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능성과 활용 방안 탐구
신윤희 ( Shin Yun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4권 275~307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치 제고를 통해 문학교육에서의 한시교육 방향과 한시 작품 활용 방안을 큰 틀에서 제안해 보는 데 있다. 문학교육에서 한시 작품은 작품이해를 통해 문학적 소통을 추구하기보다 한국문학의 범주와 문학사적 갈래를 설명하거나 국문시가 이해를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는 전통 시가관에 근거한 고전시가의 교육과 연구의 관행과, 한시의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시에는 기록문학으로서 선인들의 고결한 정신적 세계가 고스란히 담겨있으며 이는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노래 우위의 전통 시가관에 따라 노래의 기능이 탈각된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시는 국문학의 범주 안에서 국문시가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한시의 정신적 측면의 교육적 가치가 간과되어 온...
TAG 한시교육, 문학교육, 한시의 창작과 향유의 원리, 문자시, 시의 기능, Education for Korean-Chinese poetry, Literature education, Principles of Korean-Chinese poetry creation, Functions of poetry
무극(无極) 양주익(梁周翊)의 시조 <감성은가(感聖恩歌)>·<감은곡(感恩曲)> 연구
은필관 ( Eun Pilgw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4권 309~346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18세기 문신인 무극 양주익(无極 梁周翊 : 1722~1802)의 시조 <感聖恩歌>와 <感恩曲>을 살펴보고 그 문학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둔다. 양주익의 시조는 다음과 같은 형식적 특성을 갖는다. 첫째, 문집에 함께 수록된 시조의 한역은 시조의 형식을 최대한 살리는 방향으로 시도되었다. 둘째, <감성은가>는 <오□이> 노래의 형식구조를 차용하여 다양한 성은의 시공간적 층위를 표현하였다. 셋째, 4수의 시조는 작자의 기존 창작물을 시조로 재구성하여 창작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내용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감성은가>는 작품 속에 관념적으로 다양한 시공간적 층위를 설정하여 임금의 무한한 은혜를 표현했다. 반면 <감은곡>은 실제 작자가 정조에게 받은 은혜를 구체적 사실로서 설명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자세와 의지를 표출하였다....
TAG 양주익, 梁周翊, 시조, <감성은가, 感聖恩歌>, <감은곡, 感恩曲>, 성은, 聖恩, 시조한역, 時調漢譯, Yang Ju-ik, Sijo, Gamsungeunga, Gameungok, Royal blessings, Sijo translation into Classical Chinese
『해동염사(海東艶史)』의 내용과 특성
강미정 ( Kang Mi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4권 347~364페이지(총18페이지)
1937년은 중일전쟁으로 인하여 궁지에 몰린 일제가 우리나라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여 일상에서도 한국어 사용이 금지되었던 시기였다. 그러한 시기에 한국 잡지 언론의 선구자였던 청오 차상찬(車相瓚, 1887-1946)은 한글로 기술된 『해동염사(海東艶史)』를 출간했다. 『해동염사』는 우리 조선의 정사(正使), 야사(野史), 문집(文集), 전설(傳說) 등을 참고하여 여성들의 사적을 정리한 야사집이다. 『해동염사』는 남성 중심의 역사 기술에서 벗어나 여성 중심의 역사 기술을 하겠다는 취지에 따른 저작물이기도 하다. 이에 이 글에서는 1937년에 출간된 『해동염사』를 중심으로 그 구성 체제와 내용을 정리하고 그에 담겨 있는 일제강점기 여성 인식을 논의하였다. 그를 통하여 『해동염사』는 일제강점기의 여성 대상 독서물에 담겼던 현모양처에 대한 기대감, 열녀...
TAG 차상찬, 일제강점기, 여성 독서물, 정사, 야사, 『해동염사』, Cha Sangchan, Japanese colonization, Official history, Unofficial history, Haedong-yomsa
베트남에 대한 분열된 시선 - TV드라마 <머나먼 쏭바강>을 중심으로
문선영 ( Moon Sunyo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4권 265~290페이지(총26페이지)
TV드라마 <머나먼 쏭바강>은 1990년대까지 방송극에서 언급하지 않았던 베트남전쟁을 본격적으로 다룬 최초의 드라마이다. 1993년 SBS 창사특집극 <머나먼 쏭바강>은 1992년 한국·베트남 재 수교 이후 달라진 한국과 베트남의 관계,1993년 문민정부의 출범으로 과거사 재조명이 활발해지는 시점에서 방영되었다. 드라마 <머나먼 쏭바강>은 박영한의 소설 두 편<머나먼 쏭바강>, <인간의 새벽>을 각색하였는데, 일부 스토리와 주요 인물만을 가져왔을 뿐, 원작과는 큰 차이가 있다. TV드라마 <머나먼 쏭바강>은 전쟁터와 도시라는 공간을 분리하여, 각기 다른 공간에서 베트남을 경험하는 한국군 남성들의 이야기를 교차 배치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베트남의 전쟁 현장에서 벗어나 베트남의 다양한 모습을 입체적으로 제시하려고 시도한 ...
TAG TV드라마, <머나먼 쏭바강>, 베트남전쟁, 베트남, 전쟁드라마, TV drama, The Faraway Ssongba River, Vietnam War, Vietnam, War Drama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다의 동사 제시 방안 연구 - 다의 동사 '가다'를 중심으로
張思揚 ( Zhang Siy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1] 제34권 391~420페이지(총30페이지)
한국어 교육에서 다의어 교육의 필요성은 말할 나위도 없다. 단, 현행 한국어 교재를 두루 살펴본 뒤, 다의어 관련 교육 내용이 체계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고는 다의 동사 '가다'를 예시로 각 교재의 '가다'의 의미 제시에서 두루 존재하는 문제들을 찾아내고 '가다'의 대응 표현 등을 충분히 고려해 재분류된 '가다'의 의미 범주들에 바탕을 두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다의어 의미 제시 방안을 구축하는 시도를 하였다. 교재 분석을 진행하기 전에 '가다'의 의미에 대한 검토를 먼저 하였다. '가다'의 의미를 이동 도식의 구성 요소에 의하여 5가지 의미 범주로 구분하며 제시 방안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어 재분류된 '가다'의 의미 범주, 중국어 대응 표현과의 관계 등을 유의해서 교재 현황을 살펴보고, '가다'의 제시에서...
TAG 다의어 교육, 한국어 교재, 문제점, 제시 방안, Polysemy education, Korean textbook, Problem, Suggestion plan
포스트휴먼 시대 교양교육의 위상과 방향 -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과목 <자유정의진리>를 중심으로
오연경 ( Oh Younkyung ) , 조재룡 ( Cho Jaery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3권 7~28페이지(총22페이지)
포스트휴먼 시대를 맞이하여 현대 문명을 정초해 온 ‘인간’ 개념이 근본적인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이러한 전환적 시대에 교양교육은 인류 문명사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바탕으로 포스트휴먼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차원의 인간성을 탐구하는 교육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양교육의 현실적 구현을 위해서는 세 가지 측면에서의 방향성을 확보해야 한다. 첫째, 분과 학문의 정통성을 타자화하고 전수된 전문성을 학제적 네트워크 속에서 조망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학제적·융합적 성격의 교양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자기반성적 성찰과 총체적 통찰을 내면화하는 태도를 배양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의 혁신적인 교육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균형 및 긴장 관계를 구조화할 수 있도록 중핵 교육과정의 교양 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본 논문은 포스트휴먼 시대 ...
TAG 포스트휴먼 시대, 학제적 교양교육, 융합적 교양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중핵 교육과정, 플립트 클래스, 4단계 교수학습, 모듈형 융합 콘텐츠, The posthuman era, Interdisciplinary liberal arts, Convergent liberal arts, Learner-centered education, Core curriculum, flipped class, Four-step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Modules of convergent content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 방법 및 효과 연구 - 성공회대학교의 <말과글>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오현화 ( Oh Hyunhw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3권 29~51페이지(총23페이지)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대학교육의 본질 훼손과 수행의 측면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이 지닌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대학교육의 본질과 질적 향상을 제고 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실제 수업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있다. 먼저 성공회대의 교양교육 체계 및 교육과정 운영 현황 및 결과를 살펴보고, 1학기 ‘혁신’ 과정의 핵심역량 과목으로 지정된 <말과글> 수업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핵심역량 중심의 교양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팀프로젝트 활동으로 이루어진 ‘기획서 작성하기’는 2019년 재학생 핵심역량진단 평가에서 미흡하다고 지적된 ‘대안’ 역량 습득 보완을 위해 마련된 교육과정이다. 코로나19로 인해 팀프로젝트 활동은 전면 비대면 온라인 ...
TAG 교양교육, 핵심역량, 대안역량, 실천역량, <말과글>, 팀프로젝트, 기획서 작성하기, Liberal arts education, Core competency, Practice competency, Alternative competency, < Speaking and Writing >, Team project, Write a proposal
교양의 정신과학적 의미와 교양에 있어서 고전서사문학의 교육적 가치
정상원 ( Jung Sangw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3권 53~77페이지(총25페이지)
본고에서는 교양의 정신과학적 의미와 교양에 있어서 고전서사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논의했다. 교양은 나의 유한성, 타인에 대한 개방성 및 연대성을 함의하는 윤리적 앎을 토대로 보편성으로 고양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뜻한다. 때문에 우리는 윤리적 앎의 측면에서 고전서사문학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본 바 있다. 서사문학은 창작에서 수용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단계에 걸쳐서 윤리적 실험실과 같다. 우리는 독서를 통해서 변증법적으로 구현되는 서술적 정체성을 얻는데, 이를 바탕으로 윤리적 앎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역사적 존재자로서의 인간은 현재적 삶과 앎을 반성할 수 없다. 우리가 지금-여기에서의 삶과 앎이 갖는 좋음과 그렇지 못함을 반성할 수 있는 유일한 기제는 전통과의 만남이다. 전통은 우리의 현재성을 생생히 드러내주며 좋은 삶을 향한 여정에 있어서 필연적으로 요청된...
TAG 교양, 정신과학, 고전서사문학 교육, 실천적 지혜, 시공간적 간격, Bildung, Geisteswissenschaften, Classic narrative literature education, Phronesis, Space-time gap
중등 국어교육에서 교양의 위상과 가치
정재림 ( Jeong Jair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3권 79~105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중등 국어교육에서 교양이 갖는 위상과 가치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1차~2차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문화적 교양’, ‘중견 국민으로서의 교양’이라는 표현이 확인되는데, 1차~2차 교육과정에서 국어교육의 교양을 ‘언어에 대한 교양’과 ‘문학에 대한 교양’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차~3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국어과 교육에서 교양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는데, 이는 교과교육이 교과 특수성보다 보편적, 일반적 교양 교육에 초점을 두었던 점과 관련이 있다. 또한 이 시기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교양의 강조는 1950~70년대 사회 전반에 유행했던 교양 및 교양주의 담론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차~7차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에서는 교양이라는 용어가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는 국어교육의 특수성이 강조...
TAG 국어교육, 교육과정, 교양, 교양인, 추구하는 인간상, 진선미 가치론,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Culture, Educated People, Pursuing Human Image, Truth, goodness, and beauty
대학 교양교육으로서 고전읽기 - 계명대학교 <교양세미나> 교과목 사례를 중심으로
최애순 ( Choi Aes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3권 107~128페이지(총22페이지)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읽기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 것인지 사례를 들어 따라가 보기로 하겠다. 고전이 우리에게 선사하는 것은 현대사회에서 홍수처럼 쏟아져 나오는 지식이나 정보가 아니다. 대학 교양교육에서 고전읽기를 통해 얻는 효과는 무엇일까. 본 논문에서는 계명대학교에서 필수 교양과목으로 3학점을 이수하도록 하는 <교양세미나> 교과목을 들어 교양교육으로서의 고전읽기 사례를 보여주고자 한다. 계명대학교에서 <교양세미나> 교과목이 계속해서 고전읽기 과목으로 현존할 수 있는 것은, ‘계명대학교 도서목록 타불라라사 120선’과 연계되었기 때문이다. <교양세미나> 교과목은 발표와 토론 위주의 독후 활동 중심으로 진행되며, 독서인증제, 독후감 경시대회 등의 비교과 활동과도 연계되어 있다. 고전읽기 수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현대사회와의 비교이다. 현대사회와 맞지 않...
TAG 대학 교양교육, 고전읽기, 교양세미나, 독후 활동, 발표, 토론,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Reading classics, Liberal arts seminars, Reading activities, Presentations, Discussio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