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임분동태 및 환경인자의 상관성
김지동 ( Ji-dong Kim ) , 임종환 ( Jong-hwan Im ) , 윤충원 ( Chung-weon Yu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21~22페이지(총2페이지)
임분의 변동과 구조에 관한 관찰연구는 지역 또는 경관 규모에서 식생의 수직적 변화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내륙에 위치하는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을 대상으로 환경변화, 서식지 축소 등으로 멸종위기 위협을 받는 것으로 알려진 구상나무를 중점 대상으로 하였다. 이 연구의 ① 첫 번째 목적은 지리산 아고산대 침엽수림의 구조 변화 관찰. ② 두 번째 조사지의 침엽수종과 활엽수종 개체목 밀도, 고사 개체 밀도, 그리고 구상나무 치수 밀도의 변동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다. 치수의 연도별 변동 패턴은 masting 해를 파악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③ 세 번째 침엽수종 고사개체 밀도와 환경요인(해발고도, 경사도, 암석노출도, 사면 방위, 수고, 흉고단면적, 수관열림도, 종풍부도) 간에 상관관계를 검정하고자 한다. ④ 구상나무 치...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침입외래식물 특성 연구
차두원 ( Doo-won Cha ) , 윤다움 ( Da-um Yu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23(총1페이지)
침입외래식물은 비의도적인 경로를 통해 국내에 유입된 외래식물로 인간의 관리 안에서 자라는 식물이 아닌 자연지역에 출현하여 자생식물의 생육지를 점유하는 식물이다. 국내에 유입된 침입외래식물은 전체 375분류군으로 정리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의 생육 환경은 정주지 주변, 도로변, 절개지, 건설부지, 매립지, 산림 주연부, 도시하천 등 인간 간섭이 잦은 교란 지역에서 주로 출현한다. 특히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는 각종 도시개발과 인구 밀집, 열섬, 녹지 및 수변지역 훼손 등 도시 환경문제로 인해 침입외래식물의 신규 종 출현 가능성과 확산 우려가 높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 개발, 이용객 증가 등 인위적 훼손 요인에 노출된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17개소를 대상으로 침입외래식물의 특성을 분석하여 향후 생태적 보전·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국립공원 탐방객의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인식특성에 관한 연구
장진 ( Jin Jang ) , 김태근 ( Tae-geun Kim ) , 심규원 ( Kyu-won S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24~25페이지(총2페이지)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객을 대상으로 국립공원이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인식특성을 파악하여 향후 공원관리를 위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및 관련 정책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방법은 최근 1년 내에 국립공원을 방문한 만19세 이상 남·여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기간은 ‘20년 11월 24일부터 12월 01일까지 8일간 조사하였고, 설문내용은 응답자 일반사항(성별, 연령대, 거주지 등)과 국립공원의 생태계서비스 용어의 인지도, 생태계서비스 항목별(국립공원의 공급서비스, 조절서비스, 문화서비스, 지지서비스) 중요도와 만족도 등에 대해 질문하였다. 생태계서비스 항목은 2019년에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선정한 국립 공원 생태계서비스 평가 항목을 응답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
딥러닝 기반의 객체 검출 알고리즘을 활용한 야생동물 객체인식 기초 연구 -국립공원 생태통로 무인센서카메라 영상을 중심으로-
김미리 ( Mi-ri Kim ) , 허학영 ( Hag-young Heo ) , 유병혁 ( Byung-hyuk Yu ) , 전세근 ( Se-kun Jeon ) , 이임평 ( Im-pyeong Lee ) , 함상우 ( Sang-woo Ham ) , 송아람 ( Ah-ram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26(총1페이지)
국립공원공단은 무인센서카메라(Camera-trap)를 통하여 야생동물 데이터가 수집되면 직원이 육안 판독하는 방식의 야생동물 현황 모니터링 체계를 운용하고 있다. 국립공원 내 생물종 감지 카메라는 2020년 기준 322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중국립공원 생태통로 모니터링 무인센서카메라는 73대가 설치·운용 중에 있다. 그러나 현행 야생동물 모니터링 조사방법은 직원 육안판독으로 장시간이 소요되며, 조사품질의 일관성 유지가 어려운 한계가 존재한다. 최근 딥러닝 기술은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 분야에서 탁월한 성능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딥러닝 알고리즘 중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은 객체 분류 및 탐지 기능에서 정확성 및 신속성을 인정받고 있다(이소영 등, 2019). 이러한 단순...
한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김지해 ( Ji-hae Kim ) , 강현미 ( Hyun-mi Kang ) , 박석곤 ( Seok-g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27~28페이지(총2페이지)
한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북정맥의 조건과 인위적 영향 등을 고려해 광덕산, 청계산, 죽엽산3곳을 중점조사지로 선정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잣나무림Ⅰ, 잣나무림Ⅱ, 신갈나무군락Ⅰ, 신갈나무군락Ⅱ,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Ⅰ,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Ⅱ, 잣나무림Ⅲ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잣나무림Ⅰ(군락 Ⅰ)은 광덕산과 청계산지역에 출현하였으며, 잣나무 조림지로 아교목층에서는 자생종인 층층나무, 산뽕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높은 비율로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조림지에 하층 제거 등의 숲가꾸기가 실시되지 않아 아교목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출현하였다. 교목층에서 잣나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당분간 잣나무림의 현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생종으로의 수종갱신이 이루어질...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the Black-faced Spoonbill Platalea Minor in the Chilsan Archipelago, Korea
( Seok-ju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1(총1페이지)
한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북정맥의 조건과 인위적 영향 등을 고려해 광덕산, 청계산, 죽엽산3곳을 중점조사지로 선정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잣나무림Ⅰ, 잣나무림Ⅱ, 신갈나무군락Ⅰ, 신갈나무군락Ⅱ,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Ⅰ,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Ⅱ, 잣나무림Ⅲ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잣나무림Ⅰ(군락 Ⅰ)은 광덕산과 청계산지역에 출현하였으며, 잣나무 조림지로 아교목층에서는 자생종인 층층나무, 산뽕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높은 비율로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조림지에 하층 제거 등의 숲가꾸기가 실시되지 않아 아교목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출현하였다. 교목층에서 잣나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당분간 잣나무림의 현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생종으로의 수종갱신이 이루어질...
흰물떼새 새끼(Charadrius alexandrinus)의 음성 레파토리 분석: 연안지표종의 사례 연구
이동윤 ( Dong-yun Lee ) , 김우열 ( Woo-yuel Kim ) , 이주현 ( Ju-hyun Lee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2(총1페이지)
한북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한북정맥의 조건과 인위적 영향 등을 고려해 광덕산, 청계산, 죽엽산3곳을 중점조사지로 선정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잣나무림Ⅰ, 잣나무림Ⅱ, 신갈나무군락Ⅰ, 신갈나무군락Ⅱ, 소나무군락,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Ⅰ, 신갈나무-소나무군락Ⅱ, 잣나무림Ⅲ 등 8개로 유형화되었다. 잣나무림Ⅰ(군락 Ⅰ)은 광덕산과 청계산지역에 출현하였으며, 잣나무 조림지로 아교목층에서는 자생종인 층층나무, 산뽕나무, 고로쇠나무 등이 높은 비율로 출현하고 있는데 이는 조림지에 하층 제거 등의 숲가꾸기가 실시되지 않아 아교목층에 다양한 자생수종이 출현하였다. 교목층에서 잣나무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당분간 잣나무림의 현 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생종으로의 수종갱신이 이루어질...
한강하구 장항습지 하천숲의 군집특성
나미연 ( Mi-yeon Na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3~34페이지(총2페이지)
장항습지는 강둑이 없는 자연형 기수역에 속하며,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수변 습지이다. 한강과 임진강과 합류하여 서해로 유입되는 지점부터 장항습지까지 한강하구에 속하며 일부지역은 1953년 비무장지대(DMZ)로 설정되고, 장항습지는 50여년간 군사시설보호지역으로 지정되어 민간인 출입이 통제되었다. 습지 보전 상태가 양호하고, 하천을 따라 길게 형성된 버드나무 군락은 철새와 멸종위기종의 서식처가 되고 있다. 최근 고양시 장항습지 발전전략 수립연구에서 수변상 육상화를 방지하고 버드나무군락의 생물다양성과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습지의 물흐름에 대한 복원의 필요성을 제기되었으나, 육화 현황과 식생에 대한 선행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한강하구 퇴적작용에 의한 지형변화를 파악하고, 버드나무 군락의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육화 진행 현황과 원인을...
노거수 보전을 위한 국제적 동향
이승준 ( Seung-joon Le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5~36페이지(총2페이지)
노거수는 세계적으로 생태계의 안정화에 많은 역할을 하고, 인류에게도 문화, 예술, 종교의 대상이 되며 정서적 위안을 주는 등 많은 기능을 한다. 한국에서의 노거수는 역사와 전통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자연 자산으로 선조들이 남긴 귀중한 유산인 동시에 자연과 지역의 문화가 조화를 이룬 민족의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노거수는 수령이 많아서 다른 생물자원보다 대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주변의 환경 변화에 민감해서 20세기 이래로 전 세계에서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다. 이에 세계 여러 지역에서는 노거수의 생태적, 사회·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올바른 보전 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학문적 연구와 사회적 운동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 사례를 참고하여 노거수의 생태·문화적 가치와 보전 현황을 조사하고 노거수 보전을 위한 국제적 동향을 파악하고...
생물음향 측정기법을 이용한 북방산개구리 정밀 페놀로지 관측 연구
김윤재 ( Yoon-jae Kim ) , 최대훈 ( Dae-hun Choi ) , 박태훈 ( Tae-hoon Park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37(총1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변화지표종 북방산개구리의 번식울음 발생현황을 정밀관측하여 대상지별 발생시기, 발생기간, 일주기패턴, 번식울음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중부지역 도심지와 산지지역으로 구분하였고, 도심지역은 서울시 남산 천일약수터 습지(170m)와 북한산 진관 동습지(44m)를 산지지역은 소백산 죽령습지(550m), 월악산 지릅재습지(405m)를 선정하였다. 번식울음 분석기간은 2019년 2월부터 5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2년간이었다. 번식 울음 녹음은 각 연구대상지에 생물음향 측정장비(Songmeter SM4)를 설치하여 매시간당 1분씩 WAV 포맷(44,100Hz)으로 녹음하였다. 온도와 습도는 미기상측정장비(testo 174H)를 백엽상에 설치하여 매시간당 1회씩 기록하였다. 그 외 기후 정보는 기상청의 기상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