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경제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경제연구29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구직자의 산림일자리 취업 결정요인 분석
김기동 ( Ki Dong Kim ) , 김명관 ( Myeong Gwan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20] 제27권 제1호, 11~19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산림일자리의 인지도와 취업의향을 조사하여 구직자의 산림부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산림일자리 20개 부문의 인지도와 산림일자리 취업의향, 피설문자인 구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해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항 로짓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피설문자인 구직자들은 전일제 근무를 원하는 응답자가 63.2%를 차지하였으며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있는 구직자는 58.2%로 나타났다.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없는 이유는 적성과 전공이 맞지 않아서가 54.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일자리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은 재취업자의 경우가 신규 취업자보다 4.15배, 전일제 근무희망자가 ...
TAG 구직자, 노동, 산림일자리, 이항로짓, Binary-logit analysis, Forest jobs, job-seeker, Labor
도서지역 산림관리를 위한 산림사업의 중요도 만족도 분석 -전북 부안군 위도를 중심으로-
이호상 ( Ho-sang Lee ) , 현창석 ( Chang-seok Hyun ) , 정수영 ( Su-young Jung ) , 이광수 ( Kwang-soo Lee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20] 제27권 제1호, 21~33페이지(총13페이지)
최근 도서 산림에 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함에 따라 도서 산림 경관의 가치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될 수 있도록 도서 산림관리와 이용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위도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산림관리 인식을 파악하고, 산림사업에 대한 IPA를 통한 지속가능한 산림관리에 필요한 산림사업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IPA 분석결과, 산림사업에 대한 중요도(4.01)에 비해서 만족도(2.93)가 낮게 나타났다. 중점적 개선이 요구되는 숲 가꾸기 사업, 산림휴양 조성사업은 우선적 전략 대응이 필요하며, 유지관리 영역에 분류된 산림생태계 보전 및 관리, 등산로ㆍ둘레길 조성사업은 현상 유지하고, 저 우선순위는 산림자원을 활용한 지역 활성화로 일부 개선이 요구되며, 과잉노력 지양영역에 분류된 조림사업, 산림재해 방지 사업에 대한 투자를...
TAG 산림관리, 도서산림, 산림사업, 중요도 만족도 분석, 지역주민, 위도, Forest management, Island Forest, Forest project,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Local residents awareness, Wido
중국 소비자의 버섯류 소비행태와 선호 속성
민경택 ( Kyungtaek Min ) , 구자춘 ( Ja-choon Koo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20] 제27권 제1호, 35~45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소비자들의 버섯류 구매행태와 버섯류 속성에 대한 선호를 조사하여 버섯류 수출 또는 수출용 종균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국 상하이시 18세 이상 시민 1,05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버섯류 섭취 빈도 조사에서 ‘1주일에 2∼3회(42.3%)’가 가장 많고, 가정 소비가 52%를 차지하여 외식(23%)과 급식(25%) 보다 높다. 선호하는 버섯은 팽이, 표고, 느타리, 양송이, 목이의 순이며 요리 방법은 탕류, 찌개류, 샤브샤브, 볶음 순이다. 신선 버섯 구입에서 친환경 인증, 신선도, 브랜드 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공제품 구입에서는 첨가제 유무, 브랜드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류 속성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
TAG 선호, 소비자 조사, 중국, 컨조인트 분석, China, conjoint analysis, consumer survey, mushroom, preference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소비자니즈 분석 - Generative Tools를 적용하여 -
유현정 ( Hyun Jung Yoo ) , 김동준 ( Dongjun Kim ) , 송유진 ( Eugene Song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20] 제27권 제1호, 47~60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임가의 소득 향상을 위하여 식용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소비자니즈를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소비자 25명을 대상으로 Generative Tools 조사기법을 적용하여 소비자니즈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해 간편성, 친환경성, 건강 증진을 니즈로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해 상품의 포장과 심미성에 대한 니즈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기소득임산물과 같은 슬로우푸드를 재료로 하는 ‘정성스런 가정식’을 위한 위생과 안전이라는 니즈가 도출되었다. 이상의 소비자니즈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단기소득임산물 제품 개발방안은 첫째, 단기소득임산물을 재료로 한 반조리 가공 식품을 개발하고, 둘째, 세척식재료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TAG 단기소득임산물, 소비자니즈, 소비활성화, Generative Tools, non-timber forest products, consumer needs, consumption increase, generative tools
광양 백계산 동백자원을 활용한 6차산업화 방안에 관한 연구
박문수 ( Moom Su Park ) , 최수임 ( Soo Im Choi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9] 제26권 제2호, 1~8페이지(총8페이지)
전라남도 광양시에서는 「백계산 동백나무 조성사업」을 통해 2018년부터 2027년까지 총 682㏊의 동백나무를 조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동백나무를 활용한 6차산업화를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도모할 계획이다. 본 연구에서는 백계산 동백나무를 활용한 6차산업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결과 1단계(2018∼2022)에서는 동백나무가 조성되면 주요 산물인 종자는 5년차부터 수확되기 때문에 초기에는 생산과 가공이 연계되지 못한다. 따라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체험프로그램과 산림복지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사업의 홍보 및 시너지효과를 창출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제2단계(2023∼)에서는 동백나무자원화가 가능하여 동백나무를 활용한 휴양 및 힐링자원이 확대된다. 따라서 타 산업 및 전문가들과 파트너십을 통해 융합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할 필요가...
TAG 동백나무, 6차산업화, 비즈니스, 산림복지, 소득, Camellia japonica L., 6th Industrialization, Business, Welfare, Income
완도 삼두 산촌마을 활성화 요인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분석
박종석 ( Jongseok Park ) , 김민희 ( Minhee Kim ) , 안기완 ( Kiwan A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9] 제26권 제2호, 9~21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노령화와 과소화 등 쇠퇴에 따른 산촌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산촌의 발전이 지역의 활성화로 연계될 수 있다는 인식하에 주민참여를 바탕으로 향토자원을 활용한 산촌활성화 요인을 도출하고자 수행하였다. 이에, 전라남도 완도군 삼두 산촌마을을 대상으로 산촌활성화를 위한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마을주민을 대상으로 인식에 대한 조사 결과, 6차산업이 마을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다소 늦더라도 주민들이 참여해서 함께 일을 하는 것이 사업의 효과를 가장 높일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특히, 마을기업 형태의 사업 추진을 통해 6차산업을 추진하고, 상품의 차별화·브랜드화, 수익 창출 구조를 갖춘 마을 개발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주민참여를 기반으로 한 상향식산촌사업 추진, 마을 리더 양성 및 산촌마을 지원 지역공동체형 거버넌스 구축...
TAG 산촌, 6차산업, 산촌활성화, 마을기업, 완도, Local Residents, 6th Industry, Samdu Mountain Villag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Governance, Wando-gun
우리나라 산림정책 및 경제 연구 동향
박미선 ( Mi Sun Park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9] 제26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 산림정책과 경제에 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1962년부터 2016년까지 한국산림과학회지(구 한국임학회지)에 게재된 산림정책 및 경제 논문 452편을 수집했다. 산림정책 및 경제 관련 논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량적으로 증가하였고 질적으로 다양화되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재조림과 산림관리를 위한 기반 시설 및 제도에 관한 연구가 집중적으로 수행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를 지향하는 다목적 관리 개념이 도입되었다.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산림정책 및 경제 연구에서 도시숲, 기후 변화, 비목재임산물, 산림 치유 및 치료 등 새로운 학문영역이 등장하였다. 최근 산림정책 및 경제 연구는 산림관리와 사회환경 이슈의 연계성을 강조하고 있다.
TAG research trend, forest policy, forest economics
중국 상하이시 소비자의 주요 단기임산물 선호도 분석
민경택 ( Kyung-taek Min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9] 제26권 제1호, 11~22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단기 임산물의 중국 수출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의 단기 임산물 선호도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 상하이시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 건표고와 곶감의 속성별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 컨조인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공제품 선호도 조사 결과, 밤은 고유의 맛을 잘 살린 제품, 표고버섯은 조리용 제품, 떫은감은 특유의 형태와 맛을 살린 제품, 산양삼은 건강기능성 향상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건표고와 곶감에 대한 컨조인트 분석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중국산 원산지에 강한 선호도를 보이고, 곶감은 식감과 포장의 부분가치가 원산지 부분가치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건표고는 완전히 새로운 가공제품 개발, 곶감은 식감을 부드럽게 하고 플라스틱 개별포장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
TAG Non-timber forest products, export strategy, market survey, conjoint analysis, China
단기소득임산물의 소비자 구매행태 연구
유현정 ( Hyun Jung Yoo ) , 김동준 ( Dongjun Kim ) , 송유진 ( Eugene Song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9] 제26권 제1호, 23~33페이지(총11페이지)
단기소득임산물의 소비활성화를 위하여 소비자의 단기소득임산물 구매행태, 연상이미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결과에 의하면 수실류, 버섯류, 산채류는 구매 경험, 만족도, 재구매의향이 높게 나타났고, 약용식물과 수액의 재구매의향이 낮게 나타났다. 약용식물과 수액의 재구매의향이 낮은 이유는 품질과 가격에 대한 불만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격지불의사를 보면 단기소득임산물 전반에 대해 국내산, 고품질, 신선한 상품 구매를 위한 가격 지불의사가 다른 특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단기소득임산물을 구매할 때에 소비자가 가장 많이 고려하는 사항은 수실류는 맛, 버섯류와 산채류는 신선도, 약용식물은 기능성, 수액은 위생/안전이고, 소비자가 가장 먼저 확인하는 사항은 수실류, 산채류, 약용식물, 수액은 원산지, 버섯류는 신선도이다.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해 소비자들이 ...
TAG non-timber forest product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임가의 소득격차와 임가 특성과의 관계
김보경 ( Bo-kyeong Kim ) , 김동현 ( Dong-hyun Kim ) , 김의경 ( Eui-gyeong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산림경제연구 [2018] 제25권 제2호, 1~9페이지(총9페이지)
소득불평등의 문제점은 소득이 높은 집단의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소득이 낮은 집단의 소득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소득격차가 전체 임가소득의 소득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년과 2015년의 양극분위비율 변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60대 이상의 임가, 부업임가, 밤나무재배업, 버섯재배업, 10ha 이상의 산림을 소유한 임가의 소득격차가 전체 임가소득의 소득격차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Forest household income, Income disparity, Income structu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op-bottom quintile ratio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