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과 교육과정은 어떤 독자를 길러내고자 하는가? : 독자 역할 모델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를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9~40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읽기 교육이 읽기로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에서 부딪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시민으로 의무와 권리를 행사하며 공동체에 참여하고, 개인의 성장과 안녕을 위하여 읽기를 능동적으로 활용하는 역량을 갖춘 독자를 길러내야 한다고 전제하면서 2015 개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이 이러한 독자를 계발하는 데 적절한지를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Freebody와 Luke가 1990년에 개발한 네 가지 독자 역할 모델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류한 결과 텍스트 사용자와 분석자 관련 성취기준의 비중이 낮고 초등학교급에는 이들 역할과 관련된 성취기준이 거의 제시되지 않은 문제가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문제는 읽기교육과정이 읽기로 삶을 살아가고, 텍스트가 자신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비판...
TAG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ading standards, four roles model, competence, text user, 국어과 교육과정, 읽기 성취기준, 독자 역할 모델, 역량, 텍스트 사용자
해석의 무한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 니체의 관점주의를 중심으로
김선주 ( Kim¸ Sun-ju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41~60페이지(총20페이지)
해석은 무한하다. 이는 구차한 설명 없이도 경험으로 이해되는 명제다. 하지만 왜 그런가를 설명하려들면 이처럼 난해한 과제도 드물다. 지금까지 해석의 무한성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설명되었다. 하나는 이를 주체의 해석 메커니즘에서 찾는 것으로, 칸트의 논의를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칸트는 해석을 감성의 잡다(雜多)를 이성이 개념으로 규정하는 과정으로 이해한다. 하지만 예술 작품의 해석과 같은 미적 판단의 경우는 개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감성의 잡다에는 끊임없이 다양한 개념이 부가되고 이 과정에서 무한한 해석이 생겨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해석의 무한성을 대상에 내재한 속성으로 파악한다. 이 같은 전통은 낭만주의를 비롯한 많은 철학자들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데, 여기서는 하이데거의 ‘대지’와 ‘세계’라는 두 계기를 중심으...
TAG 해석의 무한성, 관점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독서론, infiniteness of interpretation, Perspectivism, reading theory of Postmodernism
초등학생의 단어 읽기 발달 양상
윤준채 ( Yoon¸ Jun-cha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61~82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단어를 읽는 양상을 발달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광진구에 위치한 A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21명이 참여하였다. 그리고 자료 수집은 <한국어 읽기검사>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은 1학년을 마칠 즈음에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규칙적인 단어에 대한 읽기 발달이 거의 완성된다. 그러나 자소와 음소의 대응이 불규칙적인 단어에 대한 읽기 발달은 1학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ㅎ 탈락, 구개음화, 설측음화가 일어나는 단어에 대한 지도가 강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과는 현행 한글 학습에 대한 재검토를 시사한다.
TAG 단어 읽기, 자소․음소 대응 관계, 자동화 단계, 한글 학습, word reading, grapheme-phoneme relationship, automatic phase, Hangul learning
읽기 동기의 자기결정성에 따른 독해력 차이 : 중학교 1~3학년을 중심으로
박성석 ( Park¸ Seongseog ) , 민병곤 ( Min¸ Byeonggo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83~106페이지(총24페이지)
읽기 동기 측정을 위해 개발된 기존 척도를 활용하여 읽기 동기의 자기결정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방식이 독해력 정도를 잘 예측함을 입증하였다. 중학생 2,020명의 읽기 동기를 MRQ 기반 척도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가 9구인 요인 구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구인 간 상관 행렬이 유사 심플렉스 패턴을 보이는 점을 근거로 9구인이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라 위계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군집분석 결과 4개 군집을 도출하였다. 각 군집 중심의 9개 구인별 Z점수를 근거로 4개 군집을 각각 ‘무조절’, ‘외적 조절’, ‘내면화된 조절’, ‘내적 조절’이라 명명하였다. 자기결정성 군집, 학년, 성별을 독립변인으로, 독해력 검사 점수를 종속변인으로 삼아 삼원배치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자기결정성 군집에 따른 차이가 유...
TAG 읽기 동기, 독서 동기, 자기결정성, MRQ, 독해력, 국어교육, 읽기 교육, 독서 교육, reading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reading comprehens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ing education
사회문화적 관점과 읽기 동기에 관한 시론
이용준 ( Lee¸ Yongj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107~144페이지(총38페이지)
비교적 최근까지 동기에 관한 상당수의 연구가 개인의 내적 심리적 특성이나 인지적·정서적 기능에 초점을 두어 온 결과, 연구자들은 학습 과정에서 사회적 맥락이나 환경의 역할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가진 측면이 있었다.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을 둔 읽기 동기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인식 아래, 본고는 사회문화적 관점의 읽기 동기를 이해하기 위한 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동기 이론의 변천과 특징을 개관하고, 사회문화적 관점에 기반을 둔 읽기 동기 연구가 왜 필요하고, 어떠한 연구 방법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지, 그리고 이러한 사회문화적 관점의 동기가 읽기 교육이나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TAG 사회문화적 관점, 읽기 동기, 독서 동기, 동기 변천, sociocultural perspective, reading motivation, motivation theories
국어교육분야에서의 읽기 부진 연구 동향 : 주제범위 문헌고찰(Scoping Review)
이수진 ( Lee¸ Sooj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145~16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사용해 독서 상황에서 소외된 집단이라 할 수 있는 읽기 부진 관련 연구가 국어교육 분야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그 양상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2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을 거쳐 총 26편의 논문이 확정되었다. 분석 결과, 국어교육 분야에서의 읽기 부진 관련연구는 2000년부터 등장하며, 2016년을 기점으로 증가하고 있다. 읽기 부진을 지칭하는 용어로는 '읽기 부진'이 가장 많으나 2014년부터 저성취와 관련된 용어가 사용된 연구가 나타난다. 연구 목적/질문 측면에서는 읽기부진의 유형이나 학습자의 특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초등 학습자를 연구 참여자로 진행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연구 참여자를 선별하는 도구나 기준은 연구자마다 다르게 적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TAG 읽기 저성취, 읽기 부진, 읽기 어려움, 주제범위문헌고찰, low achievement in reading, reading underachievement, reading difficulties, scoping review
뉴스 빅 데이터에 나타난 ‘독서’ 담론 분석 : 11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신선주 ( Shin¸ Seonju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171~20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뉴스 빅 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BigKinds)’에 나타난 ‘독서’ 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독서문화정책’시행 원년인 2009년을 분기점으로 이전 10년(1999년~2008년)과 이후 10년(2009년~2018년)으로 나누어 독서담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빅카인즈를 활용한 4가지 분석기법(키워드 검색, 연도별키워드 트렌드,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통해 시기별 독서담론에서 어떤 지배적 담론이 들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대상으로 ‘독서’와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지배적인 독서담론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1999년부터 2018년까지 11개 중앙 일간지에 나타난...
TAG 빅 카인즈, Bigkinds, 뉴스 빅 데이터, 담론 분석, Bigkinds, news-related big data, discourse analysis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신윤경 ( Shin¸ Yun-ky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207~22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인권 감수성의 개념을 고찰하였으며 디지털 매체 읽기 환경에서 독자가 함양해야 하는 인권 감수성의구성 요소가 담고 있어야 하는 세 가지 능력을 밝혔다. 이 능력은 디지털 상황맥락 인식하기,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도덕적 민감성으로 접근하기, 정보윤리 실천 의지를 다지고, 인권 이슈에 대한 책임감 지니기로 명명하였다. 본고에서는 배리 베이어(Barry K. Beyer)의 열 가지 비판적 사고 기능을 중심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 특징으로는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해 정보인권지수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매체 읽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다. 독자의 인권 감수성 향상을 위한 디지털 매체 읽기 교수·학습...
TAG 디지털 매체 읽기, 독자, 인권 감수성, 비판적 사고, 교수·학습 모형, Digital Media Reading, Readers, Sensibility to Human Rights, Critical Th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한국·중국·일본 대입시험 국어 평가 문항 비교 분석 : 독서 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김승현 ( Kim¸ Seunghyun ) , 권태현 ( Kwon¸ Tae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229~260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중국·일본 대입 국어 시험의 독서 평가 문항을 비교·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 가오카오 ‘현대문 독해’, 일본 센터시험의 ‘현대문’, 한국 수능 시험의 ‘독서’ 지문 및 문항을 비교·분석하였다. 지문 분석 결과, 가오카오와 센터시험의 경우, 긴 지문 1~2개를 제시하여 독서의 실제성을 강조하는 반면 수능은 지문 3~4개를 제시하여 다양한 주제의 글을 읽는 능력을 평가하는 데 초점이 있었다. 또한 수능 독서 지문은 길이가 짧아도 정보의 밀도가 높은 반면, 가오카오나 센터시험의 지문은 실제 글을 발췌하여 비유적이고 추상적인 표현이 많다는 특징이 있었다. 문항 분석 결과, 첫째, 사실적·추론적 이해를 평가하는 문항의 경우, 가오카오는 글의 대의를 묻는 단순한 문형이 많은 반면, 센터시험이나 수능은 보다 세부적인 독해를...
TAG 대학수학능력시험, 가오카오, 대학입시센터시험, 독서 평가 문항, CSAT, Gāokǎo, National Center Test for University Admissions, Reading evaluation items
초기 문해력 교육을 위한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제고 방안 연구
김미혜 ( Kim¸ Mi-hy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261~287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정신적 ‧ 문화적 측면에서의 복지를 지원하는 대표적인 기관인 도서관, 그 중에서도 작은도서관이 초기 문해력 교육에서 담당해야 할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공도서관과 다르게 지역 주민들의 생활 동선에 위치하는 작은도서관은,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과 편의성을 높여 독서복지를 강화할 수 있는 대안이다. 이동 거리나 접근의 편의성이 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라는 점에서 작은도서관은 공공도서관의 한계를 메울수 있다. 또한 작은도서관은 지역사회 공동체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정에서의 문해 환경의 격차를 줄이면서 모든 아동들에게 유의미한 문해 활동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이를 전제로 작은도서관이 운영하고 있는 독서 지원프로그램 중 초기 문해력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보았다. 북스타트와 책 읽어주기...
TAG 작은도서관, 독서복지, 소외계층 아동, 문해 환경, 초기 문해력 교육, Small library, Reading welfare, socially disadvantaged children, Literacy environment, Early literacy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