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송석호 ( Song Suk-ho ) , 김민경 ( Kim Min-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58~67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
TAG Green Infrastructure, History of Seoul, Japanese Colonial Period, Landscape Plants, Poplar, Street Trees, 가로수, 그린인프라, 서울의 역사, 일제강점기, 조경식물, 포플러
제주도 민속식물인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L.) Mill.)의 분류학적 검토 후 명명
양영수 ( Yang Young-soo ) , 최병기 ( Choi Byoung-ki ) , 오홍식 ( Oh Hong-shi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68~73페이지(총6페이지)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선인장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비교를 통하여 종을 분류하고 오동정을 바로잡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온 Opuntia ficus-indica 또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Opuntia stricta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의 형태학적 비교에서 O. stricta는 기존 보고 종에 비해 식물크기, 엽상경의 형태, 꽃과 열매의 색, 자좌의 특징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분류군의 학명을 Opuntia stricta로 정정하고, 국명으로 ‘해안선인장’을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양한 연구문헌 및 국가 생물다양성 운영기관에서도 종의 오동정를 확인...
TAG Ethno Botanical Plant, Hae-an-sun-in-jang, Jeju, Misidentification, Opuntia, 민속식물, 선인장, 오동정, 제주도, 해안선인장
명승 제15호 ‘남해 다랑이논’ 석축의 훼손 실태
홍윤순 ( Hong Youn-soon ) , 김오연 ( Kim Oh-ye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74~85페이지(총12페이지)
경상남도 남해군의 가천마을 다랑이논은 한국의 산업기반형 역사문화 명승 중 가장 먼저 지정된 환경이며 지금까지도 농업활동을 수반하는 유일한 대상이다. 이곳의 기반환경인 석축은 그 특성상 자연적, 인위적 변형이 될 수밖에 없는 한계를 보유하나 이제까지 그 상황을 고찰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5월 말을 기준으로 명승 지정범위의 약 30%에 달하는 조사가능 하부영역의 훼손 실태를 정량적, 정성적 측면에서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 대상환경 내 다랑이논 석축의 물리적 훼손을 드러내는 유실상태는 해안가 주변과 경사가 높은 북쪽 지역, 관광안내소와 주차장 인근 등에서 특히 심각하였다. 반면 석축 훼손의 정성적 측면은 마을 및 주차장 등과 인접한 석축에서 이질적 재료로 보수한 양상이 눈에 띄게 나타났으며, 거주지와 멀리 격리된...
TAG Cultural landscape, Industrial-based Scenic Site, Infra-Structure, Rice Terraces, Stone Retaining Wall, 기반환경, 다랑이논, 문화경관, 산업기반형 명승, 석축
남양주 궁집(宮집) 외부공간 기본계획에 관한 연구
민병욱 ( Min Byoung-wook ) , 김미연 ( Kim Mi-ye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86~100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중요민속문화재 제130호 ‘궁집’과 그 일대에 대한 복합문화시설화 계획을 진행한 결과물이다. 특히, 차후 공공에 개방될 궁집과 한옥 부속사들로 구성된 역사·문화단지의 외부공간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새로운 접근을 소개하고 그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기존 궁집은 건축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된 상태지만, 궁집과 건물군으로 구성된 단지로서 대상지는 체계적인 공간 체험에 대한 계획의 부재, 구체적인 공간프로그램의 미비, 관리되지 않은 녹지로 인한 공간의 음지화 등의 문제로 공공공간으로 활용하는 데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계획안은 크게 공공공간으로서 역사경관에 대한 의미 존중과 현대적 활용에 대한 균형을 추구하였다. 기초조사와 연구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전략은 크게 궁집의 장소성 강화, 대상지의...
TAG Cultural Space, Gungjip House, Hanok’s Outdoor Space, Important Folklore Cultural Heritage, Spatial Planning, 공간계획, 궁집, 문화공간, 중요민속문화재, 한옥 외부공간
설계과정을 통해 본 정원박람회 작가정원의 전통재현 특성
이송민 ( Lee Song-min ) ,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4호, 101~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정원박람회에 출품한 작품 중에서 전통을 테마로 설정한 작가정원 14개소의 사례연구로서 문헌 분석과 현장 조사로 진행하였다. 전통재현을 결정하는 설계과정에 주목하고 작품마다 설계목표 수립, 전통재현의 대상 선정, 재현의 방법 결정, 경관구성요소 디자인 단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전통재현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다수의 작가정원에서 전통구조물을 재현 대상으로 선정한 양상은 좁은 부지에 적합하고 주제 전달성이 좋다는 장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들은 작품명에 마당, 울, 부뚜막, 장독대, 취병과 석가산 등 전통구조물의 명칭을 넣어 설계의도를 직접 전달하였는데, Wall, 한국정원, 수원, 서울 장인처럼 간접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은 주제 전달성이 상대적으로 약하다. 선비, 여백, 풍류와 같이 재현대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도 있었다. 둘째,...
TAG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Tradition, Landscape Elements, Suitability of Design, Themes Communicability, 경관구성요소, 디자인의 적합성, 전통인식과 이해도, 주제 전달성
조선시대 궁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홍형순 ( Hong Hyoung-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 시대 궁궐에서도 학을 길렀는가에 대한 확인과 함께 그 사례를 고찰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공간적 범위는 외전, 내전, 궐내각사, 궐외각사 등 궁궐 전체를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일부 원문 자료를 발췌·번역하여 고찰하였으며, 이와 함께 한국고전번역원 데이터베이스(http://db.itkc.or.kr)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선 시대 최고 관부인 의정부에서는 전기 때부터 학을 길렀다. 임진왜란 이후 위상 변화와 청사의 훼철로 인해 의정부에서의 양학은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선 시대에 경연과 언론 기능을 담당하며 왕을 측근에서 보좌한 홍문관에서의 양학은 조선 전기 중종 대부터 임진왜란 이후 정조 대에까지 이...
TAG Dooloomi, , Hongmungwan, 弘文館, Kyujanggak, 奎章閣, Uijeongbu, 議政府, 규장각, 두루미, 의정부, 홍문관
청도 공암풍벽과 거연정(Geoyeonjeong) 별서원림의 재조명
김정문 ( Kim Jeong-moon ) , 정푸름 ( Jeong Poo-reum ) , 노재현 ( Rho Jae H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11~2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원림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소외되어 잊혀져 가는 청도 거연정을 재조사하여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고 그간 정원의 변화상과 실태를 검토하는 한편 향후 원림내 구성 요소의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또한, 거연정원림 영향권인 공암풍벽까지 확대하여 재조명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수헌유고』 에 배를 타고 노는 선유풍류(仙遊風流)를 읊은 내용으로 볼 때 동창천과 공암풍벽은 거연정과 일체감을 갖는 정원 영역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거연정 경영 내력에 “병암(병풍바위) 아래로 나아가 작은 정자를 짓고 거연정이라 편액했다. 원림을 개간하고 화훼를 북돋아 심었다.”고 하는 기록으로 보아 청수헌 윤봉한은 공암풍벽 일대를 거연정의 경관적 영향권인 외원(外園)으로 인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공암과...
TAG Cheongsuheon, Cheongsuheonyugo, Gongam, Gyeong, , Punghodae, Uidang, 義堂, Unmun-Gugok, , 운문구곡, 의당, 청수헌, 청수헌유고, 풍호대
국내 명승 정책과 미국 국립공원 시스템의 지정 특성 비교
이원호 ( Lee Won-ho ) , 김동현 ( Kim Dong-hyun ) , ( Janet R. Balsom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25~3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명승과 미국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정의 및 주요 가치, 지정 절차 및 유형, 지정추이를 살펴보고 두 자연유산의 지정 특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명승은 경관성을 기본 전제로 학술적, 역사적, 인문적 가치를 포함하는 복합유산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미국 국립공원은 공공성을 기반으로 하는 자연유산으로서 경관의 보호를 통해 국민의 자연유산 향유에 기여하고 생태적·역사적 가치를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둘째, 명승의 지정은 소유자나 관리자, 지자체의 요청이나 문화재청장의 직권으로 지정신청과 지정조사를 거쳐 문화재 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지정여부를 결정한다. 지정조사는 기초자원조사와 유형별 자원조사로 구분되며, 1970년 명주 청학동 소금강의 최초 명승 지정 이후 2000년대까지 명승 지정은 저조...
TAG Designation Category, Designation Tendency, National Park Service, Policy of Vitalizing Scenic Sites, 국립공원청, 명승 활성화 정책, 지정유형, 지정추이
경주 황성공원의 관속식물상 연구
유주한 ( You Ju-han ) , 김영훈 ( Kim Yeong-hun ) , 천겅 ( Chen Ge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35~4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경주시 내 황성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분석하여 도시림의 생태계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총 78과 222속 296종 5아종 18변종 6품종 4잡종 9재배품종 등 338분류군이며, 식재종 110분류군, 자생종 2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표적인 식재종은 맥문동이었다. 희귀식물은 7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Ⅴ등급은 1분류군, Ⅳ등급은 4분류군, Ⅲ등급은 7분류군, Ⅱ등급은 4분류군, Ⅰ등급은 8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팝나무는 우리나라 전통 조경수목을 대표하며, 생태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이팝...
TAG Ecosystem, Naturalized Plant, Rare Plant, Urban Forest, 귀화식물, 도시림, 생태계, 희귀식물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최희경 ( Choi Hee-kyung ) , 이진민 ( Rhie Jin-mi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50~63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물적 환경 뿐 아니라 사회, 역사, 문화, 경제 등 비물적 요소까지 확장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고 국내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내용 분석 및 유형화와 향후 방향성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사업 관점에서 역사문화콘텐츠 개념을 정의하고 총 33개의 도시재생사업과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역사문화 관련 사업의 내용 분석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내용적 측면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은 문화예술형, 지역 자산형, 경제문화형, 역사유산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도시재생 선도사업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은 주로 물리적 재생과 결합하여 시행된다. 셋째,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을 활용하는 사업이 다수 나타나는 반면지역민과 공...
TAG Contents, Culture, History, Urban Regeneration, 도시재생, 문화, 역사, 콘텐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