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37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의 천민자본주의 가치관과 경제개혁의 한계: 교육적 해결방안
김관수 ( Kwan Soo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25~44페이지(총20페이지)
경제적인 합리성은 효율성과 윤리성으로 구성되는 바, 천민자본주의 가치관은 경제적인 윤리성을 심각하게 훼손하여 신뢰와 협력으로 대표되는 사회자본 형성을 저해함으로써 지식기반경제의 원활한 발전을 위한 경제개혁에 한계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교육적인 해결방법은 영적 교육과 전인교육을 통해 금욕적인 합리주의 정신을 사회 전반에 확산시키는데 있다 할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천민자본주의의 극복을 위해서는 기독교 사상에 입각한 자본주의 정신과 윤리의 내면화가 필수적이며, 각자 중생(Born-again)을 통한 가치관, 인생관, 세계관 변화만이 해결책이 된다 할 것이다.
TAG 천민자본주의, 금욕적 합리주의, 지식기반경제, 사회자본, 영적 교육, 전인교육, Pariah Capitalism, Stoic Rationalism, Knowledge-based Economy, Social Capital, Spiritual Educatio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창의적 인재 교육을 위한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인식
이광우 ( Kwang Woo Lee ) , 오은순 ( Eun Soon Oh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45~6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인재의 특징, 창의적 인재 교육을 위해 현재 적절히 실천하고 있는 중등학교 교육과정과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델파이 조사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인재의 특징은 높은 도전정신/모험심, 집념/끈기, 미래지향적, 민감성, 자기주도성, 독창력, 문제해결력, 다양성/개방성, 융통성, 창출력, 호기심, 몰입, 흥미를 보이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창의적 인재 교육에 부합하는 중등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요인들은 특별 교육과정, 동아리 활동, 교과 교육내용과 창의성 교육 연계,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탐색 여행 및 자율 교육과정 마련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점 혹은 저해 요인으로는 입시 제도의 문제, 지식 위주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과 내용 과다, 학생 중심의 편성운...
TAG 창의성, 창의적 인재, 교육과정, 통합교육과정, 델파이 조사, creativity, creative person, curriculum, integrated curriculum, Delphi Technique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영문 ( Young Mu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69~8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으로서의 초등학교의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해보고 바른생활 교과가 나아가야 할 이상적인 방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과거 바른생활 교육과정들을 고찰하고, 특히 현재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2009년 개정 바른생활 교육과정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바른생활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바른생활 교과가 독립교과인지 통합교과인지에 대한 정체성이 불확실하며, 통합교과라고 할지라도 교육과정 시기마다 그 통합의 형태가 다른 점이다. 여기에 대한 연구자의 관점은 바른생활이 통합교과이든 독립 교과이든 간에 그것이 학생들의 올바른 인생관과 세계관의 정립에 도움이 되는 방향이 되어야 하며, 그것이 통합교과의 형태가 된다면 교과의 통합이든 주제별 통합이든 그 내용 구성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의 발달과 생활에...
TAG 통합교과, 통합교과 교육과정, 바른생활 교과, 바른생활 교육과정, integrated curriculum, integrated subject matter, Disciplined Life curriculum, Disciplined Life subject matter
다층적 교육과정 협의회가 만들어낸 프로젝트 기반 통합교육과정: 한 초등학교 실행연구
윤은주 ( Eun Ju Yun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89~112페이지(총24페이지)
이 글은 어린이의 흥미를 기반으로 한 프로젝트 학습이 우리나라 초등교육체제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의 한 방안으로 유효한지의 여부를 탐색한 실행연구이다. 특히, 교육과정 재구성의 중심축인 교사와 연구자의 협의모임이 어린이의 즉시적 관심사를 국가교육과정에 적용시키는데 있어 어떤 역할을 수행하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난관을 겪었는지, 아울러 그것을 극복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한 요소는 무엇인지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기술하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프로젝트 기반 교육과정 재구성은 가능하였으며, 여기서 참여자들 간의 다층적 교육과정 협의회가 갈등과 협력을 통한 해결책 모색의 기회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학습법이 우리나라 초등통합교육에서 바람직한 하나의 접근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아울러 그 가운데에서 교육과정 협의체의 의...
TAG 프로젝트 접근, 초등교육, 교육과정 재구성, Project Approach,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reconstruction
초등 통합교과의 필수학습 요소 구축 연구
정광순 ( Kwang 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113~134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 통합교과에서 가르쳐야 할 필수학습요소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서 통합교과의 유관 교과인 도덕, 사회, 과학, 체육, 음악 미술 교과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3학년 이후 각 교과교육을 위해서 이전 단계인 통합교과를 통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이 배워야 할 것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유목화 하는 델파이 조사를 수행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서, 학생이 알아야 할 것과 할 수 있어야 할 것, 총 175 항을 도출하였다.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175개 항에 대한 유목화 작업을 수행하였고, 3차 델파이를 통해서 타당성 검증을 거쳐서 완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바른 생활과는 ``바르게 생활``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1, 2학년 학생은 기본 생활 습관, 기본 학습 습관을 형성해야 하며, 스스로하기, 협동하기, 계획세우기, 친해지기,...
TAG 필수학습요소, 초등통합교육과정, 초등통합교과, 바른 생활, 슬기로운 생활, 즐거운 생활, Core contents,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 Disciplinary Life, Intelligence Life, Pleasant Life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이두성 ( Doo Seong Lee ) , 김영식 ( Young Si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135~163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지도유형과 학생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S시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총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후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요인에서 기본적 태도인 관심도, 중요성, 참여도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심리적 특성인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소외감, 불안감에서는 반대로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인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기본적 태도와 심리적 특성 모두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준법성 외 협동성, 공격성, 경쟁성에서는 6학년이 5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체력수준에서는 기본적 태도모두 상이 중, 하보다 높게 나타났다. 만족감, 자신감에서는 상이...
TAG 체육지도유형, 정의적 특성, type of physical teach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초등학교 체육 교과서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활용 실태
홍원준 ( Won Jun Hong ) , 김영식 ( Young Sik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165~194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체육 교과서 인식 및 활용 실태를 분석하여 체육 교과서가 학교 현장에서 효율적이고 실제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의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3-6학년 담임교사 250명을 단순무선 표집하여 설문지를 배포한 후 회수된 240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부적격한 8부를 제외한 최종 232부를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학교 교사는 체육 교과서가 학생들에게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한다는 열린 교과서관 즉, 구성주의적 교과서관을 가지고 있었다. 때문에 현장에서 대부분의 교사는 체육 교과서를 교과서 외의 다양한 자료들과 함께 활용하거나 필요와 목적에 따라 내용을 재구성하여 사용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
TAG 체육교과서, 인식, 활용, Physical education textbooks, Perception, Utilization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박채형 ( Chae 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195~213페이지(총19페이지)
우리나라의 초등학교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부터 통합교과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런데 당시의 통합교과는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편찬된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 당시의 교육과정은 분과적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러 처음으로 개발되었다.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그 이후 네 차례의 개정을 겪었다.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겪어온 그러한 변화는 제7차 교육과정을 분기점으로 하여 급선회하였다. 즉, 제4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 우리나라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분과교과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었으며, 통합교과 교육과정이 분과교과의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은 제7차 교육과정부터 시작되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에 점점 더 강력한 형태로 추진되어 왔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은 이 점에서 통...
TAG 2009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 교육과정, 교과간의 통합, 탈교과적 통합,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tegrated curriculum, interdisciplinary approach, transdisciplinary approach
호주, 캐나다, 영국에서의 다문화 교사교육
이종현 ( Jong Hyu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2] 제6권 제1호, 215~242페이지(총28페이지)
인터넷의 영향과 교통수단의 발달로 인해 온 세계는 글로벌화 되었고, 따라서 어느 나라에서든지 "다문화 문제"(multicultural issue)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이 다문화 문제는, 학교 현장의 교사들에게 다문화 교육을 어떻게 준비시킬 것인가를 다루는 "다문화 교사교육"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과 필연적으로 연결된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이미 다문화 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져온 국가들인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영국에서 다문화 교사교육을 어떻게 해왔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의 교사 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에 있다. 이들 세 나라 안에서 다문화 교육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발전되어왔는가와 현재 이들 나라 안에서 다문화 교사교육의 중요한 쟁점들은 무엇...
TAG 다문화 교사 교육, 호주 교육, 캐나다 교육, 영국 교육,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ustralian education, Canadian education, British education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과정에서의 근거이론 접근
홍영기 ( Young Ki H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11] 제5권 제2호, 1~18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에 있어 근거이론 접근을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 최적화된 이론을 도출해 내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째, 근거이론 접근이 교육과정 재구성과 실천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근거이론 접근의 방법과 동향, 다른 질적 연구와의 차이점을 비교하며 살펴보았다. 둘째, 근거이론의 연구 방법과 절차를 다른 연구의 예시와 설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개발과 재구성을 위한 근거이론 접근 활용 방안을 논의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른 학문영역에 비해 근거이론 접근 방법에 의한 모형 개발이 미흡한 교육과정 개발 분야에 학교현장의 실태와 요구를 반영하는 교육과정 개발 모형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한다.
TAG 근거이론 접근, 교육과정 재구성, 교육과정 설계, 질적 연구, grounded theoric approach, curriculum reconstruction, curriculum design, qualitative approach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