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문화정체성 확립을 위한 한국고전문학 교육의 방향 - 한국, 중국, 미국의 문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
오윤선 ( Oh Yoon-su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153~187페이지(총35페이지)
고전문학은 전통적 가치를 지닌 문화텍스트이자 일상의 현재적 소통 속에서도 의미를 공유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문화텍스트다. 이는 수직적 범주, 수평적 범주의 문화를 포괄하는 좋은 문화교육제재를 의미한다. 우리 문학교과서에서의 고전문학 작품은 그 수도 제한적이고, 역사적 갈래를 학습하는 제재로만 다루고 있어, 생활에서 문학을 즐긴다는 관점에서 보면 부족한 부분이 있다. 중국의 문학교과서에서는 자국의 전통문학에 대한 자부심과 전승의 책임감이 보이며, 고전문학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 미국의 경우에는 문학의 전통에 대해서는 미국 외로 그 범위를 넓혀 살펴보고 있지만, 고전교육을 중요시하고 있다. 또한 두 나라 모두 많은 고전문학 작품을 접할 수 있는 교과서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문화다원주의를 강조하는 세계적 추세 속에서도 공동체의 문화적 정체성 ...
TAG 한국고전문학교육, 문화교육, 문화향유역량, 중국교과서, 미국교과서, 문화 문식성,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cultural enjoyment competency, textbooks in China, textbooks in the United States, cultural literacy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중국 초·중등학교 중국어 교육의 발전과 특성
임상 ( Renxiang ) , 왕경 ( Wangge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189~209페이지(총21페이지)
중국 근대화 운동의 영향으로 중국어 교육이 크게 변화되어 왔다. 특히, 문어(文語)의 경우 한문과 토착어에서 현재의 표준 중국어로 발전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어 교육 과정 역시 그에 상응하는 변화를 겪었으며, 이는 언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상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결국 현재의 중국어 교육 체계나 그 교수요목은 이러한 변천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중국 근대화운동의 배경을 바탕으로, 지난 한 세기 동안의 중국어 교육의 체계 또는 교수 요목의 변천에 비추어 언어 교육의 발전 과정과 그 특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TAG 지난 한 세기, 중국어 교육, 발전, 특성, The past century, Chinese language educatio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 양상 연구 - L1 영향으로 인한 단모음 조음 위치 변화를 중심으로 -
웬신 ( Wen X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211~24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발음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시간에 따른 조음 위치의 이동이라는 측면에서 조망하였다. 학습자의 단모음 발음(한국어 단모음 /ㅣ, ㅔ, ㅐ, ㅏ, ㅓ, ㅗ, ㅜ, ㅡ/ 와 중국어 단모음 /a, o, e, i, u, y/ ) 양상을 음성적으로 분석하였으며, 학습자의 L1 발음과의 대조를 통해 오류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음성자료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단모음 포먼트 f1, f2의 값을 5개 지점에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ㅔ/를 제외한 한국어 단모음 발음에서 피험자들의 모음 f1과 f2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중국인 피험자들의 중국어 단모음 발음에서/ɤ/를 제외한 /a, o, i, u, y/의 f1과 f2가 시간의...
TAG 단모음, 조음 습관, 포먼트 f1, f2, 조음 위치 변화, 모국어 영향, 발음교육, Monophthongs, formant f1, movement of articulatory organ, effects of the native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문식성 교육의 성찰과 실천 - 학생, 교육과정, 경험, 공간을 중심으로 -
정혜승 ( Chung Hyese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241~273페이지(총33페이지)
과학정보기술의 비약적 발달에 따라 사회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도 이전과 다른 혁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 문식성 교육도 예외가 아니어서 학생을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량 있는 사람으로 키워낼 것을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그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고 학생의 삶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기 위하여 문식성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를 교육의 핵심 요소인 학생, 교육과정, 경험, 공간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문식성 교육은 학생을 다르게 생각할 권리를 가진 존재로 보고 텍스트 해석과 생산의 주체로서 학생이 다양한 관점으로 텍스트를 이해하고 표현하도록 존중해야 한다. 교육의 기본적 설계라고할 수 있는 교육과정은 ‘텍스트를 다루는 능력’을 길러주는 데 그치지 말고, ‘텍스트로 성장하는 사람’을 길러내도록 학생의 소통 의도와 목적 중심으로 기획되어야 ...
TAG 문식성, 학생 주체, 교육과정, 경험, 공간, literacy, student agency, curriculum, experience, space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헤테로토피아의 양상과 문학교육적 함의
홍인영 ( Hong In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4권 275~311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청소년 소설의 공간에 대하여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적용하여 그 양상을 살피고, 문학교육적 의의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헤테로토피아의 개념 및 여섯 가지 원리를 이론적 바탕에 두었으며, 헤테로토피아의 속성과 청소년 소설이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기의 경험 간의 관계를 살폈다. 연구를 위해 선택한 작품은「어디에도 있는」, 「마법이 필요한순간」, 「곰이 춤춘다」이다. 분석 범주는 고립의 공간, 이의 제기의 환영적 공간, 일탈과 이질성의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헤테로토피아적 특성은 존재에 대한 성찰, 현실의 반추, 자아정체성의형성과 연결되며 이는 문학교육적 함의로 이어질 수 있다.
TAG 청소년 소설, 공간, 헤테로토피아, 고립, 환영, 일탈, Juvenile novels, Space, Heterotopies, Isolation, Fantasy, Deviation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의 동향 분석
김가람 ( Kim Gara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1~31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학 분야에서 수행된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최근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관련 연구가 증가하였다. 지금까지 수행된 32편의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연구 시기와 유형, 연구 대상과 방법 그리고 연구 주제를 기준으로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후속 연구의 방향은 첫째, 중국과 태국 중심으로 수행된 연구가 다양한 지역으로 확장되어야 하고,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한국어 교사 외에도 다양한 교육기관의 한국어 교사 대상 연구로 확장되어야 한다. 둘째, 비원어민 교사의 고유한 특성을 발견할 수 있는 교수 언어나 발화 전략 등의 연구 주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 방법의 측면에서 교실 대상...
TAG 한국어교육학, 한국어교사론,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연구 동향 분석,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teacher theories, Non-native Korean teachers, Analysis of research trends
다문화 소설에 대한 비판적 이해 교육 내용 연구 - 김미월의 <중국어 수업>을 중심으로 -
김지혜 ( Kim Jeehy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33~70페이지(총38페이지)
이 연구는 다문화적 역량은 다문화 사회에 대한 비판적 이해와 성찰로부터 발달된다는 전제로, <중국어 수업>의 다문화 사회 구조와 문제들을 검토한 후, 이를 통한 다문화 소설 교육의 내용을 모색한다. 소설은 삶의 다양한 양태를 핍진하게 형상화함으로써 리얼리즘적 사유를 보여주는 텍스트로, 인간에 대한 이해와 세계에 대한 성찰을 확장시키는데 기여한다. 특히 다문화 소설에는 신자유주의적 흐름에 따라 심화된 다문화 사회의 구조와 문화적 타자들 사이의 관계 양상이 재현되어 있어서, 문화적 타자들 사이의 갈등이란 개인들의 문화적 편견이나 고정관념, 그리고 이들의 사회적 입장을 분화시키는 각종 제도와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통찰하게 돕는다. 한편, 다문화적 갈등에 막대한 영향을 주는 구조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신자유 주의적 흐름의 심화와도 관련이 있는 자본주의 구조이다...
TAG 다문화교육, 다문화소설, 비판적 이해, 사회 통합, <중국어 수업>,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novel, Critical understanding, Social integration, < Chinese lesson >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 정립에 관한 연구 -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
남지애 ( Nam Jia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71~111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언어유형론적 관점을 토대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제의식을 구체화하기 위해 현행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국어의 특성’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국어의 특성’ 개념과 교육 내용 선정기준이 모호하여 무엇을, 왜,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합의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언어유형론적 관점 특히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탐색한 결과 언어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함축적 보편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의 특성’ 교육, 언어의 본질에 대한 해석을 지향하는 ‘국어의 특성’ 교육의 관점을 제시하였다. 국어의 특성에 대한 총체적 앎과 ‘국어의 특성’에 대한 앎의 ‘자기 유사성’을 기반으로 명시적 교육내용으로서 ‘국어의 특성’ 교육은 명제적 지식...
TAG ‘국어의 특성’, 문법교육, 언어유형론적 관점, 언어의 보편성, 문법교육적 경험, 자기 유사성,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Grammar education, Perspective of language typology, Language universals, Grammar educational experiences, Self-similarity
필자의 쓰기 수준과 수정 주체에 따른 수정하기 양상 고찰
서종훈 ( Suh Jong Ho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113~142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수정하기와 관련된 현장조사 연구이다. 그간 수정하기가 주로 규범적 틀에서 교육되어 왔음을 감안하며, 본고는 수정하기의 일반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대치, 삭제, 추가, 재구성이라는 네 가지 수정하기 규칙을 학습자의 수준과 수정하기의 주체를 달리하여 적용하고, 그 결과 양상을 검정하였다. 가설1과 2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AG 수정하기, 삭제, 대치, 추가, 재구성, Revision, Deletion, Substitution, Addition, Reorganization
국어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현황과 발전 방향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최소영 ( Choi So-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143~190페이지(총48페이지)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 내용의 변화를 역대 교육과정과 비교하되 특히 성취기준에 나타난 주요 용어 변경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함께 검토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와 <언어와 매체>는 이전까지의 역대 교육과정과 달리 국어사가 ‘현재’의 국어에까지 미치는 ‘변화’에 주목하며 ‘역사성’을 함께 논하였다. 국어사 교육을 통하여 현재의 언어에 대한 이해를 심화할 것을 요구하며, 국어사 교육의 현재적 의의를 강조하기도 하였다. 그런데 <국어> 교육과정에서 중세국어와 현대국어로 범위를 한정함으로써 언어 변화에 단절이 생긴다는 점은 문제적이다. 교과서의 경우, <국어> 교과서에서 현대국어와의 비교 의식을 강조하는 서술 및 활동 구성이 전반적으로 부각되었다.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는 ...
TAG 국어사 교육, 문법 교육, 변화, 탐구, 2015 개정 교육과정, ‘국어’, ‘언어와 매체’,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Grammar education, Language change, Inquiry,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Language and the Media”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