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연구논문 : 농업유산 등재기준에 따른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 연구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 , 문효연 ( Hyo Yun Mun ) ,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4] 제13권 제1호, 51~84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농촌 무형유산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 유네스코의 민속과 무형문화유산,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전통지식, 그리고 우리나라 문화재청의 무형문화재와 민속문화재에 대한 정의를 비교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농촌 무형유산의 위상과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의 농업유산 2개를 포함한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31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GIAHS에 등재된 세계 각국의 무형유산은 전통지식과 기술이 통합된 형태를 띤다는 점에서 근본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지역의 환경과 집단의 적응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촌 무형유산 분류체계를 설정하기 위해, 먼저 GIAHS의 5가지 등재기준인 “식량·생계수단의 확보”,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의 기능”, “전통적 지식·농업기술의 계승”, “농업문화와 사회제도·관습”, “수려한...
TAG 세계중요농업유산, 무형유산, 식량안정성, 생물다양성, 생업기술, 농업문화, 사회제도, 경관관리,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intangible heritage, food security, biodiversity, livelihood technologies, agri-culture, social systems, landscape management
연구논문 : 지리적표시제도가 임산물 구매의도 및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송춘호 ( Chun Ho Song ) , 장동헌 ( Dong Heon Jang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4] 제13권 제1호, 85~99페이지(총15페이지)
이 논문은 지리적표시 임산물에 대해 소비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를 정리 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지리적표시 임산물의 제도인지와 구입경험의 비율은 낮았다. 또 한 버섯류와 과일류를 많이 구매하였고, 대형할인 마트를 주로 이용하였다. 구입주기는 월 1∼3회, 구입가격은 2만∼3만원이 많았다. 향후 지리적표시 임산물의 구매는 건강과 친환경적인 요인을 중시했고, 고품질 임산물일 경우 추가지불의 의향도 있었다. 그리고 지리적표시 임산물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지리적표시제의 인지, 이미지, 지각품질에 정 (+)의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구매선호에 있어서는 지리적표시제의 이미지와 지각된 품질 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TAG 임산물, 고품질 임산물, 구매선호, Geographical Indication, Forest Product, high quality forestry product, Purchase preference
연구논문 : 포도(葡萄)의 품성(品性)과 효능(效能)에 대(對)한 문헌연구(文獻硏究)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4] 제13권 제1호, 101~141페이지(총41페이지)
고문헌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고대 이란어인 budaw를 음역(音譯)한 “蒲萄”는 의미는 같이 모여 술을 즐겁게 마 시고 취한다는 의미로 만들어진 단어이다. (2) 초룡주(草龍珠)는 용의 여의주라는 의미이고 왕성한 생명력과 다산을 의미하여 일상생활에 포도문양을 많이 이용하였다. (3) 진숙달(陳叔達)의 고사에서와 같이 효도의 상징인 포도는 번조증과 갈증을 없애 는 효능이 있으며, 포도로 만든 포도주에는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4) 감초와 포도는 서로 상극이며, 포도의 단맛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향이나 꿀물을 주기도 하였으며, 대추나무에 접목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포도는 물을 뿌리로 흡수하여 줄기를 지나 열매로 보내는 과정이 매우 빨라 목통(木通)이라고도 하였다. (5) 『齊民要術』(530∼550) 저술...
TAG 포도, 포도주, 태양인식품, 사상의학, 초룡주, 草龍珠, graph, wine, Taeyangin foo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horyongju, 草龍珠
연구논문 : 전통농업기술의 농자재 이용실태 분석
김미희 ( Mi Heui Kim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 정명철 ( Myeong Cheol Jeong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고농서 등을 통해 내려오는 전통농업기술은 인류를 위해 안정적인 먹거리 제공의 기본인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데 공헌을 해왔을 뿐만 아니라. 최근 유행하고 있는 친환경농업에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전통농업기술에서 식량작물과 원예작물의 재배 시 어떤 농자재를 어떤 용도로 투입해 왔는지를 분석하여 친환경농업에 참고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식량작물부문에서 활용된 농자재 적용기술을 살펴보면, 종자와 육묘에 활용한 자원은 18종, 재배관리 36종, 병충해 방제 41종, 수확 및 저장 7종, 기타 23종으로 나타났다. 한편 생물자원의 활용은 병충해 방제 및 생리장애에 31종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원예작물 부문에서 농자재로 활용한 자원을 살펴보면 종자와 육묘기술에 24종, 재배관리 90종, 병충해방재 44종, 수확 및 저장 14종,...
TAG 전통농업기술, 농자재, 전통지식, Traditional Agro-Technology, Agricultural Materials, Tradition Knowledges
연구논문 : 농촌마을 생태체험을 위한 소택지 식물의 전통지식 분석
손진관 ( Jin Kwan Son ) , 강방훈 ( Bang Hun Kang ) , 김남춘 ( Nam Choon Kim ) , 김미희 ( Mi Heui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19~45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습지 식물과 전통지식을 활용한 해설 콘텐츠 개발을 위해 이루어 졌다. 1차로 습지의 출현종을 파악하기 위해 8개 습지의 식생을 이(2006)와 이(2006)의 기준으로 2009년에 1년간 조사하였다. 식생조사 결과 출현한 종은 총 73과 176속 199종 29변종1품종 1아종으로 총 230종류가 확인되었다. 이 중 식재 및 목본 20과 25속 30종 2변종1품종을 제외한 55과 151속 169종 27변종 1아종을 대상으로 전통지식 및 민간 활용법을 구 등(2008)의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구 등(2008)의 리스트에 없는 식물은 박 등(2008)과장(2011)의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전통지식 분석결과 197종류의 식물 중 농업, 한방, 음식재료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총 176종류(89.3%)였다. 이 중 식용되는...
TAG 전통생태지식, 전통지식, 생태관광, 농촌관광, 소택형습지, 연못, 한방, Traditional Ecological Knowledge, green-tourism, palustrine wetland, oriental medicine
연구논문 : 앵두[櫻桃]의 품성과 효능에 대한 고문헌연구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47~74페이지(총28페이지)
고문헌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고려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있어 왔던 앵두는 다른 과일에 비해 일찍 익기 때문에 귀한 대접을 받았으며 종묘나 사당에 천신(薦新)하였다. (2) 앵도(櫻桃)는 영주(瓔珠: 옥구슬)와 비슷하게 연달아 열리고 모양이 복숭아[桃]와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꾀꼬리[鶯]가 앵두를 먹기[含] 때문에 함도(含桃)라고도 하였다. 그리고 낭떠러지[崖]에서 양봉한 꿀[蜜]과 같다는 뜻으로 애밀(崖蜜)이라고도 하였다. (3) 앵두 과일이 잘 맺히지 않는 경우에 주된 뿌리를 잘라 내는 선수법(扇樹法)을 예전에 이용하였는데, 앵두나무는 자주 옮겨[移] 심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이사(移徙)를 좋아[樂]한다는 뜻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사락(移徙樂)이라 하였다. 따라서 ‘이랏 → 이스랏 → 이슬앗,...
TAG 앵두, 이사락, 移徙樂, 사상의학, 태양인식품, cherry, Isarak,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aeyangin food
연구논문 :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가축기형체에 대한 기록
천명선 ( Myung Sun Chun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75~89페이지(총15페이지)
조선왕조실록은 가축의 질병에 관한 다양한 자료를 담고 있다. 이 자료들은 비록 과학이나 의학적 이론에 근거한 관찰의 기록은 아니지만 질병의 발생과 분포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가축질병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동물기형에 대한 중세적 해석은 재앙의 상징이나 재이의 예고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색인 ‘수의학’, ‘생물’, ‘축산’등으로 분류된 약 2000 건의 기사중 196건의 가축 기형체 출산 기록을 분석하였다. 기형체는 그 형태와 특징이 잘 묘사되어 있어 대부분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으며 그 기록은 중종 대에서 영조 대까지 집중되어 있었다.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기형체는 결합쌍생체였으며 주요 동물은 소였다. 이밖에도 다지 기형과 무지증 등도 소, 개, 닭, 산양 등에서 관찰되었다. ‘암탉이 변하여 ...
TAG 가축 기형체, 조선왕조실록, 기형에 대한 정치적 해석, Birth defects, Annals of Choson Dynasty, teratology
연구논문 : 식치(食治)와 체질식이요법에 대한 문헌고찰
김종덕 ( Jong Dug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91~124페이지(총34페이지)
문헌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국에서는 식치(食治)의 중요성을 예전부터 인식하여 식의(食醫)를 제도적으로 만들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인식하여 식의(食醫)제도가 있었다. 음식섭생으로 정(精)을 기르는 것을 중시하였으며, 약재를 사용하여 질병의 상당부분을 치료하지만, 치료하고 남은 나머지 질병은 음식으로 다스렸다. 둘째, 사상의학에서 편소지장(偏小之臟)의 본상지기(本常之氣)에 따라 명맥(命脈)이 결정되어지므로, 편소지장(偏小之臟)을 생식(生息)하고 충보(充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상지기(本常之氣)를 회복하는데 있어서 약의 기운에 의존하지 말고 장(臟)의 기운을 북돋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또한 본상지기(本常之氣)를 유지하기 위해 음식을 먹지만 과식하지 말아야 한다. 셋째, 넓은 의미에서는 사상식품은 사상약물에 포함되지...
TAG 식치, 食治, 체질식이요법 사상의학 본상지기, 本常之氣, food cure, diet therapy depending on Sasang Constitution, the original Qi
연구논문 : 원예농가의 경영설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수요분석
이순석 ( Soon Seok Lee ) , 임청룡 ( Qing Long Lin ) , 최칠구 ( Chil Koo Choi ) , 박승용 ( Sung Yong Park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3] 제12권 제1호, 125~139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원예농가 경영설계프로그램을 구축하기 전에 개발수요와 프로그램 구축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원예농가 5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 방향성 관련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한 요인분석과 순위로짓분석결과 컴퓨터 활용능력, 경영설계요인, 재무요인에 대한 추정 계수는 (+)로 해당변수가 증가할수록 경영설계 프로그램 도입확률이 증가하는 반면 영농경력에 대한 추정계수는 (-)로 나타나, 영농경력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 사용 확률이 감소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아울러 유형별로 볼 때 채소 더미에 대한 추정계수가 (-)로 나타나 채소농가들의 프로그램 도입확률이 다른 원예농가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분석결과로부터 산출한 보수적 수요는 총 294,228명으로 나타났고, 낙관적 수요는 1...
TAG 개발수요, 원예농가, 경영설계, 순위로짓모형, development demand, horticultural farms, management plan, ordered logit model
연구논문 : 18세기말 박지원(朴趾源)의 『과농소초(課農小抄)』 편찬과 농업개혁론
염정섭 ( Jeong Sup Yeo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12] 제11권 제2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朴趾源은 1777년 금천 연암협에 은거하게 된 뒤에 여러 농서에서 뽑아낸 抄錄을 만들었다. 1798년 正祖가 「권농정구농서윤음」을 내려 전국 각지에서 응지농서를 구하자 박지원은 앞서 연암협 은거 이후에 작성한 농서 초록을 바탕으로 삼고, 서광계의 『농정전서』를 발췌 인용하는 방식으로 『과농소초』 초본을 만들었다. 또한 『課農小抄』에 註釋이나 按說로 들어가 있는 자신의 주장 등도 정리하는 과정을 거쳐 완성된 『과농소초』 정본을 정조에게 올렸다. 박지원이 『과농소초』를 짓게 된 것은 무엇보다도 士의 實學을 다하기 위함이었다. 그는 士가 農本에 유념하고 農理에 달통한 聖於農者가 되어 농민들이 力田에 나서도록 이끌어야 한다고 士의 實學을 제시하였다. 박지원은 평양에 남아 있는 箕子田의유적을 바탕으로 井田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法田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그리...
TAG 박지원, 朴趾源, 과농소초, 課農小抄, 실학, 實學, 법전, 法田, 한민명전의, 限民名田議, Park Ji-Won, Gwanongsocho, Silhak, Beopjeon, Hanminmyeongjeoneui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