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훈민정음』 (1446)에서 한글 자모 설명을 위한 한자 선정 방식
최영환 ( Choi Yeong Hw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191~222페이지(총32페이지)
한글은 음운 하나를 문자 하나로 표기하는 문자 체계이므로 음운과 문자의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음운과 문자의 대응을 가르치려면 일정한 원리나 방식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다. 이 연구는 『훈민정음』에서 사용한 한자에 대해 살펴보려고 한다. 『훈민정음』에서는 한자 23개를 사용하여 42개의 음운을 설명한다. 한자 하나가 음운 하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2개 또는 3개의 음운을 나타낸다. 『훈민정음』은 일자일음(一字一音)의 원칙에 따라 문자를 창제한 것이지만, 설명하는 한자는 ‘일자(一字)’로 초성, 중성, 종성의 3개 음가를 설명한다. 이것은 특별한 의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에서 설명을 위해 사용한 한자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명용 한자는 개별 음운과 문자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둘째, 23개...
TAG 한글, 훈민정음, 한자, 음운, Hangul, Hunminjeongeum, Chinese characters, Phonemes
학습자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이 문법 토론 활동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은정 ( Choi Eun-jeo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9] 제43권 223~253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문법 토론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이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내향성과 외향성 집단으로 구성하여 면대면 토론과 온라인 토론 학습 상황에서 학습자들의 토론 활동과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내향성과 외향성은 문법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 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온라인 토론과 면대면 토론의 방식은 문법 토론 참여도와 상호작용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자의 성격 특성과 토론 방식은 문법 토론 활동과 만족도에 상호작용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습자 성격 특성과 토론 ...
TAG 학습자 성격, 내향성, 외향성, 온라인 토론, 면대면 토론, 상호작용, 토론 학습, Learner personality, Introversion, Extroversion, Online discussion, Face-to-face Discussion, Interaction, Discussion learning
논설 기사 분석을 통한 관형절의 담화·화용적 기능 연구
강경민 ( Kang Kyoung-m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1~33페이지(총33페이지)
한국어의 관형절은 대개 관형사형 어미에 의해 인식되는 형태적 특징을 보이며 통사적으로는 주어와 서술어를 포함하는 절의 구성을 이루며 후행하는 명사를 수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관형절은 문장을 확대하는 방법 중 하나인 복합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기능하며 언어 능력이 발달해 감에 따라 사용 빈도도 높아진다. 이에 따라 한국어교육에서는 초급부터 고급에 걸쳐 지속적으로 교수되는, 매우 중요한 문법 항목이다. 이러한 중요도에 비해 그 교육 내용은 대체로 관형사형 어미로 의미되는 관형절의 시제와 상적인 특징과 서술어와 관형사형 어미의 결합 제약, 표제 명사와 관형절의 결합 제약 등을 가르쳐 형태적 오류를 양산하지 않도록 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즉, 형태론적 제약과 오류 방지에 치중되어 있다 보니 보다 생성적인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아 한국인의 언어생활에서는 관형절이 ...
TAG 관형절, 담화·화용적 기능, 지시, 맥락, 텍스트, 조응, 응집, adnominal clause, pragmatic function in discourse, reference, context, text, anaphora, coherence
쓰기 신념, 동기, 불안이 상위 인지를 매개로 논증적 글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곽수범 ( Kwak Su-beo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35~61페이지(총27페이지)
최근 들어 쓰기 교육의 정의적 요인에 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동안 주요 관심 영역이었던 인지적 측면과 더불어 정의적 요인을 쓰기 교육의 주요 요소로 포함할 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쓰기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살펴본 각각의 정의적 요인과 쓰기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토대로 세 가지 정의적 요소와 상위인지를 하나의 연구 모형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쓰기와 관련된 정의적 요인의 구체적인 영향력과 역학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40명의 정의적 요인, 상위인지, 쓰기 능력을 측정하고, 수집한 측정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앞선 연구에서 밝혀진 개별 정의적 요인과 쓰기 능력과의 상관관계가 다른 요인과 얽혀 있는 조건에서 이루어지는 인과관계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고등학교 ...
TAG 쓰기 신념, 쓰기 동기, 쓰기 불안, 상위인지, 구조방정식, writing beliefs, writing motivation, writing anxiety, metacogn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상호교섭적 감정 어휘 의미 조정 경험을 통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 방안 연구 - 의미 규범 형성을 통한 감정 인식 교육을 중심으로 -
노하늘 ( Noh Ha-nul ) , 신희성 ( Shin Hee-seong ) , 김대희 ( Kim Dae-hee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63~102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감정 어휘로 부호화된 감정과 해독된 감정 사이의 의미 격차가 공감적 대화를 저해하고 삶의 여러 국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사회·감정 문식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의 방법적 원리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국어과 감정 교육의 목표로 ‘사회·감정 문식성’을 개념화하고, 그것을 ‘발화 공동체의 사회·문화적 감정 규범에 기반을 두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고,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부호화하고, 타인의 감정을 공감적으로 해독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사회·감정 문식성의 내용 범주를 ‘자기-타인’ 차원과 ‘인식-의사소통’ 차원이 교차하는 ‘자기 감정 인식’, ‘타인 감정 인식’, ‘자기 감정 부호화’, ‘타인 감정 해독’의 4개 범주로 구축하였다. 교수·학습의 원리는 감정 의사소통 차원의 선행 ...
TAG 사회·감정 학습, 사회·감정 역량, 사회·감정 문식성, 감정 인식, 감정 의사소통, 감정 어휘, 상호 교섭적 의미 조정 경험, 의미 규범, Social emotional learning,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ocial emotional literacy,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communication, emotional vocabulary, transactional meaning-coordination experience, semantic norm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지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이상일 ( Lee Sang-il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103~132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영역을 중심으로 표상되어 있는 ‘지식’의 성격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개정될 교육과정에서 지식 범주의 역할과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교할 때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을 주축으로 한 새로운 내용체계표가 구성되면서 지식 범주가 위축되었다.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내용체계표에서 ‘지식’이라는 용어가 사라진 점, 둘째, 지식 범주에 속하는 내용요소와 성취기준이 감소한 점. 셋째, 내용체계표상에서 국어교육의 목표를 ‘기능’의 향상에 두면서 지식의 과도한 도구화를 표방한다는 점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영역의 ‘지식’ 표상에 나타난 문제점으로는 지식 개념의 혼란, 도구적 지식관의 과도한 강조, 지식...
TAG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지식, 지식의 도구화, 선순환 상생 구조, 2015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knowledge, the instrumentalization of knowledge, virtuous cycle of contents
대중가요 매체를 활용한 한국어 시 쓰기 활동의 교육적 효과
임수진 ( Lim Su-j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133~200페이지(총68페이지)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지닌 ‘시’ 문학 교육에 대한 선입견, 경험 및 노래와 시 장르 간 특징에 대한 인식 양상 조사는 본 사례연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대중가요와 시의 장르 통합적 접근을 시도한 본고에서의 교육 방법은 상호 텍스트성, 독자반응 이론, 대화주의 이론 및 신문식성의 변증법적 성격을 근간으로 한다. 본고의 연구문제는 첫째, 대중가요의 가사를 시화(詩化)하여 음미하는 시적 사유의 과정, 뮤직비디오 감상 등의 활동이 시 쓰기를 위한 한국어 학습자 동기화에 기여하는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시 쓰기가 실용적 글쓰기와 다른 성격의 활동이라 여기는 학습자 태도가 발견되는가? 그러한 정서적 기제(機制)는 무엇인가? 셋째, 영상 매체 활용의 시 쓰기 활동 후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이 느낀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 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교육적 효...
TAG 매체, 문식성, 학습자 중심 접근, 시 쓰기, 자기표현적 글쓰기, 의미구성, media, literacy, student-centered approach, writing poetry, self-expressive writing, meaning-making
범시적 관점의 문법 교육 탐색
최소영 ( Choi So-yo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201~230페이지(총30페이지)
언어 변화의 점진적이며 연속적인 본질에 더욱 부합하는 교육 내용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통적 국어사에 국한된 관점과 내용에 변환을 요구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어의 변화를 교육 내용화하는 관점을 ‘범시적(凡時的) 관점’으로 전환하고, 기존의 국어사 교육에서 다루어졌던 과거 시대의 시기별 분절적 지식과는 성격이 다른 교육 내용을 발굴하고자 하였다. 첫째, 범시적 관점의 개념과 문법 교육에서의 의의를 논구하였다. 둘째, 범시적 관점에 기반하여 국어의 변화를 탐구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이 연구는 국어사 교육이 편협하게 진행되어 온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가 국어의 변화를 탐구하는 가치를 발견하게끔 이끄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TAG 범시적 관점, 언어 변화 교육, 국어사 교육, 형태소 교육, panchronic perspective, language change educatio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morphemical education
다중언어문화 한국어 학습자의 문식성 교육
윤여탁 ( Yoon Yeo-ta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231~256페이지(총26페이지)
세계화와 현대 기술의 발달에 따라 낮아지고 있는 언어의 장벽과는 달리, 서로 다른 문화의 차이와 특수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대사회에서도 사람들의 상호 관계와 작용을 중시하는 상호문화라는 맥락에서의 언어문화 교육 필요성은 여전히 강조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세계화와 다문화주의로 인해 확대되고 있는 다중언어문화 환경이라는 현실과 이와 같은 상황에서 언어문화를 학습할 수 있는 능력인 다중언어문화 문식성 교육의 실천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현대 사회의 기술 발달에 따라 새로운 소통 수단으로 등장한 멀티미디어 사용 능력으로 대표되는 미디어 문식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다중언어와 다문화 환경뿐만 아니라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해 제기된 새로운 문식성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관점에서 이 글에서는 다중언어문화환경의 학습자에게 필요한 문식력에...
TAG 문식성, 다중언어문화, 미디어 문식성, 다중문식성, 뉴런던그룹, 한국어교육, 문학 문식성, Literacy, Multilanguage and multiculture, Media literacy, Multiliteracy, The New London Group,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Literary literacy
중국인 학습자의 문학 문식성을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 - 중국시가의 의상(意象)을 중심으로 -
김영 ( Jin Yi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8] 제42권 257~290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의 자국어 문학 문식성에 주목하였으며, 중국인 학습자의 문학 문식성에서 의상의 역할을 규명하고 한국 고전시가 교육에서 의상 중심의 문학 문식성 활용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문학 문식성은 학습자가 지닌 기초 문식성을 전제로 문학적 관습을 활용해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이다. 중국 고전시가 텍스트에서 누적된 문학 문식성은 문학성이 수렴된 한국 고전시가 텍스트로 발산되는 형태로서 확인될 수 있다. 중국 고전시가에서 의상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중국인 학습자들이 수많은 자국의 고전시가 작품들을 접한 후 심미의식 속에 남은 것이 시가 속에 나타난 동일한 의상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의상은 고전시가를 구성하는 본질적인 요소이자 학습자가 시를 해석해 나가는 필수적인 단계로서 시가 교육 및 시가 수용에서 중요한 ...
TAG 중국인 학습자, 문학 문식성, 고전시가, 의상, 意象, 춘풍, 春風, Chinese learner, literary literacy, classical poetry, image, spring win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