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168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Covid-19 확산이 교육계에 주는 도전: 모두를 위한 질 높은 원격수업
정한호 ( Hanho Jeong ) , 노석준 ( Seakzoon Roh ) , 정종원 ( Jongwon Jung ) , 조영환 ( Young Hoan Ch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645~669페이지(총25페이지)
COVID-19의 광범위한 확산으로 인해, 국내 대부분의 교육기관에서는 원격수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런데, COVID-19에 따른 원격수업이 효과적인 교육활동이라기 보다는 오프라인 수업의 온라인 전환에 따른 불완전한 수업 형태라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원격수업의 전면 시행이라는 현상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교육현장에서의 원격수업의 한계와 문제점, 그리고 해결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탐색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존재하고 있었지만 COVID-19로 인한 원격수업의 전면적 확산으로 드러난 디지털 학습격차, 교육콘텐츠에 대한 정보접근성, 교사 역량 함양의 실제적인 의미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해결방안을 고찰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원격수업에 따른 학습격차 논란과 디지털 격차와 학습격차의 발생요인과 과정, 그리고 이에 대한 ...
TAG COVID-19, remote learning, digital learning divide, Information accessibility, teachers’ competencies, Covid-19, 원격수업, 디지털 학습격차, 정보 접근성, 교사 역량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의 도전과 과제
이지연 ( Ji-yeon Lee ) , 성은모 ( Eunmo Sung ) , 이지은 ( Jieun Lee ) , 임규연 ( Kyu Yon Lim ) , 한승연 ( Seungyeon Ha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671~692페이지(총22페이지)
코로나19 감염병 위기상황의 장기화로 인해 전국의 초중등학교와 대학들은 2020년 1학기에 이어 2학기도 온라인 개학상황에서 수업을 진행하게 되었다. 이제는 많은 이들이 ‘한시적’일 것으로 간주했던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을 “언택트 뉴노멀(untact new normal)” 시대의 전면적이고 비가역적인 변화로 받아들이고, 그간 학습의 촉진을 위해 경주해온 교육공학 분야의 교수설계 연구와 실천의 연장선상에서 온라인 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학습을 촉진하는 핵심적인 요인임에도 실제 수업현장에서의 적용은 쉽지 않아 선행연구들에서 오랜 관심의 대상이 되어왔던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협력학습, 평가의 관점에서 코로나19 시대 온라인 수업이 당면한 도전을 살펴보고 향후 해결해야 할 과제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
TAG online course, COVID-19, interaction, collaborative learning, online assessment, instructional design, 온라인 수업, 코로나19, 상호작용, 협력학습, 온라인 평가, 교수설계
포스트 코로나시대 비대면 수업을 위한 교육공학의 역할과 과제
조은순 ( Eunsoon Ch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693~713페이지(총21페이지)
지난 20여 년 동안 교육정보화 정책을 통해 학교환경의 디지털화, 교사와 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향상, 학교 급별 다양한 콘텐츠 개발, 사교육감소를 위한 학습자 튜터링 지원 등 많은 정책적 지원과 노력이 있어 왔다. 현재 상황에서 ‘비대면 수업’을 지속, 확산하는데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은 기존의 개념으로서는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많다. 관련 자료와 분석에서도 코로나 이후 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습결손 및 학력격차, 계층격차 확대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과 기계설비중심의 교육환경 인프라 개선에 앞서 현재 교실 집합위주 교육과정의 근본적인 수업설계에 대한 개선 전략과 수업과정의 획기적인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고에서는 ‘비대면 수업’에서 중요한 교수와 학습과정의 핵심요소들을 재점검해보고, 앞으로 대면 ...
TAG untact, class, educational technology, EdTech, COVID-19 education, conversed technology, 비대면 수업, 대면 수업, 원격수업, 교육공학과 테크놀로지, 학문융합, 에듀테크, 미래교육
비대면 원격수업 사례분석을 통한 교수자의 원격수업 역량 탐색: 실시간 쌍방향 수업을 중심으로
오영범 ( Youngbeom O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715~74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학교 수업이 원격수업 체제로 전환되면서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원격수업 설계 및 실행 역량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원격수업 사례, 원격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담 및 자유 글쓰기와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동성과 김영천(2014)이 언급한 개연적 삼단논법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자 역량을 사전 점검, 설계, 실행, 성찰의 4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각 단계에 따른 구체적인 역량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사전 점검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환경 구축 역량을 제시하였고, 하위 역량으로 원격수업 시스템 사전 점검 역량과 학습자 정보격차 관리 역량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설계 단계에서는 원격수업 설계 역량에 따라 학습자 요구분석 역량,...
TAG Covid-19, distance instruction, non face-to-face, competency, 코로나19, 원격수업, 비대면, 역량
코로나19에 따른 초중등 교사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과 인식에 대한 탐색
권성연 ( Soungyoun Kwo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745~77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2020년 1학기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운영 현황, 온라인 수업의 단점과 장점에 근거한 효과성 인식, 애로사항과 해결방안, 향후 온라인 수업의 개선방향과 확장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개방형 질문과 후속 면담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향후 국내 교육현장에서 보다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가진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효과성 인식에 있어 전반적으로 비효과적이었다는 인식이 많았다. 그 원인으로 수업참여가 저조한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지도 및 피드백의 어려움, 일방향적 수업으로 흥미유발의 미흡, 사회성 교육 및 정의적 교육의 어려움을 제시하였다. 반면, 온라인 수업의 장점에 근거한 효과적인 측면으로는 개별화 학습과 개별 피드백...
TAG COVID19, online class, effect of online class, online class infra, online feedback, 코로나19, 온라인 수업, 온라인수업효과, 온라인수업인프라, 온라인 피드백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의 프로젝트학습 사례 연구: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을 중심으로
장경원 ( Kyungwon Cha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775~804페이지(총30페이지)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해 비대면 원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도 의미있는 학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이 주도적, 협력적으로 학습하는 프로젝트학습의 실행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비대면 원격교육에서 이루어진 프로젝트학습에 대한 사례연구로 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운영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 1학기에 경기도 소재 A대학교에서 운영된 비대면 원격 프로젝트학습에 참여한 3개 반 학습자 80명이 제시한 주요 학습활동, 배운점, 그리고 어려움과 건의사항을 수집·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LMS, 화상회의 프로그램, 무료 통화 및 메신저 응용프로그램 등을 이용하여 팀 빌딩, 과제명확화, 자료수집 및 분석, 해결안모색 및 타당성...
TAG Non-face-to-face distance class, project based learning, COVID-19, Online project based learning, implementing strategies for project based learning, 비대면 원격수업, 프로젝트학습, 코로나 19, 온라인 프로젝트학습, 프로젝트학습 운영전략
온라인에서 보낸 한 학기: 디지털 대면수업, 그 경험의 의미
주영진 ( Youngjin Ju ) , 박동숙 ( Dong-sook Park ) , 정금희 ( Kumhee Jung ) , 손새로 ( Saero Son ) , ( Qu Ji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805~83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2020년 봄학기 코로나 19라는 예상치 못한 위기 속에서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하게된 학습자들의 경험을 좇아보았다. 특히 전통적 대면수업에서나 기대할 수 있었던 상호작용성이 구현된 새로운 형태의 온라인 학습인 디지털 대면수업을 주요 연구주제로 삼았으며, 학습자의 경험의 본질을 통해 새로운 학습 방법에 대해 탐색적으로 조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디지털 대면수업을 경험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의도적 표집 후 눈덩이 표집으로 총 14명 선정하여 성찰적 접근방식의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 인터뷰와 잠정적 분석을 병행함으로써 연구 질문의 변화를 겪었고, 궁극적으로 1. 디지털 대면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전통적 교실수업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를 느꼈으며, 어떻게 받아들였나? 2. 학습자들은 디지털 대면수업에 ...
TAG Face to Face online learning, Virtual learning, Computer mediated communication, e-learning, Online live learning, Qualitative study, 디지털 대면수업, 실시간 온라인 수업, 가상 수업,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실시간 온라인 대학 수업, 온라인 수업, 질적 연구
대학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전환 경험 분석을 위한 텍스트마이닝 연구
김주영 ( Jooyeong Kim ) , 박정환 ( Junghwan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839~87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을 통해 기존의 면대면에서 가르치던 대학 교수자들이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겪은 경험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자료는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 1학기에 교수자들이 온라인 수업 정보 공유를 위해 만든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서 수집했으며, 총 166명의 참여자가 나눈 대화 내용을 분석에 사용했다. 데이터 분석은 R 스튜디오를 활용해 대화 내용 중 형태소를 추출한 후 단어 빈도 분석과 바이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전체적인 키워드를 추론했으며, 추가로 학기 중의 키워드의 변화 과정을 주제별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와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교수자들이 가장 많이 언급한 단어는 실시간수업 및 강의녹화와 관련한 단어였으며, 기술적 역할과 관련한 단어의 빈도는 한 학기 동안 지속해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술적 역...
TAG university teacher, online instructors, online teaching experience, text-mining, 대학 교수자, 온라인 교수자, 온라인 수업경험, 텍스트마이닝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김인숙 ( Insook Kim ) , 유숙영 ( Sookyoung Ryu ) , 변현정 ( Hyunjung Byun ) , 서윤경 ( Younkyung Se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873~904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IDI)을 통한 교수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교수자들은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비상사태에 직면하였고, 기존 면대면 방식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나,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상호작용의 부족함을 주요 이유로 불만족을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급전환 과정에서 교수자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만들어냈는가?’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고, 교수자들이 한 학기 동안 상호작용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
TAG Digital Instructional Imaginatio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Interaction Strategies, EduTech,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 비대면 실시간 수업, 상호작용 전략, 에듀테크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현진 ( Hyeonjin Kim ) , 박정호 ( Jungho Park ) , 홍선주 ( Sunjoo Hong ) , 박연정 ( Yeonjeong Park ) , 김은영 ( Eun-young Kim ) , 최정윤 ( Jeongyun Choi ) , 김유리 ( Yuri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905~93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서의 AI 기술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장 친화적인 AI기반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직 초·중 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 성실히 응답한 597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그 중 개방형 설문 문항은 213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AI와 빅데이터가 사회와 교육을 변화시킬 것이며, 학교 도입 시 미래 사회에 부합하는 학생 역량 증진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교육과정에 기여할 점은 과정중심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평가방법 개선이라고 하였다. 한편, AI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이 도입된다면 교사 대다수가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개별화된 수준별 맞춤형수업, 교무 행정 업무 경감...
TAG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mote learning, COVID-19, 인공지능, AI, 원격수업, 코로나1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