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AND 간행물명 : 통합교육과정연구26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학교 ‘학교교과목’의 통합적 성격 탐색
이윤미 ( Yunmi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81~10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단위학교 차원에서 개발한 ‘학교교과목’을 분석하여 그 성격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A초등학교의 학교교과목 실러버스, 학교교육과정, 학교교과목 연구물 2편을 분석하여 이 학교가 만든 학교교과목의 성격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A초등학교에서 개발한 학교교과목은 가치와 목표에 기반을 둔 연계적 통합, 내용의 점진적 위계화를 이루어 내는 수직적 통합, 성취기준을 도구로 사용하는 탈학문적 통합의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초등학교 3-6학년에서의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공식화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점, 둘째, 학생의 삶과 경험을 연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AG 학교교과목, 통합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교사교육과정, school subject, integrated curriculum, school-focussed curriculum, teacher curriculum
교실수업 기반의 유아영재 통합교육모형 개발
태진미 ( Jinmi Ta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107~13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일반교실에서 유아영재 통합교육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절차 및 과정으로서의 통합교육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유아영재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초안을 도출하였다. 둘째, 수업설계원리를 숙지한 교수자가 유아영재 통합수업을 실행하며 학습자의 반응을 관찰하고 외부/내부 평가자의 검토(형성평가) 및 전문가 자문(피드백)을 실시하여 유아영재 통합교육모형을 완성하였다. 이러한 수업설계원리는 유아 교수자들에게 효과적인 통합교육의 실현을 위해 무엇이 준비되고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하는지에 관한 실천적 지침과 구체적인 과정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통합교육모형은 추후 폭넓은 현장적용을 시행하며 유아영재 및 일반유아에게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과정을 통해 정교화 할 ...
TAG 유아영재, 통합교육모형, 유아기관 영재교육, 개별화 교육, 차별화 수업, gifted children, inclusive education model, gifted education in kindergarten, individual education, differentiated class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수정 보완 의견 경향성 분석
이인혜 ( Inhye Lee ) ,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3호, 133~153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서를 학교에 보급 한 후,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동안 수집한 총 758건의 교과서 수정 보완 의견을 종합하여, 출처별, 이유별, 반영여부별, 주제책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출처별로는 국가·사회 요구(45건, 5.9%)나 민원(40건, 5.3%)에 비해서 모니터링단(673건, 88.8%)의 의견 비중이 훨씬 높았다. 둘째, 수정 이유별로는 사견(525건, 69.3%)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셋째, 전체 의견 중 102건(13.5%)이 실제로 교과서를 수정하는데 반영되었다. 넷째, 주제책 별로 볼 때, 「여름 1-1」에 대한 수정 보완 의견이 132건(17.4%)으로 가장 비중이 높았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교과서 수정·보완 의견의 특성 및 경향...
TAG 2015 개정 통합교과서, 교과서 개발, 교과서 수정 보완,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extbook development, textbook revision and supplementary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교과서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 분석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2호, 1~2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교과서에 관한 초등 1~2학년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하였다. 2015 개정 통합교과서는 주제 교과서, 단원 읽기, 공부 게시판 만들기, 구성 차시, 교과 역량 및 기능이라는 주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것의 적절성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현 교과서가 취하고 있는 의도나 형태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과반이 넘는 긍정적 평가를 보였으며, 다만 단원 읽기 및 교과 역량제시 방법에 대해서는 다른 항목보다 낮은 긍정적 평가를 보였다. 따라서 차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는 2015 개정 통합교과서의 기본 골자를 유지하면서도 단원 읽기와 교과 역량제시 면에서는 수정이 요구된다.
TAG 2015 개정 통합교과서, 주제 교과서, 구성 차시,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thematic textbooks, designing lesson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융합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융합인재교육 정의적 영역 및 환경문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오남 ( Onam Jeong ) , 유미현 ( Mihyun Yoo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2호, 31~5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융합인재교육 정의적 영역 및 환경문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실험집단은 경기도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2학년 15명이다. 실험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이며,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둘째,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융합인재교육 정의적 영역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셋째,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프로그램은 고등학생의 환경문제 인식을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환경기반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TAG 미세 플라스틱 문제해결 프로그램, 융합인재교육 정의적 영역,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환경문제 인식, Microplastics Problem Solving Program, STEAM Affective Domai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Environmental Problem Awareness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가능성 탐색
이형빈 ( Hyoungbin Lee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2호, 55~81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따른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범적인 혁신학교로 인정받고 있는 A중학교의 학교교육과정을 Posner(2004)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A중학교의 ‘평화교육과정’은 학교의 고유한 가치인 ‘평화’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표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문서가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공유하는 교육활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해야 할 주제들이 학년별로 위계화되어 있는 나선형 교육과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학년별 교육과정은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방식에 의해 체계화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고 발달단계에 적...
TAG 학교교육과정 개발,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 나선형 교육과정, 백워드 교육과정,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the community value of school, spiral curriculum, backward curriculum
학습자 주도적 맞춤 학습(Personalized Learning)의 교수·학습 흐름: 미국 공립 초등학교 사례
김선영 ( Seonyoung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2호, 83~103페이지(총21페이지)
미래 교육의 교수·학습 모델로 유력하게 제안되는 Personalized Learning에 대한 개괄적 연구가 최근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교육에 적용점을 찾을 만한 PL 교수·학습의 구체적 사례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정에 맞는 미래교육으로서의 PL 실행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기 위해 미국 도심의 한 평범한 교육구내 초등학교의 PL 적용 사례를 미시적으로 살펴보았다. 교육구의 보고서를 비롯하여 온라인 상에 공개되어 있는 관련 문서, 글, 사진, 동영상 등을 수집, 분석하여 교수·학습 과정을 재구성하였다. 그 일련의 과정은 순환적으로 다음과 같이 이뤄지고 있었다: 학습자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계획 - 구체적 학습 활동(playlist)을 구성 - 학습자가 활동을 선택하고 실행 - 학습 활동을 ...
TAG Personalized Learning, 교수·학습, 미래 교육, Teaching and learning, Future education
교육과정 연구의 판도와 대립의 양상
박채형 ( Chaehyeong Park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2호, 105~125페이지(총21페이지)
교육과정의 학문적 역사는 19세기에 전개된 교육과정의 선구적 논의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의 그 논의가 고전적 대립으로 불리는 이론적 지식과 실제적 지식의 대립으로 압축한다면, 교육과정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이들 두 가지 지식에 뿌리를 두고 이론적 접근과 실제적 접근으로 뻗어나갔다. 교육과정의 학문적 무대에는 이론의 진영과 실제의 진영이 연출하는 이러한 거시적 대립 이외에도 각 진영의 전후세대가 연출하는 미시적 대립도 존재한다. 교육과정 연구에 삼중으로 엮여있는 이러한 이론과 실제의 대립은 교과가 겨냥하는 이상적인 마음과 삶의 궁극적 기준으로 존중되던 실재를 정당하게 존중하지 않는 데에서 비롯된 불행한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카슐리스에 의하여 부각되기 시작한 메타프락시스의 논리는 교육과정 연구가 이론과 실제의 대립을 유발하는 그러한 이유와 더불어 그것...
TAG 교육과정 연구, 이론적 접근, 실제적 접근, 이론과 실제의 대립, 메타프락시스, curriculum studies, theoretical approach, practical approach, conflict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metapraxis
학교학습 모델로서 Personalized Learning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1호, 1~21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PL의 등장 과정과 ‘School of One’의 Teach to one: Math(TTO: math) 사례를 통해서 학교학습 모델로서 PL의 특징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PL은 학습을 개인에게 맞추려는 과정에서, 평가를 통해서 학생의 학습 진도 확인 과정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기계 및 기술의 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등장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TTO: math로 본 PL은 포털을 매개로, 제공자는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교에서 교사는 이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학생의 학습을 관리하고, 학생은 자기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특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학습 모델로서 PL의 특성을 4가지로, 첫째, 환경 측면에서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하며, 둘째 학생 측면에서 학생...
TAG PL, 학교 학습 모델, 미래 교육, Personalized Learning, model of schooling, future school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교과 구성 차시 개발 가능성 탐색
김현규 ( Hyunkyu Kim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통합교육과정연구 [2020] 제14권 제1호, 23~44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구성 차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활용과제를 구성차시 개발 활용과제로 전환하였다. 그리고 이를 반영하여 구성 차시를 개발하는 세 유 형의 교사 중 표준적인 수업을 하는 교사를 위해 부분의 스토리를 활용하여 차시 수업을 개발하는 사례와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수업을 하는 교사를 위해 전체의 스토리를 활용하여 개별 구성 차시를 통합한 차시를 개발하는 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연구가 차시 수준의 수업 개발만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이 예시들은 통합교과 교과서 추구하는 다양한 교육과정 실행 관점을 갖고 있는 교사들의 요구를 충족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사례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AG 통합교과, 구성 차시,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integrated subjects, blank lesson, transmedia storytell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