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보성 차 농업의 지속가능한 보전에 대한 연구
서세진 ( Seo Se-jin ) , 진유라 , 유원희 ( You Won-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64~74페이지(총11페이지)
고품질의 차 생산과 풍요로운 생물다양성의 보전으로 환경과 공생하는 보성 차농업 시스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8년 국가중요농업유산으로 지정받았으나 농업인구의 고령화로 농업시스템의 보전과 전승이 위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성 차농업시스템의보전과 차세대 전승 방안의 하나로 세계중요농업유산시스템의 등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세계중요농업유산과 국가중요농업유산, 보성 차농업 시스템을 검토하고, 2020년 3월에서 5월까지 석 달간 전라남도 보성군 차 재배 농민을 대상으로 방문과 전화 인터뷰를통한 실태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통하여 보성 차 농업인구의 초고령화 실태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보성 차농업인의 평균연령은69.4세였으며, 2세대 이상 전승 가구는 36%(54명)에 불과하였고, 79.4%(119명)의 농가의 차 수입 의존도가 90% 이상...
TAG Aging Society, Boseong Tea Agriculture System,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Korea’s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KIAHS, 사회, 국가중요농업유산, 보성 차 농업시스템, 세계중요농업유산
흥원(興園)의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 - 묘(墓)에서 원(園)으로 -
백종철 ( Paek Chong Ch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75~82페이지(총8페이지)
흥선대원왕(興宣大院王) 이하응은 고종의 아버지로 1863년 12월에 대원군으로 봉작(封爵)되었다. 1898년 2월 2일 흥선대원군이 훙서(薨逝)하면서 평소 즐겨 지내던 마포구 공덕동의 아소당에 예장(禮葬)하게 되었고, 1907년 8월 24일 대원왕으로 추봉되었다. 대원왕으로 추봉된 이후 아소당 묘소가 파주 대덕동으로 천봉되면서 묘소가 원(園)으로 승격하게 되었다. 원으로 승격된 원침공간에는 원의 격에 맞는 시설물들이 조성되었는데, 이를 통해 흥원의 원과 묘의 원침 공간 특성을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묘와 원의 공간구성을 비교·분석하여 조선시대 원, 묘의 공간 구성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흥원천봉등록』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마포구 아소당에 위치한 흥선대원군의 묘소는 흥선대원군이 흥선대원왕으로 추봉되며 인조의 천봉 전...
TAG Heungwon, Joseon Royal Tombs, Traditional Landscape, Won and Myo, , , 과 묘, , 전통조경, 조선왕릉, 흥원, 興園
개항기 인천 근대정원의 조영특성에 관한 기초연구 - 리키다케 별장을 중심으로 -
진혜영 ( Jin Hye-young ) ,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3호, 83~9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근대정원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인천 제물포의 조계지 형성 및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이곳에 조성된 근대정원의 조영 내용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천 조계지의 형성은 1876년 조일수호조규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되었다. 과거 제물포는 황량한 어촌이었으나 1881년 개항 이후 일본 조계지와 청국전관조계 및 각국공동조계가 형성되었다. 이후 일본은 남쪽 갯벌지대를 매립하여 조계지를 확장했고, 조선지계(현신흥동 일대)로 진출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전관조계를 중심으로 일본의 근대도시경관을 이식하였으며, 조계지의 중심가 주변지역에 근대정원들이 분포하고 있다. 둘째, 리키다케 별장을 대상으로 정원의 조성과정을 살펴본 결과, 일본인 리키다케가 인천의 대지주였던 우리탕의 과수원 부지를 매입하여 정원을 조성하였다. 리키다케의 ...
TAG Japanese Colonial, Settlement, Stone Lantern, Tea Garden Style, Yulmok Children, s Library, 다정, 석등, 율목어린이도서관, 일제강점기, 조계지
중국 역대 북경팔경(北京八景)의 경관인식 변화에 대한 고찰
권지영 ( Kwon Ji-young ) , 김성균 ( Kim Sung-ky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북경팔경과 관련된 시문과 서화를 비롯하여 고지도·고문헌 등을 분석하여 북경팔경의 시대별 변천과정과 경관인식변화, 북경팔경의 물리적 경관요소 및 구조분석과 국가경영과의 관계, 마지막으로 북경팔경의 장소화과정을 고찰하였다. 북경팔경의 경점은 도성 밖과 안으로 각각 네 곳씩 분포하고 있으며, 도성 밖은 모두 황제의 휴식처이자 북경의 산수경관의 중심인 서산 지역에 집중되었고, 도성 안의 경점은 궁궐의 황제원림에 두 곳, 성곽 주변의 마을 두 곳에 분포하고 있다. 즉 북경팔경은 초기 조성될 때부터 황실, 황제, 황궁과 밀접하게 관련된 장소로 선정하였으며, 금 이후 원·명·청대를 거치면서 황제를 비롯한 수많은 학자들이 국가경영에 활용함으로써 점점 도성팔경으로서 성격이 짙어졌다. 도성 내 두 곳은 신선과 황제를 동격화하여 칭송하였으며, 도성 밖 두 곳은 도성주...
TAG Beijing-Palgyeong, Capital City, Landscape Structure, Palgyeong, Yanshan Eight Scenic Views, 경관구조, 도성팔경, 북경팔경, 연산팔경, 팔경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를 통해 본 평양성의 인문경관 특성
김미정 ( Kim Mi-jung ) ,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14~30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후기 회화식 고지도가 제작 당시 선조들이 인지했던 장소명이 표기된 개념도라는 점에 착안하였다. 이에 평양성(平壤城)의 회화식 고지도 다섯 점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고도(古都), 상업 도시, 풍류 도시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평양성의 인문경관특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평양성의 역사적 정통성은 제례·종교시설이 대표하였는데, 국가의 시조와 관련된 ‘단군전(檀君殿)’과 ‘기자궁(箕子宮)’, 고구려 유적인 ‘문무정(文武井)’, 그리고 ‘사직단(社㮨壇)’, ‘평양강단(平壤江壇)’ 등 국가 제사를 지내던 곳, 교육과 제례 기능을 담당한 향교와 서원, 불교 사찰과 도교 시설들, ‘용신당(龍神堂)’, ‘산신당(山神堂)’, ‘제신단(諸神壇)’과 같은 민간신앙 공간이 포함되었다. 소중화(小中華) 의식과 기자 존숭 풍조로 평양성의 상징이 된 ...
TAG Giseong, 箕城, Humanistic Landscape Element, Pungnyu, Pyeongyangseongdo, 平壤城圖, 기성, 인문경관 요소, 풍류, 평양성도
선암사에서 발견되는 일본정원요소와 작정기법연구
홍광표 ( Hong Kwang-pyo ) , 김인혜 ( Kim In-hye ) , 이경복 ( Lee Kyong-bok ) , 이혁재 ( Lee Hyuk-ja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31~41페이지(총11페이지)
전라남도의 선암사는 통일신라말에 창건된 이래 오늘날까지 호남의 대표적인 사찰로서 그 법통을 이어가고 있으나, 거듭되는 변화와 발전과정 속에서 전통사찰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관적 정체성이 상당부분 훼손되었으며, 특히 일본양식이 도입되어 있어 경관의 원형상에 대한 회복이 시급한 상황이다. 실제로 선암사의 경우에는 한국전통사찰에서 나타나는 전통성있는 식재경관과는 상이하며, 정원요소들도 일본식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선암사의 원형경관이 변형된 원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해 이루어진 변화와 1976년도에 있었던 조경사업으로 인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경관적 변화를 파악하고, 일본식 정원요소와 작정기법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선암사의 경관적 정체성을 파악하는 것이 연구의 주 목적이다. 연구의 방...
TAG Curved pond, Evergreen tree, Masonry, Stairs, 계단, 곡지, 상록수, 석조, 석축
조선시대 사가(私家) 정원에서의 양학(養鶴) 사례
홍형순 ( Hong Hyoung-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42~59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 사가 정원에서 학을 기른 실제 사례를 살펴봄으로서 여기에 반영된 보편적 의미와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정원문화의 실체에 보다 가깝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조선 시대이며 내용적 범위는 사가(私家)에서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문헌 자료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에 탑재되어 있는 고전번역서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관련 연구자의 번역 자료도 추가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친, 사대부, 향촌 사족, 평민 등 다양한 신분의 인물이 학을 기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을 기른 인물 중에는 조선시대 정치와 학문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도 있으며 일부 경우에서는 평생에 걸쳐 처사의 삶으로 일관하며 학을 기른 인물도 있었...
TAG Cheosa, Recluse, 處士, Crane Taming, 馴鶴, Dooloomi, , Limpo, 林逋, Living in Seclusion, 隱居, 두루미, 순학, 은거, 隱居, 임포, 처사
둔덕리 이웅재고가(李雄宰古家)의 공간 및 경관 구성적 특성에 관한 연구
노재현 ( Rho Jae-hyun ) , 이정한 ( Lee Jung-h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60~76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전통정원의 가치 발굴과 재조명을 목적으로, 임실 이웅재고가의 공간적·시각적 배치 특성과 경관과 정원 구조를 검토하여 전통정원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를 부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가가 입지한 둔덕리 동촌마을은 배산임수의 전형적인 형국으로 3개로 모인 물줄기 북측에 전착후관한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단구대와 삼계석문의 경승을 갖는 동촌마을은 노적봉과 계관봉은 안산(案山)으로 한 ‘지네가 하늘을 나는 형국(飛天蜈蚣形)’의 길지로 이해된다. 이웅재고가는 16C 중반 춘성정 이담손에 의해 조영된 전북지역에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가이자 조선 왕실가문의 종가로 추정된다. 임진왜란 및 일제강점기 일본에 저항한 충정과 대문채의 효자정려 그리고 편액과 주련에 담긴 충효의 가풍은 물리적인 가옥의 가치를 부상시키는 요소가 되기에...
TAG Chunseongjeong Yi Dam-Son, Dongchon-Village, Main Quarters, Anchae, Men, s Quarters, Sarangchae, Planting Species, Pond Restoration, 동촌마을, 사랑채, 식재수종, 안채, 지당, 池塘, 복원, 춘성정, 春城正, 이담손, 李聃孫
우리나라 구곡시가에서 나타난 조경 식물종의 상징적 의미
오창송 ( Oh Chang-song ) , 박상욱 ( Park Sang-w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77~94페이지(총18페이지)
구곡시가는 구곡원림을 연구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특히 시가에서 출현하는 경물은 그 장소성과 원림의식을 표출하는 중요한 소재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인식 태도나 미적 형상화 과정을 탐구할 수 있는 식물 소재에 대하여 다수학문들은 소극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곡원림문화의 연구 소재를 확장하기 위해 구곡시가에 출현한 식물에 관한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발굴하고 그 맥락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나는 총 18구곡처 25개의 관련 시가를 수집하였고 총 20종의 식물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구곡 시가와 그 해설문을 R-program을 사용하여 수목의 의미를 도출하였고 상호텍스트성에 의한 수목의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20종의 식물은 신선계, 청빈, 향수, 군자의 품격, 진락, 절개, 강학, 태평성대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였다. 다수의 ...
TAG Arcadia, Intertextuality, Landscape Features, Taoism and Self-Taste, 경물 도학과 독락 무릉도원, 텍스트성
양동마을의 노거수 생육실태 분석
김영훈 ( Kim Yeong-hun ) , 덩베이지아 ( Deng Bei-jia ) , 유주한 ( You Ju-h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20] 제38권 제2호, 95~107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양동마을에 분포하는 노거수를 생육실태 및 분석하여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조사항목은 수목정보, 토양정보, 수목건강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양동마을 내 수목정보는 향나무, 왕버들, 능수버들, 팽나무, 느티나무, 주엽나무, 조각자나무로 총 7종 30주이며, 수고는 4.0~17.0m, 흉고직경은 0.51~1.34m로 17번 향나무가 가장 넓었다. 토양분석 결과로는 산도 pH4.1∼6.3, 경도 5∼48mm, 유기물함량 21.2∼29.1g/kg, 전기전도도 0.34∼1.76dS/m, 유효인산 79 .8∼451.6mg/kg, 치환성 칼륨 0.22∼1.71cmol+/kg, 치환성 칼슘 4.98∼7.44cmol+/kg, 치환성 마그네슘 0.67∼2.19cmol+/kg, 치환성 나트륨 0.19∼1.04c...
TAG Growth Conditions, Location Environment Protection, Old Tree, Tree Health Chart, 노거수, 생육실태, 수목건강도, 입지환경보호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