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한 상호작용 경험 분석
김인숙 ( Insook Kim ) , 유숙영 ( Sookyoung Ryu ) , 변현정 ( Hyunjung Byun ) , 서윤경 ( Younkyung Se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873~904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Instructional Digital Imagination: IDI)을 통한 교수자의 상호작용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코로나19로 인해 교수자들은 전면적인 비대면 수업을 운영해야 하는 비상사태에 직면하였고, 기존 면대면 방식의 수업과 마찬가지로 학습목표를 달성하고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하였으나,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상호작용의 부족함을 주요 이유로 불만족을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는 ‘대학 수업의 급전환 과정에서 교수자는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을 통해 비대면 실시간 수업에서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만들어냈는가?’를 중심으로 세 가지 하위 질문을 구성하였고, 교수자들이 한 학기 동안 상호작용에 대해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
TAG Digital Instructional Imagination, Non-face-to-face Synchronous Classes, Interaction Strategies, EduTech, 교수적 디지털 상상력, 비대면 실시간 수업, 상호작용 전략, 에듀테크
학교교육에서 AI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
김현진 ( Hyeonjin Kim ) , 박정호 ( Jungho Park ) , 홍선주 ( Sunjoo Hong ) , 박연정 ( Yeonjeong Park ) , 김은영 ( Eun-young Kim ) , 최정윤 ( Jeongyun Choi ) , 김유리 ( Yuri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905~93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교육에서의 AI 기술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장 친화적인 AI기반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직 초·중 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모든 문항에 성실히 응답한 597명의 설문응답을 분석하였으며 그 중 개방형 설문 문항은 213명의 응답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AI와 빅데이터가 사회와 교육을 변화시킬 것이며, 학교 도입 시 미래 사회에 부합하는 학생 역량 증진에 가장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현재 교육과정에 기여할 점은 과정중심평가를 가능하게 하는 평가방법 개선이라고 하였다. 한편, AI기반 교수·학습 플랫폼이 도입된다면 교사 대다수가 사용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으며, 이를 통해 개별화된 수준별 맞춤형수업, 교무 행정 업무 경감...
TAG Artificial Intelligence, AI, remote learning, COVID-19, 인공지능, AI, 원격수업, 코로나19
COVID-19 상황에서 대학의 전면적 원격수업에 따른 콘텐츠 품질 비교 및 콘텐츠 품질, 서비스 품질이 학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주라헬 ( Rachel Ju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931~95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COVID-19로 인해 대학에서는 비대면 수업이 실시됨에 따라 원격수업 유형별 제공되는 콘텐츠의 품질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콘텐츠 품질과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D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데이터 가운데 4,253명의 응답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에 따라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격수업 유형에 따라 콘텐츠 품질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동시적 원격수업보다 비동시적 원격수업에서 콘텐츠 품질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 비동시적 콘텐츠 품질, 동시적 콘텐츠 품질 순으로 학생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
TAG distance learning, 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asynchronous distance learning, content quality, service quality, student satisfaction, 원격수업, 동시적 원격수업, 비동시적 원격수업, 콘텐츠 품질, 서비스 품질, 학생 만족도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홍성연 ( Seongyoun Hong ) , 유연재 ( Yeonjae Ryu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957~989페이지(총33페이지)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학생의 등교가 제한되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교육 활동이 급감하였다.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만, 비교과 활동이나 다양한 상호작용의 위축은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성과를 확인하고 결손이 나타난 부분을 보완하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학습성과 상·하위집단을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과 2020년 5월 A대학에서 실시된 K-NSSE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미학습, 자기주도...
TAG learning outcome, non face-to-face, face-to-face, K-NSSE, Covid-19, 학습성과, 비대면, 대면, 학부교육 실태조사, 코로나19
사회비교 정보를 제공하는 대시보드에 대한 학습자 인식 탐색
임지영 ( Ji Young Lim ) , 어정인 ( Jeongin Eur ) , 한가형 ( Ga Hyung Han ) ,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443~477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학습자 대시보드에서 사회비교정보를 제공할 때 학습자가 경험하는 인지․정서적 반응과 행동 패턴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비교이론 및 기존 대시보드를 검토하여 자신과 다른 학습자의 정보를 동시에 확인, 비교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전달하는 대시보드를 개발하였다. 대학생 15명이 실험에 참여하여 각자 주어진 대시보드를 사용하였고, 사용 과정에서 생각한 바에 관해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자료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첫째, 학습자들은 대시보드를 통해 객관적이고 신뢰로운 비교 정보를 제공받으면 모호한 비교 상황으로 인해 발생하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어 긍정적이라고 보았지만, 자신의 정보가 다른 학습자에게 사용되거나 자신이 드러나는 상황에 대해서는 부담감을 느꼈다. 둘째, 학습자들은 높은 성적이나...
TAG learner dashboard, Social Comparison Theory, learning analytics, Learning Management System, learner perception, 학습자 대시보드, 사회비교이론, 학습분석, 학습관리시스템, 학습자 인식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중등 교육실습 운영 분석;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 학생의 활동체제와 모순을 중심으로
김판규 ( Pankyu Kim ) , 이영주 ( Youngju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479~504페이지(총26페이지)
교사를 양성하는 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학생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두 가지 연구문제는 첫째, 실습학교, 사범대, 교육청, 사범대학생의 교육실습 활동체제는 어떠한가? 둘째,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 극복 방안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 사범대학생을 집중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TAG teaching practicum, activity theory, practical schools, education college, administrative, education office, contradiction, 중등 교육실습, 활동이론,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 모순
국내 증강현실(AR) 기반 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8년~2019년을 중심으로
한송이 ( Songlee Han ) ,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505~52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부터 2019년까지 지난 11년간 증강현실 기반 교육과 관련된 주제로 발간된 논문 분석을 통해 증강현실 교육의 연구동향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 주요 논문 연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08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발간된 증강현실 교육에 대한 국내 연구물을 수집하였고, 중복연구 및 주제와 관련성이 낮은 연구 등을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연구물 75편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후 각 논문을 연구방법, 자료수집방법, 연구 변인, 학교급별, 교과 유형, 증강현실기술 유형 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강현실 교육에 대한 논문수는 2014년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 이후, 2019년도까지 꾸준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자료수집방...
TAG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based education, research trends, 증강현실, 증강현실 기반 교육, 연구 동향
문제 풀이 상황에서 학습자의 시선 경로 유사도에 따라 구분한 집단 간 인지부하 및 성취도 차이
정겨운 ( Gyeoun Je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529~559페이지(총31페이지)
문제 풀이 상황에서 정보처리는 문제 풀이 전략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시선 경로를 통해 나타나는 정보처리 과정은 학습자의 문제 풀이 전략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 풀이 상황에서 발생하는 학습자의 시선 경로를 정보처리 과정으로 보고, 학습자가 정보처리 과정에서 경험하는 인지부하 및 성취도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선 경로 유사도 수준에 따라 집단을 나누고, 집단 간 인지부하 차이를 t-검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인지부하의 차이가 성취도의 차이를 예측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도권 소재 대학의 학부생 26명을 대상으로 문제풀이 중에 발생하는 시각 행동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시선 경로는 AOI(Area Of Interest)별시선 고정(fixation) 순서와 시선 고정 지속시간(d...
TAG problem solving, information processing, cognitive load, eye-movement, scanpath similarity, Levenstein edit distance method, 문제풀이, 정보처리, 인지부하, 시각행동, 시선 경로 유사도, 리벤스타인 편집거리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피드백 유형이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 유미나 ( Mina Yo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561~588페이지(총28페이지)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시각적 대시보드는 학습자의 학습성과 및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지원 도구이지만, 학습자가 제시된 대시보드를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는 다를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토론활동 참여정보에 대한 대시보드에 시각적 피드백과 함께 제공된 설명적 피드백의 유형이 학습자들의 온라인 학습참여 및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회에 걸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연구 1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K대학교의 교양교과목을 수강한 74명의 대학생들이다. 사전검사를 통해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인하였으며, 독립변인은 기술적 피드백과 처방적 피드백이고 종속변인은 학습자들의 토론활동 참여도 및 학습성과이다. 연구결과, 기술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집단이 처방적 피드백을 제공받은...
TAG feedback types, direct feedback, participatory dashboard,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alytics, 피드백 유형, 설명적 피드백, 처방적 피드백, 직접 피드백, 간접 피드백, 학습참여, 학습성과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RPISD) 모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 , 송유경 ( Yukyeong Song ) , 홍수민 ( Sumin Hong ) , 박찬실 ( Chansil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20] 제36권 제3호, 589~617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전통적인 교수체제설계 모형의 대안적 방법으로 등장한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모형(Rapid Prototyping to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RPISD)의 사용성을 검토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RPISD 모형을 적용하여 A사 아카데미의 마케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면서 진행된 사항을 회의록, 보고서, 성찰일지 등의 문서 형태로 기록하고 각 단계에서 RPISD 모형이 잘 적용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성찰적으로 검토하였다. RPISD 모형의 여러 강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를 통해 래피드 프로토타입 개발 방법론의 세 가지 개선 방향이 도출되었다. 첫째, 본격적으로 기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 앞서 수행분석과 차이분석을...
TAG Rapid Prototyping to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RPISD, model,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Model use research, 교수체제설계를 위한 래피드 프로토타입, RPISD, 모형, 교수체제설계, 설계․개발연구, 모형사용연구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