적 정당화와 내재적 정당화는 교과의 가치를 보여주는 두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여겨지고 있다. 피터즈와 허스트는 이들 두 가지 방식 중에서 오직 후자를 고집한다. 전자가 교과의 가치를 보여주는 일에 관심을 두고 있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그것은 거기에서 활용되는 수단-목적 관계의 사고방식으로 말미암아 교과를 팽개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러한 불행한 사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수단-목적 관계의 사고방식을 대신할 새로운 도구로 논리적 가정을 채택하면서 내재적 정당화의 한 가지 사례로 알려진 선험적 정당화 논의를 전개한다. 그런데 그들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는, 교과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적극적인 담론이 아니라, 논리적 가정을 파고들면서 교과가 가치롭다는 결론에 이르는 소극적인 담론이다. 그들의 선험적 정당화 논의가 여러...
TAG 교과, 가치, 외재적 정당화, 내재적 정당화, 실재, school subjects, value, extrinsic justification, intrinsic justification, reali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