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7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정재 연구의 관점과 유연성을 확장한 귀중한 연구성과 : 손선숙 저, 『조선왕조 의궤 정재도의 무용기록』 (역락, 2019)
김영희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8권 231~235페이지(총5페이지)
한국 근대 무용언술의 탄생
김호연 ( Kim Hoyoe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7~30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 근대무용이 공연예술로 의미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언술 행위가 펼쳐지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근대는 서양 근대 문물의 수용과 자생적 근대 의식이 충돌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형성하는 시기이다. 특히 신문의 등장을 통해 대중의 사회참여 기회는 많아졌고, 개인의 생각을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근대적 의식도 싹트게 되었다. 이는 무용공연을 보고 감상을 적는 비평형식의 리뷰, 프리뷰, 무용이론 등이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근대 한국에서는 전문적인 무용비평은 형성되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다양한 관점에 따라 무용담론을 만들어 대중의 심미적 근대성을 높이고자 한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행위들로 주목할 수 있다.
TAG 무용비평, 리뷰, 근대무용, 언술, 미적 근대성, Dance criticisms, Reviews, Modern Korean dance, Discourse, Aesthetic modernity
춤곡 <바토(拔頭)>를 통해 본 『교쿤쇼(教訓抄)』의 문헌기록 양상에 관한 연구
박태규 ( Park Taequ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31~55페이지(총25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춤곡 <바토(抜頭)>를 중심으로 『교쿤쇼(教訓抄)』의 문헌기록 양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교쿤쇼』는 일본 악서(楽書)의 대표적인 고문헌으로, 후대에 저술된 악서들의 전형(典型)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바토>는 고대로부터 오늘날까지 전승되고 있는 춤곡 중 하나로, <바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문헌기록 양상은 다른 춤곡에도 대부분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교쿤쇼』와 <바토>는 일본 궁중 악무(楽舞)의 천년 역사를 이어온 하나의 실체로서, 이들에 관한 고찰은 일본 전통예능 연구의 기초이면서 동시에 중심임이 틀림없다. 춤곡 <바토>를 중심으로 『교쿤쇼』의 문헌기록 양상을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로 특징을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춤곡의 발생에서부터 일본으로의 전래 및 수용, 전승에 이르기까지 <바토>에 관한 종합적 이해가 가...
TAG 바토, 抜頭, 교쿤쇼, 教訓抄, 문헌기록, 부가쿠, 舞楽, 도가쿠, 唐楽, Batou, one of the dances to belong of the Togaku, Kyoukunshou, a musical book of gagaku, Documentary Records, Bugaku, Japanese court dance, Tougaku, style of gagaku based on Tang-era Chinese music and ancient Asia song and dance
중세시기 한국춤 시공간의 감응과 미학적 원리: 최한기의 감응기론을 중심으로
강주미 ( Kang Ju-mi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59~87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 후기 기철학자였던 혜강 최한기(崔漢綺, 1803-1879)의 감응기론(感應氣論)을 통해 중세시기의 한국춤 장소가 한국전통춤에 어떤 영향관계에 있었는지 살펴봄으로써 중세시기 한국춤 장소성의 미학적 감응원리를 고찰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고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삶의 연행 장소가 드러난 사료 추출을 하고, 최한기의 『신기통(神氣通)』과 『기학(氣學)』을 주 텍스트로 하면서 춤 시공간 논의의 이론적 토대를 삼고 인접 연구들을 참고하여 춤 시공간 논의의 이해를 확장한다. 고문헌 원문은 국사편찬위원회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그 외의 고문헌들이 있는 한국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 동양고전종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고 검색어는 ‘무(巫), 무(舞), 춤’으로 한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춤은 첫째, 전통사회 한국춤에서 시공간은 유기적으로 감응되고 있었다. 둘째...
TAG 한국춤미학, 최한기, 장소성, 감응, 신기, 소통, Aesthetics Korean traditional dance, Choi Han-gi, Placeness, Resonance, Singi, 神氣, primal energy, Communication
국립극장 극장레퍼토리 구축 사례 연구: 국립무용단 <춤, 춘향>, , <향연>의 구축 순환 구조를 중심으로
이주영 ( Lee Joo-young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89~109페이지(총21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국립극장 극장레퍼토리 구축 사례를 국립무용단 세 작품, <춤, 춘향>, < Soul, 해바라기 >, <항연(饗宴)>을 통해 분석함에 있다. 연구방법인 ‘극장레퍼토리 구축 순환구조’를 통해 극장레퍼토리 구축 사례를 진단한다. 논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춤, 춘향>은 국가브랜드공연으로서 국립극장의 고유성, 상징성, 정체성 확립에 기여한다. 작품 시, 캐스팅 등 인적 변화 시도, 다양한 유형의 공연 시행을 통해 환류 기능을 충실히 수행했다. 국립무용단 스테디공연인 < Soul, 해바라기 >는 국립무용단 ‘다시 보고 싶은 공연 1위’라는 관객 평가가 정책적 측면에서 작동할 수 있는 동인이 된다. 높은 예술성과 객석점유율 등 정량적 지표 결과는 경영성을 충족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향연>은 전통춤 현대적 수용의 전형성을 보...
TAG 레퍼토리, 극장레퍼토리, 정책 결정, 제작 환경, 환류, Repertoire, Theater Repertoire, Policy decision, Producing environment, Feedback system
정재 오양선에 있어서 중국의 지방문화적 요소
임장혁 ( Im Jang Hyuk ) , 염희재 ( Yeom Hee Ja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111~136페이지(총26페이지)
오양선에 대한 연구는 사료를 바탕으로 한 오양선의 변천 양상과, 연출구성, 서사 분석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에 안무에 있어 상징 또는 은유적 표현에 관한 논의는 거의 논의되지 않았다. 오양선은 중국 월(越)문화를 배경으로 한 설화이고 이를 무용으로 표현한 작품이다. 에버하르트(W. Eberhart)에 의하면 월문화는 중국고대 도작농경을 하던 타이문화와 산간 화전농경을 하던 야오문화와 복합하여 발전한 지방문화라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문화적 시각에서 오양설화의 모티프와 문화요소를 중심으로 오양선의 의미를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오양선 설화는 다섯 마리의 양이 성스러운 세계로부터 곡물을 인간세계에 전하여 풍년과 안녕을 이룰 수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이러한 설화는 주몽이 곡모신인 유화로부터 받은 곡물의 종자로 고구려를 건국하였다는 신화와도...
TAG 월문화, 곡령신앙, 곡모, 죽간, 족도, 우보, 왕권, Weol, , Culture, Gokryeong, 穀靈, corn spirit, Gokmo, 穀母M, mother of grain, Jukgan, 竹竿, bamboo pole, Jokdo, 足蹈, movement, Ubo, 禹步, walking movement, Kingship
「무의」를 통한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 연구: 『정재무도홀기』와 비교를 중심으로
위송이 ( We Song-yi ) , 윤명화 ( Yun Myunghw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137~166페이지(총30페이지)
궁중무용에 있어 일제강점기는 침체기면서도 조선시대와 현시대를 연결해 주는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에 이왕직아악부는 미약하지만 궁중의 음악과 무용을 계승한 기관이었다. 그러나 이왕직아악부의 궁중무용에 관한 공식적인 문헌은 전해지지 않고 간단히 작성한 기록물이나 개인 기록물들이 남아있을 뿐이다. 자료를 통해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가 여러 공연에서 추어지고, 궁중무용에서 중요한 작품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장생보연지무>를 성경린 「무의」와 계사년 『정재무도홀기』를 비교 연구하여 일제강점기에 추어진 <장생보연지무>의 특징을 분석하고, 「무의」의 사료적 가치와 무용사적 의의를 연구하였다. 「무의」와 『정재무도홀기』 비교를 통해 알아본 일제강점기 <장생보연지무>의 특징은 첫째, 무원의 복식은 오방색이며, 둘째, 창사는 간소화와 격하된 표현을 하였다. 셋...
TAG 궁중무용, 장생보연지무, 정재무도홀기, 이왕직아악부, 성경린, 무의, Court dance, Jangsaengboyeonjimu, 長生寶宴之舞, Dance of longevity, Jeongjaemudoholgi, 呈才舞蹈笏記, Scroll document of court dances, Yiwangjikaakbu, 李王職雅樂部, the downgrated insitution of Jangakwon, Seong Gyeong-rin, Mu-ui, 舞義, ritual of dance
흑두루미춤 창작 동기, 과정 및 공연에 관한 자전적 사례 탐구
전영국 ( Jun Youngcook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167~191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컴퓨터교육 분야의 교수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관점으로 탐구한 내용을 재해석하여 몸짓과 춤으로 창작하게 된 동기, 과정 및 공연 경험에 관한 자전적 사례를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201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주로 활동한 사진, 동영상, 메모, 대화 및 공연 팸플릿자료 등을 수집하여 인물사례의 일환으로 시간흐름표를 작성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예술기반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Artography를 사용하여 흑두루미 창작춤 활동을 탐구하여 묘사하였다. 흑두루미 창작춤 공연을 하게 된 자전적 경험에서 드러나는 고유한 특징과 의미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측면을 포착하였다. 첫째, 나의 자전적 사례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서서히 가지면서 흑두루미에 대하여 창의적인 몸짓과...
TAG 창작 동기, 생태적 접근, 흑두루미춤, 자전적 사례, 예술기반연구, 비전, Motivation for creative work, Hooded Crane Dancing, Autobiographical case, Arts-based research, Vision
몸과 움직임에 담긴 삶과 연속성의 원리 : 크리스틴 콜드웰(Christine Caldwell), 김정명, 신금옥, 황미정 옮김 『바디풀니스: 생명의 현존, 자신감, 깨어남을 위한 몸 수련』, 한울, 2020
국은미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7권 195~202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는 컴퓨터교육 분야의 교수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관점으로 탐구한 내용을 재해석하여 몸짓과 춤으로 창작하게 된 동기, 과정 및 공연 경험에 관한 자전적 사례를 다루고 있다. 연구자는 2017년부터 2018년 사이에 주로 활동한 사진, 동영상, 메모, 대화 및 공연 팸플릿자료 등을 수집하여 인물사례의 일환으로 시간흐름표를 작성하여 해석하였다. 또한 예술기반연구의 방법 중 하나인 Artography를 사용하여 흑두루미 창작춤 활동을 탐구하여 묘사하였다. 흑두루미 창작춤 공연을 하게 된 자전적 경험에서 드러나는 고유한 특징과 의미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측면을 포착하였다. 첫째, 나의 자전적 사례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순천만 흑두루미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서서히 가지면서 흑두루미에 대하여 창의적인 몸짓과...
국립무용원 건립이 지역 무용 활성화에 미칠 영향
심정민 ( Shim Jeong Mi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20] 제56권 7~28페이지(총22페이지)
현재 우리나라 무용계의 발전상은 심한 불균형을 보이고 있는데 상당 부분 서울과 지역 간의 양적, 질적 차이에 기인한다. 뿐만 아니라 가장 열정적이고 순수하게 예술혼을 불태워야 하는 무용가들이 복잡한 계파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오해와 불신을 초래하기도 한다. 서로 간의 이해와 존중이 부족한 상 태에서 이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 본 논고에서는 최근 다시 부각된 국립무용원 건립의 필요성을 근거로 하여 지역 무용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지역 무용의 위기 상황을 살펴보고 국립무용원 건립의 필요성과 참고할만한 기관을 언급한 후 이를 바탕으로 침체일로에 있는 지역 무용의 재도약을 위해 국립무용원 건립이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다각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국립무용원이 서울 본원과 함께 여러 지역에 분원을 설립하게 된다는 전제하...
TAG 국립무용원, 국립무용원 건립, 국립무용원 건립추진단, 무용계 활성화, 지역 무용 활성화, The Korea National Dance Center, Construction of the Korea National Dance Center, The Preparatory Committee for the Korea National Dance Center, Invigoration of Korean Dance Field, Invigoration of Regional D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