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골절학회지23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퇴골 두 골절의 조기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정회정 ( Hoejeong Chung ) , 이진우 ( Jin-woo Lee ) , 이동우 ( Dong Woo Lee ) , 손훈상 ( Hoon-sang Soh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4호, 204~209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대퇴골 두 골절이 발생한 환자들 중 조기 합병증 발생군와 비발생군을 비교하여 대퇴골 두 골절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4년 1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두곳의 level-1 외상센터를 내원한 대퇴골 두 골절 환자들 중 1년 이상 추시한 33명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기 합병증을 골절 발생 후 1년 이내에 Thompson-Epstein 임상적 평가기준상 보통 혹은 불량이며 Kellgren-Lawrence 분류상 3등급 이상인 것으로 정의하고, 조기 합병증 발생군과 비발생군을 비교하였다. 통계적으로 명목형 변수는 Fisher’s exact test, 연속형 변수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조기 합병증 발생군은 총 9명(27.3%...
TAG Fracture, Femur head, Hip dislocation, Pipkin classification, Prognosis, 골절, 대퇴골 두, 고관절 탈구, Pipkin 분류, 예후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125도와 130도의 각도를 가진 제2형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한 수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
임수재 ( Soo Jae Yim ) , 박용복 ( Yong Bok Park ) , 김현권 ( Hyun Kwon Kim ) , 박신형 ( Sin Hyung Park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4호, 210~216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대퇴골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125도, 130도의 제2형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PFNA-II)을 이용한 수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퇴골 전자간 골절로 PFNA-II를 이용한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 65예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중 30예는 125도 PFNA-II를 사용하였고, 35예는 130도 PFNA-II를 사용하였다. 수술 후 대퇴부 동통 외 임상적 점수를 조사하였고 삽입물의 위치 및 정복 정도, 추가적으로 대전자 끝에서 나선형 칼날 삽입구까지의 거리, vastus ridge 끝에서 나선형 칼날 삽입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대전자 끝에서 나선형 칼날 삽입구까지의 거리는 125도 PFNA-II 집단에서는 52.60±3.53 mm였고, 130도 PFNA-II 집...
TAG Femur intertrochanter fracture, Proximal anti-rotation femoral nail, Lateral thigh pain, 대퇴골 전자간 골절, 항회전 대퇴 골수정, 외측 대퇴부 통증
견관절 탈구 이후 발생한 액와 동맥 손상 환자에서 자가 확장 스텐트를 이용한 치료 - 증례 보고 -
오행진 ( Haengjin Ohe ) , 황대현 ( Daehyun Hwang ) , 박인근 ( Inkeun Park ) , 이민기 ( Minki Lee ) , 이준구 ( Jun-ku Lee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4호, 217~221페이지(총5페이지)
견관절 탈구는 가장 흔한 외상성 탈구 중 하나이며, 탈구와 동반된 주요 혈관 손상은 드물게 보고된다. 이 증례 보고의 목적은 단순 견관절 탈구 이후 발생한 액와 동맥의 외상성 파열에 있어서 자가 확장 스텐트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견관절 탈구 정복 이후 상완신경총 손상과 진행성 혈관 손상의 징후를 보여, 혈관 조영술에서 주요 혈관 손상을 감지하고 자가 확장 스텐트를 삽입하였다. 즉각적인 진단과 중재를 통한 저혈량 쇼크 또는 사망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피했고, 궁극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TAG Axillary artery, Shoulder dislocation, Brachial plexus neuropathy, Stent, Angiography, 액와 동맥, 견관절 탈구, 상완 신경총 손상, 스텐트, 혈관 조영술
원위 경골 골절의 단계적 수술에서 새로운 Box-Frame 외고정기와 기존의 Delta-Frame 외고정기의 비교
윤용철 ( Yong-cheol Yoon ) , 신민규 ( Minkyu Shin ) , 오창욱 ( Chang-wug Oh ) , 오종건 ( Jong-keon Oh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25~133페이지(총9페이지)
목적: 심한 연부조직 부종 또는 관절 내 골절이 있는 원위 경골 골절은 외고정기를 사용하여 단계적 수술로 치료한다. 기존의 고정장치 형태로는 인대 신연을 유지한 채 최종 수술을 하기가 어려웠다. 이 연구는 새로운 ‘Box-frame’ 형태의 외고정기를 소개하고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3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원위 경골 골절로 진단받아 단계적 수술을 받은 뒤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이 가능했던 45명의 환자(남성 32명, 여성 13명)를 대상으로, box-frame 외고정기로 치료한 군(A군)과 기존의 deltaframe 외고정기로 치료한 군(B군)으로 각각 나누어 최종 수술까지의 걸린 시간, 최종 수술 시 수술 소요시간, 방사선 노출시간, 골 유합 유무 및 소요기간, 수술 후 합병증, AOFAS족관절-...
TAG Distal tibia fracture, Staged operation, External fixator, Box-frame, 원위 경골 골절, 단계적 수술, 외고정기, 박스 형태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Polished 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한 양극성 인공관절 치환술 후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 결과
권석현 ( Suc-hyun Kweon ) , 신창현 ( Chang-hyun Shin ) , 이영창 ( Yeong-chang Lee ) , 김민우 ( Min-woo Kim ) , 김태호 ( Tae-ho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34~141페이지(총8페이지)
목적: 고령의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polished 시멘트 대퇴 스템을 이용하여 양극성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추시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7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대퇴 전자간 골절로 진단 받은 환자에서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였던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80.5세였고 추시 평균은 30.5개월이었으며, 결과는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평가되었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100분(범위 90-120분), 평균 출혈량은 334 ml (범위 170-500 ml)였다. 마지막 추시에서 HHS 점수, VAS 및 WOMAC 지수는 각각 평균 82.2 (범위 76-90), 0.8 (범위 1-3), 36 (범위 30-40)이었다. 보행은 보행기를 이용하여 부분적 체중부하를 시...
TAG Femur, Intertrochanteric fracture, Hemiarthroplasty, Cemented femoral stem, 대퇴골, 대퇴 전자간 골절, 양극성 인공관절 치환술, 시멘트 대퇴 스템
경골 분절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과 최소침습 금속판 고정술 병행의 임상적 결과
이준영 ( Jun Young Lee ) , 박형석 ( Hyung Seok Park ) , 차동혁 ( Dong Hyuk Cha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42~147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경골 분절 골절에서 골수강 내 금속정(IM nailing) 및 최소침습 금속판 고정술(MIPO) 병행의 임상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2년 7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AO type 42 C2의 경골 분절 골절 32예 중 IM nailing 및 MIPO를 병행한 17예 중 추시 가능한 14예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방사선 사진 평가 및 술 후 임상적인 기능 평가를 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26주였다. 수상 시 오염이 있던 1예에서의 감염을 제외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평균 내반 2도, 평균 전방 각변형 3도, 건측 경골의 scanogram과 비교하여 길이 단축은 평균 5 mm로 측정되었다. Modified Rasmussen’s sy...
TAG Tibia segmental fracture, Intramedullary nailing, Minimal invasive plate osteosynthesis, 경골 분절 골절, 골수강내 금속정, 최소 침습적 금속판 술식
실리콘 링 지혈대 사용은 대퇴골 원위부 골절의 최소 침습적 잠김 금속판 고정술 시 출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가
박기봉 ( Ki-bong Park ) , 진홍기 ( Hong-ki Jin ) , 황일영 ( Il-yeong Hwang ) , 장성호 ( Sung-who Chang ) , 나성천 ( Sung-cheon Na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48~153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대퇴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최소 침습적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는 경우, 실리콘 링 지혈대의 사용이 혈색소 변화나 출혈량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대퇴골 원위부 골절로 최소 침습적 잠김 압박 금속판을 이용한 고정술을 받은 30명의 환자를 실리콘 링 지혈대(1군), 공기압 지혈대(2군), 지혈대 미사용(3군)으로 분류하였다. 나이, 성별, 수술 시간, 혈색소 수치, 수혈량, 술 전후 혈색소와 수혈량으로 보정된 출혈량, 실제 출혈량을 분석하였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각 군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세 군의 나이, 성별, 수술 시간, 술 전 혈색소, 술 전후 혈색소 차이, 수혈량, 술 전후 혈색소와 수혈량으로 보정된 출혈량은 차이가 없었다. 술 중 출혈량은 3...
TAG Femoral fractures, Internal fracture fixation, Tourniquets, Hemorrhage, Hemoglobins, 대퇴골 골절, 내고정술, 지혈대, 출혈, 혈색소
양측에서 동시에 발생한 대퇴골 경부 및 간부의 골절의 치료 경험 - 증례 보고 -
최대현 ( Daehyun Choe ) , 이재호 ( Jae-ho Lee ) , 박기철 ( Ki-chul Park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54~158페이지(총5페이지)
동측의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는 대퇴골 간부 골절의 2%-9%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는 비교적 드물지 않은 골절이다. 하지만 이러한 손상이 양측에 한 번에 발생하는 것은 매우 드물다. 본 보고에서는 양측에서 발생한 대퇴골 간부와 경부의 동시 골절 환자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교통사고로 동반된 간 열상으로 인한 복강 내 출혈, 양하지 경골 및 비골의 개방성 골절 등으로 손상통제수술(damage control surgery)을 계획하고 양측 하지에 대해 임시적 외고정 장치를 우선 장착하였다. 환자의 전신상태가 호전된 후 외고정 장치를 제거하고 양측 대퇴골 간부 골절과 경부 골절에 대해 골수내정 삽입술(A2FN; DePuy Synthes)을 시행하였고, 대퇴 골두 무혈증 등의 합병증 없이 골유합을 확인할 수 있었다. ...
TAG Femur, Femoral neck fracture, Femoral shaft fracture, Intramedullary nailing, Damage control surgery, 대퇴골, 대퇴골 간부 골절, 대퇴골 경부 골절, 골수내정 삽입술, 손상통제수술
전외측으로 만곡된 대퇴골에 삽입된 압박 금속판 주변 골절에 대한 랑데뷰 수술법 - 증례 보고 -
조홍만 ( Hong Man Cho ) , 박지연 ( Jiyeon Park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59~163페이지(총5페이지)
84세 여자 환자가 대퇴골 전자간 골절이 발생하여 내원 하였다. 과거력상 동측 대퇴골 간부 비정형 골절로 압박 금속판과 유연성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받아 내고정물이 잔존하는 상태로, 대퇴골은 전외측으로 만곡된 소견을 보였다. 기존에 삽입된 압박 금속판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근위 대퇴 골수정을 이용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는데, 골수정과 압박 금속판을 함께 고정하는 랑데뷰 방법으로 원위 나사를 고정하고, 골절을 견인한 후 대퇴 골두 나사를 삽입하였다. 수술 후 16주에 골절은 완전 유합되었고, 골절 전과 비교하여 보행 능력의 감소는 없었다. 전외측으로 만곡된 대퇴골에 비정형 골절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 받은 고령의 환자에게 랑데뷰 수술법은 고정된 압박 금속판 주변으로 전자간 골절이 발생한 경우 고려해 볼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생각...
TAG Femur, Trochanteric fractures, Periprosthetic fracture, Rendezvous technique, 대퇴골, 전자간 골절, 내고정물 주변 골절, 랑데뷰 수술법
관절 연골 재생의 최신 지견
여의동 ( Eui Dong Yeo ) , 조휘제 ( Whi Je Cho ) , 이영구 ( Young Koo Lee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20] 제33권 제3호, 164~170페이지(총7페이지)
관절 연골 결손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자주 겪는다. 대부분의 임상 및 연구는 골관절염 혹은 외상과 관련하여 손상된 연골의 재생에 관심을 둔다. 이 논문은 연골 치료를 위한 최근의 임상 및 연구적 접근 방법과 임상에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한다. 조직 공학 기술은 임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해 살아있는 연골 세포를 함유한 하이알린 연골로 연골 결손 부위를 채우는 것이다. 연골 조직 공학은 세포 공급원, 생체 물질 및 막, 성장 자극제를 포함한다. 조직 공학은 자가 연골 세포 이식 또는 유사한 기술에 의해 임상에 적용된다. 기초 과학은 연골병변의 정형외과 치료를 개선했지만, 조직 공학 기술이 원래의 관절 역학 혹은 임상 증상 개선에 우수하다는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TAG Cartilage, Tissue engineering, Chondrocyte, 연골, 조직 공학, 연골 세포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