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115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 연구
윤지효 ( Yoon Jihyo ) ,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143~154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오프라인 서점들은 온라인 서점의 확장에 위기를 맞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다. 이는 대형서점들의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변화로 이어졌다. 대형서점들은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해외의 모범적 사례들을 벤치마킹하여 책 판매공간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설들과 복합화를 이루게 되었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사회문화적 플랫폼으로 거듭나기 위해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에 발맞추어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사회적 특성을 바탕으로 대형서점의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분석을 통해 대형서점에 나타난 복합문화공간의 플랫폼화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대형서점의 개념과 공간적 인식을 고찰했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대형서점에...
TAG Large Bookstore, Complex Cultural Space, Platform, Complex Space, Urban Culture, 대형서점, 복합문화공간, 플랫폼, 복합공간, 도시문화
수원시 글빛누리공원 설계 연구
백종현 ( Baek Jong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155~168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개발 과정에서의 도시 공간 조성에 있어 보존해야 할 가치와 새롭게 창출되어야 하는 가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도시의 대표적 공공공간인 공원에서도 기존 경관자원의 보존 및 활용과 더불어 도시에서 새로운 여가문화의 장으로서의 기능이 함께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빛누리공원의 설계전략과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현대도시에서의 다양한 가치가 조화되는 도시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도시공간에 있어 경관 보존 및 활용에 관한 흐름을 살피고 문화경관의 관점에서 대상지의 초지경관을 보존하는 의의를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미술관, 도서관 등 문화시설의 기능이 공원으로 확장되는 과정을 탐색하여 도시기능이 확장되는 공원의 개념과 구체적 설계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AG Cultural landscape, Grassland landscape, Library park, Urban park, Park design, 문화경관, 초지경관, 도서관공원, 도시공원, 공원 설계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 인프라로서의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이지미 ( Lee Jim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169~17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 배경 및 목적) 지역 공동체 구성원들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은 공동체 활성화를 촉진하는 사회적 인프라로 분류될 수 있다. 더불어 다양해진 지역민들의 요구수용과 높은 토지비용, 공간 조성에 수반하는 비용 문제를 해결하는 효율적 대안으로 시설 복합화 방식이 큰 흐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 복합화는 제한된 토지 사용과 비용 효율화의 필요성을 넘어 지역 공동체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 실현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이르기까지, 건축을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수용이 불가피한 현대건축이 당면한 상황을 반영한 특징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배경 아래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공간 활용 특성을 도출하고 지역 커뮤니티 공간 시설 복합화 양상을 유형화하여 사례 연구를 통해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통해 지...
TAG Local Communities, Social Infrastructure, Community Spaces, Elements of Space Revitalization, Mixed-Use Facilities, 지역 공동체, 사회적 인프라, 커뮤니티 공간, 공간 활성화 요소, 시설 복합화
폐간이역 유휴공간의 공공적 활용 연구
이유빈 ( Lee Yubin ) , 이재규 ( Lee Jae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179~192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유휴공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은 증대하고 있으나 시설물들이나 부동산에 대한 관점에서만 접근하고 있어 유휴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활용방안들이 미흡하다. 유휴공간이 기능을 잃고 버려진 건물이라는 일차적 관점에서 벗어나 보면 역사적인 상징성이나 사회 문화적인 의미, 지역사회의 기록 등이 남아있고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성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유휴공간은 발전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문화재청에서는 지역의 역사·건축·문화적 가치를 가지는 폐간이역을 등록문화재로 지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폐간이역을 포함한 폐철도 시설 활용은 대부분 간이역시설 차원에서 소극적인 행태로 이루어지며 지역 재생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폐간이역을 대상으로 하여 유휴공간으로서의 발전 가능성을 찾는데 목적...
TAG Idle Space, Use, Abandoned Whistle Stops, Public, Cultural Heritage, 유휴공간, 활용, 폐간이역, 공공, 문화유산
루이비통 팝업스토어의 오브제 연출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이정화 ( Lee Junghwa ) , 김수홍 ( Kim Sooh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193~206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팝업스토어는 소자본으로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영역과 그 범위가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브랜드들은 한정된 구조와 환경 내에서 획일화된 VMD(Visual Merchandising)연출이 대부분인 실정이다. 특히 공간 비주얼 전략 요소 중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오브제의 사용과 배치에서 약소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팝업스토어 오브제 연출의 한계점과 개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팝업스토어 오브제 연출로 성공적인 마케팅 효과를 창출하고 있는 국외 브랜드 루이비통 팝업스토어의 오브제 연출 특성 분석을 통해 국내 브랜드 팝업스토어 디자인의 개선방향에 대한 참고 사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첫째, 팝업스토어의 정의와 국내외 팝업스...
TAG Pop up store, Objet, Space directing, Display design, Visual Merchandising, 팝업스토어, 오브제, 공간연출, 전시디자인, 비주얼머천다이징
유리 물성과 중첩 표현을 반영한 건축 및 공간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신승수 ( Shin Seungs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207~220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근대건축에 들어서기 이전에 유리는 대부분 종교 건축에서의 장식적 요소로 사용되어왔다. 주로 일종의 타일이나 창문 패턴 등의 역할을 했으며, 신에 대한 묘사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다반사였다. 하지만 근대 건축 이후로 유리는 건축 외장재, 공간 분할용 벽체 등으로 활발하게 도입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우리가 알고 있는 공간의 깊이감, 공간 내부와 외부 사이의 상호 관입, 경계의 모호함, 공간의 확장성 등의 유리에 관한 이론적 개념이 등장하였다. 유리는 이러한 이론들을 논할 때 항상 빠지지 않고 거론되는 일종의 독립된 소재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리가 갖는 물성과 개념적 특성을 파악하고 공간 구성 요소와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공간디자인 분야...
TAG Spatial Design, Glass, Physical properties, Overlapping, Transparency, 공간디자인, 유리, 물성, 중첩, 투명성
도시브랜딩을 위한 공간 업사이클링 특징에 관한 연구 - 칠성조선소 업사이클링을 중심으로 -
유승희 ( Ryu Seunghee ) ,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221~229페이지(총9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각 도시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도시 브랜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20세기 이후 산업 구조 변화에 따라 도시 공간에서 도시 재생은 중요한 키워드로 이미 자리 잡고 있다. 이에 기능이 다한 공간을 재해석하여 가치를 더하는 공간 업사이클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 브랜딩 관점에서 공간의 범위를 공공 사업 공간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고, 도시의 가치를 담고 있는 상업공간에서 공간 업사이클링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발현되는지 특성을 연구한다. 도시 브랜딩에서 문화 중심형 도시 재생은 큰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이에 재생의 개념을 공공 디자인에서 상업공간으로 확장하여 공간 업사이클링이라는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고 도시 브랜딩을 구현하는데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공간 업사이클링과 ...
TAG Space Upcycling, Urban Branding, Urban Regeneration, Sustainability, Discrimination, 공간 업사이클링, 도시 브랜딩, 도시 재생, 지속 가능성, 차별성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 공간에 나타난 자연요소 특성에 관한 연구
송인주 ( Song Inju ) , 풍용 ( Feng Rong ) , 황연숙 ( Hwang Yeon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231~240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교외에 위치한 아울렛은 규모가 크고 주변 지역의 특징적인 이미지와 서로 맥락적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표현되거나 환경의 특정한 요소를 강조함으로써 지역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단순히 쇼핑공간을 넘어 여가시간을 보낼 수 있는 복합공간으로 자연·문화·오락이 결합된 형태로 발전하여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소비공간으로써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자연요소의 도입으로 인해 공간의 이용자들에게 자연 친화적 분위기를 제공하여 심리적 만족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공간에 오래 머무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판매촉진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도입된 자연요소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아직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에 나타난 자연요소의 특성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외형 프리미엄 아울렛의 ...
TAG Premium Outlets, Natural Elements, Characteristics, Interior Design, Suburban, 프리미엄 아울렛, 자연요소, 특성, 실내디자인, 교외형
학생간 거리두기를 고려한 교실공간 면적현황 연구
황성재 ( Hwang Sungja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241~248페이지(총8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2019년 말부터 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과 함께 비대면 소통이 국민들의 주요한 교류·생활 방식으로 부상되었고, 청소년들의 감염 방지를 위해 학교에는 유례없는 큰 변화가 발생하였다. 갑자기 밀려든 새로운 방식의 위기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의 교사들은 현시점에 보유한 시설과 장비를 이용하여, 대면·비대면 수업을 진행하였고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 전념하였다. 질병관리청에서는 지역별 감염병의 발병과 확산 추이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5단계의 거리두기 기준 및 조치를 세부적으로 정하고, 교육기관에서는 이에 따라 대면·비대면 수업을 선택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교실 내에서는 학생들 간의 접촉을 줄이고자 투명 차단막을 설치하거나, 학년별 등교 시점을 주별로 교차시켜 교실 건물과 체육시설의 이용 밀도를 낮게 조정하였...
TAG Distancing, Classroom, Space, Area, COVID-19, 거리두기, 교실, 공간, 면적
로컬푸드 직매장 사례분석을 통한 공간 면적특성 분석
김인재 ( Kim Injae ) , 최재문 ( Choi Jae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1] 제16권 제3호, 249~25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로컬푸드 직매장은 매년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매장운영은 다수가 적자운영이 이루어지면서 활성화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래서 로컬푸드 직매장의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그동안의 관련 연구는 시설 운영 및 개념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던 것이 현실이다. 이 시점에 보다 적극적인 활성화 방안 모색을 위해서는 물리적인 환경에 대한 고민도 함께 진행 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현재 조성되는 로컬푸드 직매장의 공간은 단순하게 선행 조성된 시설을 답습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고, 또한 물리적 환경개선을 위해 필요한 실제적인 공간 구성 기초자료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는 기 조성된 로컬푸드 직매장들의 평면분석과 실무자들과의 인터뷰 분석을 통해 사용 공간의 전반적 특성을 검토하여 추후 로컬푸드 직매장 조성 시 기...
TAG Local Food, Local food store, Space planning, Case analysis, Spatial characteristics, 로컬푸드, 로컬푸드 직매장, 공간계획, 사례분석, 공간특성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