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70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예비교사의 과학의 본성 지도를 위한 과학의 미학적 모델 측정 방안
권성기 ( Sunggi Kwon ) , 남일균 ( Ilkyun Na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197~204페이지(총8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2차원 미학적 모델의 적합성과 유용성을 찾기 위하여 과학자들이 아름답게 생각하는 10가지 과학 실험들을 과학의 미학적 공간에 표상하였고 동시에 10가지 과학 실험을 바탕으로 과학 실험의 그림을 함께 제시하는 리커트 척도의 측정 도구를 개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과학의 미학적 모델을 기반으로 과학의 본성을 지도하는 방안과 그 방안의 효과 측정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제안하는 바이다.
TAG nature of science, aesthetic model of science, assessmen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cience, 과학의 본성, 과학의 미학적 모델, 과학의 미학적 경험 측정 도구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은주 ( Eunju Jeong ) , 손정우 ( Jeongwoo S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205~213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에서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S시의 초등학교 5학년 3개 학급을 실험집단, 3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하였고, 실험집단은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을 하였다. 수업 후 검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둘째,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협력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과학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은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역량과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향...
TAG digital inquiry tools, scientific inquiry, scientific data,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디지털 탐구도구, 과학 탐구, 과학데이터, 협력적 문제해결력, 지식정보처리역량
의미 분석법에 의한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
송영욱 ( Yongwook S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214~224페이지(총11페이지)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은 물리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 하나이다. 공과대학 신입생은 고등학교 때에 다양한 학습 환경 조건에서 대학에 입학한다. 대학 물리교육을 위하여 공과대학 신입생의 특성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을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 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와 관심 여부를 조사하여, 공과대학 학생의 대학 물리 학습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연구 대상은 공과대학 1학년 공과 계열 286명, 정보기술 계열 242명, 건설환경 계열 136명 총 664명이다. 분석 내용은 공과대학 신입생의 성별과 고등학교 때 물리 이수여부에 따른 물리 이미지 및 관심 여부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첫째, 물리 이미지는 공과대학 신입생의 물리 이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고등학교 때 ...
TAG semantic analysis, interest, physics image, engineering college, 의미 분석법, 관심, 물리 이미지, 공과대학
일반물리학실험에 나타난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 분석
김희정 ( Hee Jung Kim ) , 최규리 ( Kyoulee Choi ) , 오윤정 ( Yoonjeong 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225~239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일반물리학실험 수업 중 일어나는 대학생의 반성적 사고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32명의 대학생들로 10개의 일반 물리학 실험 보고서와 함께 반성적 사고와 관련된 검사 문항을 서술하여 제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택형 문항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실험에서 대체로 반성적으로 사고한다고 스스로를 평가하였으며. 그 수준은 실천적 반성, 기술적 반성, 비판적 반성 순이었다. 또한 학생들은 실험과 관련된 지식 등은 능동적으로 받아들이지만 당일 실험을 통해 얻은 새로운 지식 및 경험을 이전의 것과 연결하거나 새로운 질문을 형성하는 데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학생들의 반성적 사고는 실험목표의 이해와 선지식과 관련된 실험, 쉽게 수용할 수 있는 과정의 실험일수록 상관관계가 높았다. 셋째, 개방형 문항의 분석을 통...
TAG Reflective thinking, Technical reflection, Practical reflection, Critical reflection, General physics experiment, 반성적 사고, 기술적 반성, 실천적 반성, 비판적 반성, 일반물리학실험
의료인문학 수업의 플립 러닝 적용 사례 연구: 수업설계와 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오희진 ( Heejin Oh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240~258페이지(총19페이지)
과학 기술의 발전은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을 조합한 플립 러닝(flipped-learning)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 방법을 가져 왔다. 플립 러닝은 오늘날 교육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혼합학습의 한 형태이다. 의학 교육과정에서 의료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및 학습 모형이 없었다. 이 연구는 의료 인문학 수업에 플립 러닝을 적용하기 위해 수업을 설계하고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설계-개발-실행-평가의 5 단계 분석으로 구성된 ADDIE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하였고, 의료인문학 도입의 목적과 의료인이 가져야 할 역량을 고려하여 수업을 재구성하고 학습자와 학습환경을 분석했다. 교수자는 강의 영상을 제작하여 수업 전과 후에 L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수업...
TAG medical humanities, flipped learning, medical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의료 인문학, 플립 러닝, 의학 교육, 수업설계
Effects of Collective Promotion on the Attainment of Goals of Basic Education in English-Speaking Primary Schools in Cameroon
( Ngemunang Agnes Ngale Lyonga ) , ( Nzjofou Vivian Foss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2호, 259~272페이지(총14페이지)
과학 기술의 발전은 온라인 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을 조합한 플립 러닝(flipped-learning)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수업 방법을 가져 왔다. 플립 러닝은 오늘날 교육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는 혼합학습의 한 형태이다. 의학 교육과정에서 의료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및 학습 모형이 없었다. 이 연구는 의료 인문학 수업에 플립 러닝을 적용하기 위해 수업을 설계하고 학습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수업은 설계-개발-실행-평가의 5 단계 분석으로 구성된 ADDIE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하였고, 의료인문학 도입의 목적과 의료인이 가져야 할 역량을 고려하여 수업을 재구성하고 학습자와 학습환경을 분석했다. 교수자는 강의 영상을 제작하여 수업 전과 후에 LM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수업...
TAG Collective promotion, Goals of basic education, Literacy skills, Numeracy skills, Essential life skills, Minimizing wastage in education, Educational policy analysis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인식: 글과 그림에서 드러나는 설명 유형을 중심으로
신윤주 ( Yoonjoo Shin ) , 안유민 ( Yumin Ah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1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 소재 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생 30명이 글과 그림으로 설명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글 설명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용어는 남중고도, 자전축, 공전 순으로 나타났으며, 글 설명보다 그림 설명에서 오개념이 많이 드러났다. 둘째, 글과 그림 설명을 종합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공전과 관련하여 자전축이 기울어져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진다거나, 지구의 공전 궤도 반지름 변화에 의해 계절 변화가 생긴다는 등 과학적 오류를 포함하는 설명 유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구의 자전과 관련하여 계절별 남중고도는 변화하나 태양이 뜨고 지는 위치는 변화하지 않는다는 등의 설명 유형도 나타났으며, 지구의 공전과...
TAG seasonal length of day and night,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 written explanation, drawn explanation, misconception, 계절별 낮과 밤의 길이, 초등 예비교사, 글 설명, 그림 설명, 오개념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 DP에 따른 물리학 교과서 비교 연구: ‘상대성 이론’ 단원을 중심으로
권문호 ( Munho Kwo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1호, 15~37페이지(총23페이지)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가해지는 학습 부담을 줄이기 위해 ‘학습량의 적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IB DP는 학습량이 많을 뿐 아니라 정량적인 계산을 필요로 하는 내용을 상당 부분 포함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국가에서 선택하고 있으며 IB를 선택하는 학교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과 IB DP의 물리학 교과서에서 다루는 ‘상대성 이론’ 단원을 중심으로 물리학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성취기준, 학습 요소, 수식을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수능 문항과 IB DP의 EA 평가 문항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와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AG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cience curriculum, International Baccalaureate(IB), Diploma programme(DP), physics, textbook,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교육과정, 국제 바칼로레아, 디플로마 과정, 물리학, 교과서
고등학교 물리 I ‘시공간과 우주’ 단원의 지필평가 문항과 교과서 목표와의 비교
양동혁 ( Donghyuk Yang ) , 윤은정 ( Eunjeong Yun ) , 박윤배 ( Yunebae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1호, 38~4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물리 I ‘시공간과 우주’ 단원의 지필평가 문항과 교과서 목표가 인지영역과 내용영역에서 어느 정도 유사한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었다. 9개의 고등학교에서 출제한 지필고사 문제지와 평가원에서 출제한 문항 중에서 물리 I의 첫번째 단원인 ‘시공간과 우주’에 해당하는 문항들을 분석하였다. 문항의 분석기준으로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영역들과 교과서에 진술된 목표들을 사용하여 살펴보기 위해 성취기준에 따라 내용영역을 11개로 분류하였고, 인지영역 수준은 지식, 이해, 적용의 틀로 각각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학교에서 출제된 문항에서는 적용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의 비율이 낮았으며, 내용영역간 분포에도 불균형이 나타났다. 비율차 지수를 통한 비교에서는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와 학교 출제 문항은 유사성이 매우 높았지만, 교과서 목표와 평가원...
TAG physics, test items, cognitive domain, textbooks, 물리학, 검사 문항, 인지 영역, 교과서
과학 관련 진로 및 진로교육에 대한 초등학생과 교사의 인식
이현이 ( Hyunyi Lee ) , 임희준 ( Heejun L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20] 제44권 제1호, 50~60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과학과 관련된 진로에 대한 인식과 초등 교사의 과학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196명과 교사 100명이었다. 분석 결과, 28.1%의 학생이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였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 인지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과학 관련 희망 비율이 높았다. 과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 경우 그 이유는 과학에 대해 관심이 없고 과학이 재미없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사회문화적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들에 대한 인식은 부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사의 경우 42%만이 과학 관련 진로교육을 실시하였으며, 진로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교사들은 과학 ...
TAG science-related career choice, science-related career education,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 teachers’ perception,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학 관련 진로 교육, 초등학생의 인식, 교사의 인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