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새국어교육19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 교과서와 대안 텍스트 활동
천경록 ( Cheon Gyeongro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37~61페이지(총25페이지)
목적:이 연구에서는 국어과 교수학습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국어 교과서에 나타나는 대안 텍스트 현상을 탐구하였다. 교과서 단원에는 전통적으로 제재가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제재를 원(原) 텍스트로 보고 이와 대립적, 생산적 관점에 있는 텍스트를 대안 텍스트로 보았다. 대안 텍스트는 병치 텍스트와 구성 텍스트로 구분하였다. 방법:문헌 연구를 통해 대안 텍스트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본 후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결과: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대안 텍스트 관련 성취기준이 계열성 있게 제시되어 있었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서도 대안 텍스트 활동이 교수학습에 활용되고 있었다. 개선할 점으로는 병치 텍스트를 보다 많이 활용하여 비판적 읽기 능력을 높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구성 텍스트를 요구할 때는 산출해야 할 텍스트의 종류, 양식, 예상 독자 등을...
TAG 국어 교과서, 제재, 원 텍스트, 대안 텍스트, 병치 텍스트, 구성 텍스트, 독서교육, textbook, text, main, source, alternative, juxtaposed, constructed, reading education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한 국어 교과서 보완 교수ㆍ학습자료 개발 연구 - 초등 5~6학년을 중심으로 -
배재훈 ( Bae Jaehun ) , 김은지 ( Kim Eunji ) , 김정은 ( Kim Jeongeun ) , 진솔 ( Jin Sol ) , 백희정 ( Baek Heejeo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63~100페이지(총38페이지)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매체 문식성 신장을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국어 교과서를 보완하는 교수ㆍ학습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있다. 방법:이를 위해 매체 문식성 관련 논의들을 국어 교과의 관점에서 고찰하여 매체 문식성 수행 요소를 설정하고, 국어 교육과정 및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여, 절차에 따라 자료 개발을 수행하였다. 결과:2015 개정 교육과정 5~6학 년 국어 교과서를 보완하는 5학년 10개, 6학년 11개, 총 21개의 교수ㆍ학습 자료 개발하였다. 결론:교사와 학습자는 이 자료의 교수․학습을 통해 첫째, 교과서 매체의 활자 자료를 다양한 매체 환경으로 확장하여 다양한 이해와 표현 활동을 실질적으로 교수․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다양한 매체에 드러나 있는 정보의 비판적 이해ㆍ활용 및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분별할 수 있는 매체 문식...
TAG 매체 문식성, 매체 문식성 교육, 국어 교과서, 교수ㆍ학습자료, 디지털 매체,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gital media
다중 의제를 활용한 중고등학생의 협상 수행 양상
정민주 ( Chung Minj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101~126페이지(총26페이지)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들이 협상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 다중 의제를 활용하여 어떻게 대안을 구성하고 조정하는지를 고찰함으로써 다중 의제 협상 과제의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이를 위해 A지역 중학생 16명과 고등학생 16명을 대상으로 다중 의제 협상 과제를 제시하고 모의 협상을 수행하도록 하여 그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분석한 결과를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들은 협상 과제에 제시된 다중 의 제를 전략적으로 결합시키면서 대안을 역동적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중고등 학생들이 여러 의제를 활용하여 대안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상대방의 선호나 가치를 파악하는 질문을 활성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중고등학생들 이 의제의 속성을 세분화함으로써 새로운 의제를 만들어 대안을 창출해 내는 특징을 포착하였다. 결론:종합해 볼 때, ...
TAG 다중 의제 협상, 협상 과제, 협상 교육, 화법 교육, 국어 교육, 중고등학생, multi-issues negotiation, negotiation task, negotiation education, oral communicatio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은유를 활용한 문법 교육 : 실험 연구
김상태 ( Kim Sang-ta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127~147페이지(총21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어휘의 ‘개념적 은유’를 학습한 학생들이 ‘문법적 은유’의 개념을 유추하고 국어에서 적절한 예시를 발견하게끔 하는 데 있다. 방법: Lakoff & Johnson은 은유를 개념 영역 간의 유사성을 통해서 구조화하고 이해 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에 Halliday는 어휘적 은유의 보완으로서 문법적 은유를 동일한 의미를 표현하는 데에 문법적 표현의 실현 방식을 달리하여 나타내 는 언어적 현상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어휘의미교육론>을 수강한 학생들이 ‘어휘적 은유’를 토대로 ‘문법적 은유’의 개념과 예시를 자기주도학습법을 토대로 제시해 보도록 하였다. 결과:학생들은 어휘의 개념적 은유를 통하여 적절한 국어어휘의미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어휘의 개념적 은유를 통한 문법적 은유의 개념 유추는 ‘문법’과 ‘은유’의 개념을 토대...
TAG 문법적 은유, 경험적 은유, 논리적 은유, 어휘적 은유, 개념적 은유, grammatical metaphor, experimental metalphor, logical metaphor, lexical metaphor, conceptual metaphor
향가 형식 교육내용의 비판적 고찰
오영창 ( Oh Young Cha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149~180페이지(총32페이지)
목적 : 교육 현장에서 4·8·10구체라는 명제적 지식으로만 전달되는 향가의 형식은 학습자가 텍스트를 수용·감상하는 데에 도움이 되지 못하기에, 교육내용으로서 향가의 형식이 어떻게 재조명되어야 하는지 알아본다. 방법 : 국문학에서 향가의 형식에 관한 논의가 전개된 양상과 교육내용으로서 향가의 형식이 다루어져 온 양상을 비교하여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 사이의 거리를 확인하고 오늘날 향가 형식의 교육내용이 성립된 배경을 살펴본다. 결과 : 학술 담론은 향가 형식을 탐구함으로써 우리 민족의 말하기 양식과 의식적 기반, 장르의 사회성 및 역사성을 찾고자 한 역동적 전개였다. 그에 반해 교육내용으로서 향가 형식은 그 역동성을 담지 못한 채, 교육과정이 ‘탐구’ 및 ‘활동’을 중시하는 성격으로 바뀌어 감에도 불구하고 전통적 형식 규정이 학습자에게 사전적 지식으로...
TAG 향가 교육, 향가 형식, 학술 담론, 교육과정, 탐구 질문, Hyangga education, Form of Hyangga, Academic discourse, National curriculum, Inquiry question
혐오 정서에 대한 서사교육의 방향 탐색
강서희 ( Kang Seo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181~211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 : 서사교육에서 정서로서의 혐오에 대한 대응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 먼저 정서로서의 혐오의 본질과 특성을 탐색하고, 서사교육에서 정서교육의 방향을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은희경의 「아름다움이 나를 멸시한다」를 통해 서사에서 혐오 정서의 재현 양상에 대해 예시하고, 교육 방향을 제안한다. 결과 : 서사교육에서 혐오 정서를 다루기 위해 우선 인물이 혐오 정서를 형성하고 발현하는 과정을 재구성하여, 그 기저에 작용하는 신념을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인물의 혐오 정서의 형성과 발현에 작용하는 사회적 요인을 이해함으로써 사회적 정서로서 혐오 정서의 성격을 이해한다. 그리고 이러한 혐오 정서를 학습자의 삶에서 반성하고 검토하고 성찰하는 과정을 통해 혐오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길러질 수 있다. 결론 : 정서로서 혐오를 다룸으로써 서...
TAG 혐오, 혐오 정서, 서사 교육, 정서 교육, 정서 역량, 정체성, Hate, Hate as emotion, Narrative Education, Emotional Education, Emotional competence, Identity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진영하 ( Chen Yongxia ) , 탕이잉 ( Tang Yiyi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213~255페이지(총43페이지)
목적 : 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를 듣기 자료와 듣기 활동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인 학습자용 듣기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방법 : 출판 연도, 체계성, 독자성, 신뢰성을 준거로 2종의 듣기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듣기 교재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분석 기준 및 항목을 설정한 후, 듣기 자료에 대해 주제, 담화 유형, 담화 참여자, 구어적 특성, 환경적 요소, 시각적 자료, 문화적 요소 등 일곱 영역에서, 듣기 활동은 듣기 전 활동, 듣기 활동,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결과 : 듣기 자료에 관한 영역에서 대부분은 그 분포가 고르지 못하며 다양성이 결여된다. 또한 듣기 자료에 구어 담화의 모습은 잘 드러나지 않으며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목적 및 문화적 배경에 대한 고려도 부족하다....
TAG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듣기 교재, 교재 분석, 듣기 자료, 듣기 활동, 실제성, Chinese Korean Learners, Korean listening textbooks, textbook-analysis, listening materials, listening activites, authencity
한국인 모어 화자와 우즈베키스탄 유학생의 조언 화행 비교 연구
공나형 ( Kong Nahyu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257~296페이지(총40페이지)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조언 화행의 범주적 위상을 공고히 하고, 한국어모어 화자와 우즈베키스탄 한국어 학습자 집단의 조언 화행 수행 양상에서 드러나는 언어적 전략 차이를 논의하는 것이다. 방법 : 먼저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조언 화행을 설정하고, 이를 주화행과 보조화행으로 나누어 각각의 언어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모어 화자와 학습자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담화 완성형 과제(DCT)와 유사 회고적 보고 실험(RNVR)을 통해 조언 화행의 수행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 모어 화자와 달리 학습자 집단은 사회적 거리보다 상황에 대한 심각성이 조언 화행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모어 화자와 학습자 집단은 상황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정도가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보조화행의 경우 학습자 집단은 모어 화자와 달리 사용률이 매우 낮았으...
TAG 제2 언어 화용론, 비교문화적 화용론, 조언 화행, 한국어 교육, 우즈베키스탄 유학생, L2 pragmatics, cross-cultural pragmatics, advice-giving speech act, Korean language education, Uzbekistan students
장애 요인 분석을 통한 한국어 온라인 수업 발전 방향 모색
조연주 ( Cho Youn Ch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297~324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 : 이 연구는 한국어 교수자들이 온라인 수업 과정에서 경험한 환경적·교육적 장애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어 온라인 수업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이를 위해 고등교육 기관 한국어 교수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그 결과, 환경적 장애 요인으로 인터넷 인프라 부족, 수업 준비 시간 증가, 디지털 학습 도구 미비, 교육 기관의 한정적 이해와 지원, 교육 기술 학습 부담, 재택근무로 인한 업무 방해, 수업 준비 비용 증가 문제가 거론되었다. 다음으로 교육적 장애 요인은 상호작용·의사소통 문제, 수업 활동 설계의 어려움, 과제 검사 및 피드백, 시험·평가 방식, 기존 교수전략 부적합, 출결 확인 및 수업 독려, 기존 강의 계획 부적합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미래의 질 좋은 한국어 온라인 수업의...
TAG 한국어, 한국어교육, 온라인 수업, 환경적 장애 요인, 교육적 장애 요인, Korean, Korean education, online course, environmental constraints, pedagogical constraints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정음(正音)’과 ‘청탁(淸濁)’의 의미에 대한 재고(再考)
정진규 ( Jeong Jingy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0] 제124권 325~356페이지(총32페이지)
목적 : 본 연구는 ‘訓民正音’에서 ‘正音’의 의미를 언어학적인 관점과 음악적 관점에서 고찰하며, 또한 初聲 體系의 분류기준이 되는 것 중에서 ‘淸濁’의 의미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 인도 음운학 및 중국 성운학을 바탕으로 ‘淸濁’의 의미와 조선왕조실록과 각종 문집에서 언급한 ‘正音’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결과 : 2장에서는 문헌에서 밝히는 ‘音’과 ‘正音’의 의미와 ‘訓民正音’에서의 ‘正音’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正音’은 ‘바른 소리’라는 관점에서 音樂과 관련해서는 풍속을 어지럽히지 않는 바른 소리(음악)를 말하며 字音에서는 중국의 漢字音을 ‘正音’이라는 의미로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訓民正音’에서의 ‘淸濁’의 의미는 중국의 성운학에서 영향을 받았고 나아가 그 기원이 梵語의 音聲學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음악에서의...
TAG 正音, 淸濁, 各自並書, 梵語, , 音樂, correct sound, cheong-tak, KakJaByeongSeo, Sanskrit, sound, music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