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266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빙산 메타포 모형에 기반한 관계 중심 대화 양상 분석
권순희 ( Kwon¸ Soon 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195~235페이지(총41페이지)
목적: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관계 중심 대화 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계 중심 대화의 기반 이론으로 빙산 메타포 모형을 제안하고 이에 근거하여 대화 분석을 통해 갈등 대화와 협력 대화의 양상을 논의하였다. 방법: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 중 식객특집 3탄에 제시된 양쉐프와 명쉐프 팀의 대화를 비교 대조하는 방식으로 대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협력 대화에서는 섬기는 리더로서의 말하기, 존중과 칭찬하는 말하기, 창의적 조언 및 대안 제시의 말하기 양상이 나타났으며, 갈등 대화에서는 명령조의 말하기, 불분명한 의견 제시나 불분명한 반대 의견 제시, 회피 전략 말하기, 권위에 대한 비인정 말하기 등이 나타났다. 대화 기저에 빙산 메타포 모형에서 제시한 감정, 지각, 기대, 열망, 자아 정체성이 포착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빙산 메타...
TAG 빙산 메타포 모형, 협력 대화, 갈등 대화, 대화 분석, 화법교육, 국어교육, iceberg metaphor model, cooperative dialogue, conflict dialogue, dialogue analysis,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담화표지 ‘아니’의 한국어 교육용 의미 기능 선정 연구 ―일상 대화를 중심으로―
오은화 ( Oh¸ Eun Hwa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237~266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 말뭉치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기능을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고자 한다. 방법: 세종 구어 말뭉치 중 일상 대화 데이터를 선정하여, Antconc 프로그램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를 추출하였고, 이를 기능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재 분석을 통해 담화표지 ‘아니’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용 의미 기능을 선정하였다. 결과: 담화표지 ‘아니’의 ‘반박’기능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부연설명’, ‘화제전환’ 등이 뒤를 이었다. 담화표지 ‘아니’와 함께 사용된 연어로는 ‘근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연어 표현별 자주 사용된 기능을 살펴본 결과, ‘근데’는 ‘화제 전환’, ‘그니까’는 ‘부연설명’ 기능에서 두드러진 특징을 보였다. 이에 따라 해당 연어 표현을 함께 교수할 수 있도록...
TAG 한국어 담화표지 아니, 한국어 교육용 담화표지 기능 선정, 담화표지 교육, 담화표지 아니 기능, 담화표지 기능 선정, Korean discourse marker ani, Selection in educational functions of Korean discourse marker, Discourse marker education, Discourse marker ani functions, Selection in functions of discourse m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한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 고찰
박혜림 ( Park¸ Hye Rim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267~290페이지(총24페이지)
목적: 이 연구는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을 퍼스의 기호작용에 기반하여 필자의 메타언어적 인지 작용을 설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쓰기에서 메타언어적 인지는 ‘텍스트에 대한 반성과 조작 작용’을 말한다. 방법: 텍스트에 대한 반성과 조작의 구체적인 작용 방식은 기호 작용의 역동성을 강조한 퍼스의 기호학을 이론적 기반으로 하여 규명할 수 있다. 소쉬르와 달리 퍼스는 기호를 지시 작용이자 추론 작용으로 보았다. 또한 추상성과 관습성을 통해 재현되는 두 겹의 일반성을 상정함에 따라 언어 의미에 진화론적 가치를 부여한다. 이에 비추어 본고는 텍스트 반성을 일종의 추론 작용으로, 텍스트 조작을 기표의 전이로 설명한다. 결과: 필자는 반성 작용을 통해 텍스트의 직접적 해석체를 파악하고 역동적 해석체를 추론한다. 그리고 조작 작용을 통해 최종적 해석체를 고려하거나 역동적...
TAG 메타언어, 퍼스, 역동성, 기호 작용, 텍스트, 반성, 조작, Metalinguistic, Perth, Dynamics, Semiosis, Text, Reflection, Manipulation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중급 한국어 교육 방안 ―D대학의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천시우시우 ( Chen¸ Xiuxiu ) , 최은경 ( Choi¸ Eun-kyu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291~328페이지(총38페이지)
목적: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실감형 기술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방법: D대학교 한국어 교육과정의 중급 교재를 바탕으로 각 단원의 주제 및 수업 활동과 관련하여 활용 가능한 실감형 콘텐츠를 선정한 후 on-off 통합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실 수업의 변화와 향상에 중점을 두는 실행연구 방법을 택하였다. 결과: D대학 중급 교재에서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이 가능한 영역은 듣고 말하기, 읽고 쓰기, 문화 등이고, 사용할 수 있는 활용 유형은 다양하며 활용 비율은 25% 정도로 기대된다. 그 중 4급 ‘6과 사건과 사고’를 선정하여 가상현실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결론: 중급 한국어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적용이 가능함이 확인되었다.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다면 학생이 학습 내용...
TAG 실감형 콘텐츠, 가상현실, VR, 증강현실, AR, 한국어 교육, 블렌디드 러닝, Blended Learning, 이머시브 러닝, Immersive Learning, Immersive Content,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Korean Language Education, Blended Learning, Immersive Learning
유학생 대상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가 집단의 인식 조사 연구
류승의 ( Ryu¸ Seungui ) , 조위수 ( Cho¸ Wis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329~356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 한국어 숙달도 교육은 체계가 정립되어 있으나,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학생 및 교양교육 전문가의 인식을 조사하여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의 구성과 운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교양 교육과정 관련 문헌을 검토하여 면담과 설문 문항을 구성하고, 전문가 면담과 설문조사 형식으로 질적·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의 중요성과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조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활 한국어교육, 전공연계 교육, 내용 기반 교양 교육, 체험 중심 교육, 실무 중심 교육’의 교양 교육과정 체계를 정립할 수 있었다. 결론: 교양 교육과정은 유학생의 대학생활과 전공 학습에 도움을 주고, 이들이 교양지식과 실무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요하게 작용한...
TAG 유학생 교양 교육과정, 전문가 인식 조사, 대학생활 한국어교육, 전공 연계 교육, 내용기반 교양 교육, 체험 중심 교육, 실무 중심 교육, nternational student liberal arts curriculum, expert perception survey, university lif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linked education, content-based liberal arts education
한국어 학습자의 댓글 담화 분석을 통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연구
정미진 ( Jung¸ Miji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357~377페이지(총21페이지)
목적: 이 연구는 실행연구의 하나로 인터넷 게시판 글쓰기가 연구자의 글쓰기 교수 행위를 개선하는 방안이 될 수 있는지를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연구자가 개선하고자 하는 것은 인쇄매체 중심의 쓰기 교육, ‘소통의 행위’를 간과하는 쓰기 교육의 두 가지이다. 방법: 학습자가 작성한 인터넷 댓글의 의사소통 양상과 댓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댓글 분석의 결과 학습자들이 서로가 쓴 글의 내용에 공감을 표현하고 서로를 칭찬 및 격려하는 양상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자신의 의견과 정보, 대안을 제시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댓글 쓰기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조사에서도 다른 이의 생각을 알 수 있었다는 응답이 많았다. 그러나 온라인 설문 조사로는 글쓰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에는 어려웠다. 결론: 제한적 이기는 하나 ...
TAG 인터넷 게시판, 댓글 쓰기, 인터넷 매체, 담화 분석, 실행연구, Internet bulletin board, writing replies, Internet media, discourse analysis, action research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수업 개발 연구: 한국어 뉴스리터러시 교과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임진숙 ( Lim¸ Jinsuk ) , 김강희 ( Kim¸ Kang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379~416페이지(총38페이지)
목적: 본 연구는 미디어 기반의 뉴스 리터러시 한국어 수업에서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하여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와 한국어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를 토대로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교수 모형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학습자 집단에 비하여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한국어교육 전문가 집단의 경험 및 요구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학습자 집단은 교사 혹은 학우들과의 상호작용 저하를 가장 우려하는 것으로 응답한 데 반해 전문가 집단은 학습자의 집중력 저하 및 학습 효과 부진을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구체적인 교수 모형을 설계하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자료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
TAG 학문목적 한국어, 뉴스 리터러시, 블렌디드러닝, 플립러닝, 문제해결교수법, 교수모형,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KAP, News Literacy, Blended Learning, Flipped Learning, FL, Problem Based Learning, PBL, Teaching Model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복합 조사의 사용 양상 연구
서강보 ( Seo¸ Kangbo ) , 정해권 ( Jeong¸ Haegw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417~444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 조사와 같은 첨가 요소가 많은 한국어는 복잡도가 높은 언어에 속하는데, 조사의 다양한 종류와 용법으로 인하여 한국어 학습자는 학습 초기부터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의 형태 복잡도와 사용 양상을 밝히고 복합 조사 제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어에서 조사가 복합적으로 결합되는 양상과 통합 복잡도(syntagmatic complexity)를 산출하여 조사를 다차원적 네트워크로 파악하고, 실제 말뭉치와 한국어 교재에 반영되는 복합 조사의 노출 양상을 확인하였다. 결과: 말뭉치에서 73개의 단일 조사가 고빈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2개 이상의 복합 조사는 물론, 우언 조사도 적지 않게 출현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 복합 조사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객관적인 통계에 근거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TAG 언어 복잡도, 형태 복잡도, 단일 조사, 복합 조사, 우언 조사, 학습자 말뭉치, 조사 교육, linguistic complexity, morphological complexity, single postposition, compound postposition, periphrastic postposition, learner corpus, teaching postpositions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권경근 ( Kwon¸ Kyung Keun ) , 고아진 ( Go¸ Ah Jin ) , 김명문 ( Kim¸ Myeong Moon ) , 김중수 ( Kim¸ Jung Soo ) , 이승왕 ( Lee¸ Seung Wang ) , 정하윤 ( Jung¸ Ha Yoon ) , 김봉국 ( Kim¸ Bong Goo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5권 445~470페이지(총26페이지)
목적: 이 글의 목적은 부산 지역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어간말 자음의 실현 양상을 논의하는 것이다. 방법: 초·중·고등학생 각각 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조사항목은 ‘밭, 팥, 꽃, 빛, 흙, 닭, 값, 굵-, 맑-, 넓-’을 선정하였다. 이 항목에 조사 또는 어미의 결합형을 조사하였다. 결과: 체언의 경우, ‘Xㅌ’에서 ‘밭’은 복잡한 양상을 보이지만 ‘팥’은 ‘Xㅅ’형인 ‘팟’의 실현율이 높게 나타난다. ‘Xㅊ’에서 ‘빛, 꽃’은 모두 ‘Xㅊ’형의 실현율이, ‘Xㄺ’에서 ‘닭, 흙’은 모두 ‘Xㄱ’형의 실현율이, ‘Xㅄ’에서 ‘값’은 ‘Xㅄ’형의 실현율이 각각 높게 나타난다. 하지만 ‘Xㅄ’형에서 호격 ‘아’와 결합하게 되면 ‘Xㅂ’형과 ‘X ㅄ’형의 실현율에는 큰 차이가 없다. 용언의 경우, ‘Xㄺ’에서 ‘굵...
TAG 어간말 자음, 체언, 용언, 활용 패러다임, 곡용 패러다임, 실현 양상, Stem-final consonants, Declension, Conjugation, Declension paradigms, Conjugation paradigms, Aspect of realization
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 인천시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
유지훈 ( Yoo Jihun ) , 이향근 ( Lee Hyang-geu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7~35페이지(총29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인천시 초등학교 5-6학년 교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초첨 집단 인터뷰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논의 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결과:교사들은 연극은 ‘무대체질’인 교사들에게 적합하며 연극 지도는 ‘부담스러운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연극교육의 놀이성이나 비구조적 접근방식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연극 활동이 학생들에게 ‘표현’, ‘공연’, ‘의사소통’, ‘생각이나 감정의 추체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하고 있었다. 연극 단원은 주로 담임교사가 실행하였으나 그중 64%는 연극 단원을 생략하거나 축소하고, 재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외부예술강사연계 수업...
TAG 연극 단원, 교사 인식, 지도 실태, 연극교육, 인문학적 소양, drama unit, teacher awareness, teaching situation, drama education, humanities literac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