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서평 : 물질문화 연구의 제창과 그 가능성에 대한 첫 시도 (배영동 저, 「농경생활의 문화읽기」(민속원, 2000))
권삼문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85~187페이지(총3페이지)
농서해제 : 한국판 『농정전서』, 『농정서(農政書)』의 세계
김영진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3] 제2권 제1호, 189~190페이지(총2페이지)
개화기의 농학사상
김영진 ( Young Jin Kim ) , 홍은미 ( Eun Mi Hong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이 논문은 개화기 한국의 농학과 농서편찬, 농업시험연구, 농업교육 등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개화기의 농학은 종래의 경험농학에서 벗어나 실험농장이나 실험실에 바탕을 둔 실험농학을 도입하였는데, 그 구체적 사례를 몇 가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사시험연구를 위한 실험시설이나 시험장을 설치하였다는 사실이다. 1884~1894년까지 존속하였던 농무목축시험장, 1900년에 개설한 잠업(잠상)시험장. 1902년에 설립한 모범목장. 1905년에 설립하여 권업모범장이 된 노상시험장, 1906년에 설립하여 권업모범장에 통합된 원예모범장. 1906년에 설립한 권업모범장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분야별 시험장들은 모두가 1910년까지 모두 일본 조선통감부 산하의 권업모범장으로 통합되어 종합시험연구기관이 되었다. 둘째, 농학의 내용이 작물이나 가축의 ...
TAG 개화기, 농사시험연구, 실험농학, 권업모범장, 실험주의 농학사상, Enlightenment Period, experimental agriculture, empirical agriculture, experimental facilities for agricultural experiment, experimental science of agriculture
개화기의 농학사상11
김영진 ( Young Jin Kim ) , 홍은미 ( Eun Mi Hong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1~19페이지(총19페이지)
이 논문은 개화기 한국의 농학과 농서편찬, 농업시험연구, 농업교육 등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개화기의 농학은 종래의 경험농학에서 벗어나 실험농장이나 실험실에 바탕을 둔 실험농학을 도입하였는데, 그 구체적 사례를 몇 가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사시험연구를 위한 실험시설이나 시험장을 설치하였다는 사실이다. 1884~1894년까지 존속하였던 농무목축시험장, 1900년에 개설한 잠업(잠상)시험장. 1902년에 설립한 모범목장. 1905년에 설립하여 권업모범장이 된 노상시험장, 1906년에 설립하여 권업모범장에 통합된 원예모범장. 1906년에 설립한 권업모범장 등이 그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초기의 분야별 시험장들은 모두가 1910년까지 모두 일본 조선통감부 산하의 권업모범장으로 통합되어 종합시험연구기관이 되었다. 둘째, 농학의 내용이 작물이나 가축의 ...
TAG 개화기, 농사시험연구, 실험농학, 권업모범장, 실험주의 농학사상, Enlightenment Period, experimental agriculture, empirical agriculture, experimental facilities for agricultural experiment, experimental science of agriculture
개화기 서양능금과 과수 재배기술의 수용(2005.09.08)
이호철 ( Ho Chol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21~52페이지(총32페이지)
우리나라의 능금생산 기술은 개화기에 새로이 도약하였다. 이 시기는 토종능금이 자연스럽게 사라져간 대신, 서양능금과 그 재배법이 새로이 도입되었던 때였다. 이 시기에 도입된 서양의 과수재배기술은 과연 어떻게 도입ㆍ수용되었을까? 그리고 우리의 능금재배 기술은 과연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특히 토종능금은 어떻게 서양 신품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전통적인 병충해 방제법은 과연 근대화되었을까? 무엇보다 이 글은 그러한 의문을 캐기 위한 최초의 시도이다. 널리 알려진 바처럼 이 시기의 서양능금 도입은 이를 매개로 선교에 나섰던 서양인 선교사와 이를 통해 경제적 개화를 앞장서서 추구하였던 한국인 선각자,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적 초과수익을 얻으려던 일본인 농업이민에 의하여 본격화되었다. 특히 한국에 들여온 서양묘목이 그 결실력과 품질에서 일본의 것보다 우수하였다는 사실은 착안...
TAG 개화기 능금생산 기술, 토종능금, 서양능금, 서양의 과수재배 기술, 식민지 플랜테이션, enlightenment period apple production technology, native apple, western apple, western fruit growing technology
개화기 서양농학의 수도작 재배기술로의 적용 - 「농정신편(農政新編)」을 중심으로 -
석태문 ( Tae Mun Suk ) , 박근필 ( Keun Pil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53~76페이지(총24페이지)
「농정신편」의 저자는 기정(起亭)이란 호를 가진 조선말기의 한미한 직책의 문신인 안종수란 사람이다. 진사(進士)였던 그는 1881년에 신사유람단의 일원인 조병직의 수행원 자격으로 일본에 갔다. 짧은 일본 체류기간 동안, 그는 틈틈이 당시 일본의 대표적인 농학자였던 츠다센(津田仙)과의 교류를 통해 오스트리아의 농학자 호이브렌크(Daniel Hooibrenk, 荷衣白蓮)의 재배법에 대해 배웠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츠다센의 저술인 「농업삼사」(農業三事)에 많은 영향을 입고 귀국 시 「농업삼사」를 포함한 여러 새로운 농업관계 서적을 수집하여 돌아와 편찬한 책이 농정신편이다. 이러한 「농정신편」은 근대 식물학 및 농화학적인 입장에서 종래의 우리 농서와는 사뭇 다른 서양 농법을 소개하였다는 사실이 아주 특징적이며,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근대 농학적 안목을 ...
TAG 안종수, 농정신편, 서양농학, 인공수분, 동도서기, An, jong-su, 「Nong-chung-sin-pyun」, Western agronomy, Artificial pollination, The philosophy of East-Tao-West-goods
개화기 서양능금과 과수 재배기술의 수용(2005.09.05)
이호철 ( Ho Chol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21~52페이지(총32페이지)
우리나라의 능금생산 기술은 개화기에 새로이 도약하였다. 이 시기는 토종능금이 자연스럽게 사라져간 대신, 서양능금과 그 재배법이 새로이 도입되었던 때였다. 이 시기에 도입된 서양의 과수재배기술은 과연 어떻게 도입ㆍ수용되었을까? 그리고 우리의 능금재배 기술은 과연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특히 토종능금은 어떻게 서양 신품종으로 대체되었으며, 전통적인 병충해 방제법은 과연 근대화되었을까? 무엇보다 이 글은 그러한 의문을 캐기 위한 최초의 시도이다. 널리 알려진 바처럼 이 시기의 서양능금 도입은 이를 매개로 선교에 나섰던 서양인 선교사와 이를 통해 경제적 개화를 앞장서서 추구하였던 한국인 선각자, 그리고 이를 통해 식민지적 초과수익을 얻으려던 일본인 농업이민에 의하여 본격화되었다. 특히 한국에 들여온 서양묘목이 그 결실력과 품질에서 일본의 것보다 우수하였다는 사실은 착안...
TAG 개화기 능금생산 기술, 토종능금, 서양능금, 서양의 과수재배 기술, 식민지 플랜테이션, enlightenment period apple production technology, native apple, western apple, western fruit growing technology
개화기 및 일제시기의 농사시험연구와 지도
이한기 ( Han Ki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77~9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해방후 오늘날까지 주로 미국식 제도의 도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농사시험연구와 지도사업이 역사적으로는 연계되어 있지만 그 전모와 전개과정이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개화기와 일제시대의 활동과 사업에 대하여 그 도입배경 및 발전과정, 전개내용, 체제의 변천 등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개화기의 농사시험연구와 지도는 1876년 한일수호조약과 1882년 한미조약 이후 일본과 미국을 다녀온 외교사절단을 통하여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서구의 농업과 농학이 도입된 이래 1884년에 설치된 농무목축시험장(農務牧畜試驗場)에서 최초로 시도되었으나 이 시험장은 행정적, 제도적으로 기반이 갖추어진 기관이 되지 못하였고, 그후 통감부 시기인 1906년 일제의 영향으로 설립된 권업모범장(勸業模範場)과 그후 각지역에 설치된 각도 농사시험장 등이 본격적인 제도와 조직을 갖춘 농...
TAG 개화기, 일제시대, 농업연구와 지도, 권업모범장, 농무목축시험장,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period of enlightenment, period of Japanese rule, agricultural research, agricultural extension
개화기에 있어서 일본의 서양농학 수용 -츠다센(1873-1908)을 중심으로-
우치다가즈요시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99~108페이지(총10페이지)
1837년 7월 6일에 무사 고지마의 넷째 아들로 태어난 츠다센(津田仙)은 일찍부터 데츠카의 사설학원에서 난학을 배웠으며, 이토로부터 영어를 배웠다. 이 후 그는 미국을 견문하였고 동경 츠키지 호텔의 이사가 되어 서양채소를 재배하다가 1873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만국박람회에서 반년간 네덜란드 농학자 호이브랜크로부터 그의 농업기술을 전수받았다. 1874년에 그는 그의 농법을 기술한 『농업삼사』를 간행하고 학농사를 개설하였으며, 1875년에는 `학농사농학교`를 열었다. 여기에서 『농업잡지』를 발행하였다. 『농업삼사』는 「첫째, 기통을 땅에 묻는일」, 「둘째, 땅에 눕혀 구부려 기르는 일」, 「셋째, 인공으로 초목의 열매를 맺게 하는 일」로 구성되었다. 이 세 가지 농법은 오늘날의 관점에서 보면 그 과학적 근거는 없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사실...
TAG 츠다센, 서양농학, 농업기술, 농업삼사, 농업잡지, 일본 농업
개화기 서양농학의 수도작 재배기술로의 적용 - 「농정신편(農政新編)」을 중심으로 -(2005.09.05)
석태문 ( Tae Mun Suk ) , 박근필 ( Keun Pil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2] 제1권 제1호, 53~76페이지(총24페이지)
「농정신편」의 저자는 기정(起亭)이란 호를 가진 조선말기의 한미한 직책의 문신인 안종수란 사람이다. 진사(進士)였던 그는 1881년에 신사유람단의 일원인 조병직의 수행원 자격으로 일본에 갔다. 짧은 일본 체류기간 동안, 그는 틈틈이 당시 일본의 대표적인 농학자였던 츠다센(津田仙)과의 교류를 통해 오스트리아의 농학자 호이브렌크(Daniel Hooibrenk, 荷衣白蓮)의 재배법에 대해 배웠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그는 츠다센의 저술인 「농업삼사」(農業三事)에 많은 영향을 입고 귀국 시 「농업삼사」를 포함한 여러 새로운 농업관계 서적을 수집하여 돌아와 편찬한 책이 농정신편이다. 이러한 「농정신편」은 근대 식물학 및 농화학적인 입장에서 종래의 우리 농서와는 사뭇 다른 서양 농법을 소개하였다는 사실이 아주 특징적이며, 이전과는 확연히 다른 근대 농학적 안목을 ...
TAG 안종수, 농정신편, 서양농학, 인공수분, 동도서기, An, jong-su, 「Nong-chung-sin-pyun」, Western agronomy, Artificial pollination, The philosophy of East-Tao-West-good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