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교 3학년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
이예진 ( Lee Ye-jin ) , 김효정 ( Kim Hyo-j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1] 제64권 261~298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이 학습자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행연구를 통해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정리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에서 다루는 공동체의식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미술을 확인하고,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지속가능한 디자인 관련 단원을 통해 각 교과서마다 제시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에 대한 내용과 관점을 분석하였고, 지속가능한 디자인을 수록한 교과서 중 사회적·경제적·환경적 관점과 관련된 도판이 포함된 교과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디자인 수업의 주제를 ‘플라스틱 줄이는 지속가능한 패키지디자인 제작하기’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목표와 평가계획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과정의 ...
TAG 지속가능한 디자인, 공동체의식, PBL, sustainable design, community consciousness
사진으로 탐구하는 ‘뮤지엄 교육’의 의미
김수진 ( Kim Su-ji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1~37페이지(총37페이지)
뮤지엄에서의 사진 촬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현 상황에서 본 연구는 뮤지엄 교육자의 교육을 위해 질적 연구 도구로서 사진을 활용하여 뮤지엄에서의 “교육”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의 협업적 탐구를 기반으로 포토 에세이 제작, 초점 그룹 토론, 사진 회상 면담의 질적 연구 방법이 활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전환학습의 과정을 겪었으며, 뮤지엄에서의 “교육”에 대한 범위를 확장할 수 있었다. 사진을 통해서 탐구한 ‘뮤지엄 교육’의 주제들은 ‘프로그램 형태의 교육’도 존재하였으나, ‘교육적 매개물 자체의 가치’, ‘관람객의 전시 이해’, ‘다양한 형태의 참여’, ‘교육자의 관점과 학습’, ‘뮤지엄과 관련한 모든 경험’, ‘교육이 일어나기 어려운 상황’, 그리고 ‘뮤지엄 교육이 아닌 것의 교육적 가능성’도 존재하였다. 좀 더 넓...
TAG 뮤지엄 사진, 사진 기반 질적 연구, 뮤지엄 교육, 전환학습, photography-based qualitative research, museum education, museum photography, transformative learning
초기 미술영재의 표현 유형에 관한 연구
김정희 ( Kim Jeung-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39~6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초기 미술영재 29명의 작업 과정 관찰 내용과 인터뷰 내용, 총 143개의 작품들을 분석하여 ‘스토리텔링형’, ‘실험형’, ‘구조형’, ‘패턴형’, ‘의미구현형’ 등의 5가지 표현 유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유형별 특징을 ‘작품 구상 과정 및 소재와 의미, 제작 과정의 맥락, 매체의 선택과 활용, 형식의 양상, 작품 완성과 작품의 성공 정도’ 등의 범주에서 설명했다. 초기 미술영재들의 표현 유형은 개별적인 동기와 지향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미술영재의 잠재성 발견뿐만 아니라 발현을 위한 적합한 교육 환경을 제공하는데 기초 자료가 된다. 초기 미술영재들의 표현 유형이 단일 유형으로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지만 2개 이상의 표현 유형이 동시에 복합적 또는 순차·순환적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이러한 현상은 초기 미술영재들의 잠재성이 내적 동기...
TAG 초기 미술영재, 미술영재성, 표현 유형, early art gifted children, representation type, character of art gifted children
백워드 설계 관점에서 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연구: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김해경 ( Kim Hai-ky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65~87페이지(총23페이지)
기술의 발달과 사회적 변화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였다. 단순히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는 것을 활용하고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와 개인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자국의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개편하였고 우리나라 역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전환하였다.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백워드 설계 방식과 그 철학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되었다. 이에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백워드 설계의 관점에서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체계를 점검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핵심개념이 단어로 진술되어 있어 미술 교육을 통해 도달해야 할 궁극적 이해를 교사가 파악하기 용이하지 않다. 핵심 개념...
TAG 백워드 설계,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Backward Design,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content system
미술교육에서의 ‘빅 아이디어’ 설정과 가능성 탐색 - TETAC의 ‘영속적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
류지영 ( Ryu Ji-yeo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89~12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빅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 설정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업설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미국의 TETAC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영속적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간 학문적 통합 개념 및 빅 아이디어의 취지를 살리는 교과의 근본적 관점으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 영속적 아이디어 및 수업 설계의 예시를 통하여 교사교육에서의 사례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영속적 아이디어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미국의 국가 및 주 핵심 예술 표준에서의 영속적 이해 개념을 통해 교육과정에서의 빅 아이디어 개념의 적용 가능성, 교과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관점 및 방향성 재검토를 위한 빅 아이디어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미술과 수업설계에서의 적용 방안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술교육에서 빅 아...
TAG 빅 아이디어, 영속적 아이디어, 영속적 이해, 백워드 설계, big idea, enduring idea, enduring understanding, backward design, TETAC
안느-마르고 램스타인과 마티아스 아르귀의 『시작 다음』을 활용한 그림책 협동제작의 교육적 의미
박영대 ( Park Young-da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121~148페이지(총28페이지)
안느-마르고 램스타인과 마티아스 아르귀의 『시작 다음』은 글이 없이 그림만으로 이루어진 그림책으로, 두 장의 그림이 시작과 다음으로 펼쳐진다. 시간의 변화라는 주제로 두 쪽씩 부분이 모여 전체를 이루지만, 전체 구조는 다소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연구는 이 그림책의 주제와 형식을 활용하여 개별적인 생각, 감각과 경험을 토대로 두 쪽 혹은 네 쪽의 그림을 그린 후, 다 같이 모아서 한 권의 그림책을 협동하여 제작한 수업 사례와 그 교육적 의미를 다루고 있다. 스토리보드 드로잉, 밑그림 그리기, 채색하기, 협동그림책 이북(e-book) 제작하기, 에세이 작성에 이르는 수업과정과 결과물을 정리하고 후기를 분석하였다. 이 수업의 교육적 의미로, 첫째, 미술에서 표현은 나로부터 시작하지만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려는 적극적인 의미라는 것을 수업을 통해 이해할 수...
TAG 안느-마르고 램스타인과 마티아스 아르귀, 시작 다음, 그림책, 협동제작, Anne-Margot Ramstein and Matthias Aregui, Before After, picture books, collaborative production
미술관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 투어(Touch Tour)에 관한 연구
안금희 ( Ahn Keum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149~17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한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통해서 장애인의 문화접근성의 확대를 위한 전시 연계 교육의 시사점을 살펴 보고자 하였다. 국내외 미술관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및 연구를 고찰하고,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투어를 개발·적용하였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3개월에 걸쳐서 이루어졌으며 전시 연계 스토리텔링 기반 터치 투어가 5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진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중요한 사항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관의 공간에 대한 친숙감을 위해 공간 탐색의 시간을 갖는다. 둘째, 작품의 특징을 충분하게 그리고 천천히 설명한다. 셋째, 촉각 이외에도 청각 등의 다감각적 접근 및 잔존 시각을 활용한 협력적 감상 활동을 수행한다. 넷째, 전시...
TAG 시각장애학생, 미술관 교육, 스토리텔링, 터치 투어, the visually impaired, art museum education, storytelling, touch tour
포스트휴먼 주체와 기술적 상상력에 대한 연구: 낯선 아름다움의 초대
안인기 ( Ahn In-k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179~20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포스트휴머니즘을 반영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인문학과 현대미술의 흐름 속에서 찾고자 한다. 연구는 포스트휴먼 인간 주체에 대한 논의와 예술 표현을 위한 기술적 상상력의 가치 및 미적 특징을 다루었다. 포스트휴머니즘의 담론을 통해 미술교육의 주체로서 아동에 대한 이해를 새로 넓히고 미술교육의 미래적 가치를 향상시킬 논리를 제시하였다. 세부 내용으로 1) 포스트휴머니즘의 주체 인식을 미술 교육에 적용하는 문제, 2) 미래교육의 창의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기술적 상상력’ 개념의 이해와 적용, 3) 포스트휴머니즘 미술의 미적 특성의 하나인 언캐니에 대한 이해와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이미 포스트휴먼의 시대를 살고 있는 아동에 대한 인식을 확장하고, 포스트휴머니즘 담론의 생산적 적용이 가능한 미술교육 실천에 대한 관점과 ...
TAG 포스트휴머니즘, 포스트휴먼 주체, 기술적 상상력, 언캐니, posthuman, posthuman subject, techno imagination, uncanny
공감각적 색채 체험을 통한 색채 감수성 신장 방안
이예진 ( Lee Yeo-jin ) , 류재만 ( Ryu Jae-ma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205~233페이지(총29페이지)
현대 사회는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색을 인지하고 자신의 의도에 알맞은 색을 선택하여 표현하는 능력을 요구한다. 색채의 감각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오감을 통해 뇌에서 의식된다. 사람마다 성향, 경험, 감성 등이 다르므로 오감을 통해 뇌로 전달된 색채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껴진다. 공감각적 색채 체험은 다른 감각의 체험을 통해 색채를 연상하고, 반대로 색채를 지각한 후 다른 감각과 연상하는 체험을 포함한다. 공감각적 색채 체험을 통해 모든 감각 기관과 색채를 관련지어 지각하고 반응하는 습관을 길러, 일상생활 속에서 색채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년을 대상으로 색채와 오감을 연결 짓는 공감각적 색채 체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색의 의미와 가치를 정리하여 활용할 수 있는 색채 감수...
TAG 색채, 공감각, 공감각적 체험, 색채 감수성, color, synesthesia, synesthesia experience, color sensibility
디지털 프로세스폴리오를 활용한 대안적인 전시 활동 탐색: Untact 미술 수업 방안을 중심으로
이재영 ( Lee Jae-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20] 제63권 235~258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COVID-19 사태로 인해 진행된 비대면 미술 수업 사례를 탐색하며 미술 시간에 활용 가능한 대안적인 미술 작품 전시 활동 방안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디지털 프로세스폴리오를 활용한 선행연구에서 소개된 전시 활동이 비대면 상황에서 구현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해 디지털 프로세스폴리오와 전시하기 활동에 대한 문헌연구를 적용해 초등미술교사 양성 대학교 학부생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운영된 온라인 비대면 실시간 강좌 사례를 살펴 보고자 한다. 연구 결과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된 디지털 프로세스폴리오 제작 과정에 포함된 전시하기 활동은 첫째, SNS를 활용한 타인과의 새로운 의사소통, 둘째, 비대면 불특정 참여의 확대, 셋째, 근접한 공간과 개인적 관계에 대한 탐색의 공감적 공유, 넷째, 어플리케이션을 이...
TAG 디지털 프로세스폴리오, 비대면,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미술 전시, digital processfolio, untact,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art exhibi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