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AND 간행물명 : 종교문화비평4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점복과 한국인의 삶
이용범 ( Yi Yong Bhu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74~104페이지(총31페이지)
이 글은 한국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점복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점복의 실천 계기, 점복의 방식, 점복의 실천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에서 행해진 다양한 점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점복은 한국인의 삶의 거의 모든 영역과 연관되어 행해지며, 어떤 개인이나 국가, 또는 특수한 집단에 한정되지 않고 누구나 일상적으로 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점복은 한국인의 삶에서 일상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아 왔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점복은 삶의 다양한 측면과 연관되어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실행되었고, 이는 어느 한 시기에 그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점복은 한국인의 삶의 구조적 요소의 하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고 점복을 미신으로 파악하는 태도는 비현실적이다. 고대에서 현재까지 오랜 기간 점복이 한국인의 삶에...
TAG 점복, , 일상문화, 삶에서의 위상, 복합성, 불확실성, divination, life, daily life culture, status in life, complexity, uncertainty
불교에서 점복(占卜)이 다루어지는 방식에 대한 일고찰: 《점찰경(占察經)》에 나타나는 방편(方便)의 위계(位階) 문제를 중심으로
민순의 ( Min Sun-euy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105~133페이지(총29페이지)
많은 현대 한국인들이 불교와 점복의 인접성을 상정하지만 사실상 점복에 대한 불교의 근본적인 입장은 ‘공(空)에 대한 이해로부터 행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익하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승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된 이후 불교는 동아시아의 민속신앙을 받아들이며 대중화를 도모하는 과정에서 점복의 기술을 받아들이게 되었고, 마침내 《점찰경(占察經)》이라는 위경과 그것을 근거로 한 ‘점찰법(占察法)’이라는 수행방식이 고안되었다. 점찰법은 점괘를 뽑아 그 의미를 알아본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점복의 양식을 띄지만, 《점찰경》에서는 점복 행위와 그 점괘의 의미를 개인의 업보에 대한 해석으로 파악하고 나아가 그 결과에 따라 적절한 참회와 수행을 권장한다. 이는 불교가 타문화의 대중적 신행을 받아들이며 그것을 불교적으로 재해석하고 승화시켰다는 점에서 독창적이다. 점찰법은 불교에...
TAG 불교, 점복, 점찰경, 점찰법, 방편, 수행, Buddhism, divination, Sutra of Divination, Jeomchal-gyeong, 占察經, Jeomchal-beob, 占察法, upaya, bangpyeon, 方便, selfdiscipline
도교에 있어서 점복의 자리
김지현 ( Kim Ji Hyun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134~181페이지(총48페이지)
‘점복’은 문자의 시작과 함께 발견되는 중국의 가장 오래된 종교적 실천으로 ‘도가’나 ‘도교’의 성립 이전부터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어왔다. 근대적 이성의 빛에 비추어지면 점복도 도교도 모두 ‘미신’으로 분류되지만, 점술은 고대 중국에서 국가 및 공동체의 공식적인 의사 결정 방식으로서 중시되었고 천문·역법·지리와 관련되어 방대한 학술 체계를 이루는 것이었다. 중국의 전통 학술 분류체계는 점복을 도교와는 구별된 항목으로 분류해 왔다. 도교와 점복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도교의 초석이 되는 노자의 사상은 점복에 대해 무관심했으며, 5세기 이래 교단 조직을 갖추기 시작한 도교는 점술에 대해 비판적이고 배타적인 입장을 취하며 점술 및 의술의 실천을 모두 도교적 실천으로 대체하고자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 중국 역사서는 역대 왕조에서 점술에 탁월하며 왕조의 운명을 ...
TAG 도교, 점복, 의례, 의심의 해소, 의사결정, 시공관념, Daoism, Divination, Ritual, Resolving Doubt, Decision-making, Time-space concept
《대화서훈》의 언어론과 점복
윤조철 ( Yun Jo Cheol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182~211페이지(총30페이지)
어떤 의미에서 일본 에도시대의 사상사는 언어론의 역사이기도 했다. 그 시대에 언어론은 사상에 영감을 부여했으며 역으로 사상은 언어론으로 수렴되었다. 자국의 고대사가 외래의 한자로 기록되었다는 사실, 문자와 말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인식은 당대의 사람들을 괴롭히는 동시에 자극했다. 언어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국학(國學)에서 정밀하게 전개된 까닭에 일본어와 관련된 분야의 연구사에서는 국학에 특별한 지위를 부여하는 경향이 있지만, 본고는 국학 이전 단계의 언어론에 관심을 갖는다. 이 글에서는 언어론이라는 시각에서 이루마가와 시게쓰네의 《대화서훈》을 검토했다. 이 책이 출판된 18세기 초 근세 일본의 사상계는 이른바 ‘언어론적 상황’을 맞이하고 있었으며, 다른 한편 시게쓰네가 속해 있던 스이카 신도파에서도 일본어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와 같은 시...
TAG 언어론, 오십음, 운경, 스이카신도, 신대문자, 대화서훈, divination, Irumagawa Shigetsune, Yamatoshokun, ancient Japanese script, Jindai moji, Yunjing
근세 일본의 기근 사자와 지장신앙: 1732~33년의 교호 대기근과 우에닌지조(飢人地藏)
박병도 ( Park Byoung Do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212~254페이지(총43페이지)
본 연구는 근세 일본의 기근 재해 중 하나인 교호 대기근(1732~33)으로 인한 기근 사자의 발생에서부터 장례와 매장 등의 사자처리 그리고 위령의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고찰하며 특히 기근 사자가 양적으로 대량이며, 질적으로 신원불명인 점에 주목하였다. 교호 대기근에 의한 희생자는 기한(飢寒)과 역병으로 주로 발생하여 후쿠오카번에서만 6~7만 명, 일본 전체적으로는 수십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식량을 구하기 위하여 도시부로 많은 이들이 모여들지만 이들 대다수는 이동 중에 또는 도시에서 구걸 중에 죽고 만다. 신원이 확인되는 개별 사자들은 소속 사원에서 장례와 매장을 담당했지만 기근으로 인한 경제적 궁핍상황 속에서는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더욱 큰 문제는 대량으로 발생하는 신원불명의 사자에 있었다. 이들은 번의 명령에 따라 히닌(非人)들이...
TAG 근세 일본, 지장신앙, 교호 대기근, 우에닌지조, 기근 사자, 집단매장, Kstigarbha, Jizo, Famine deaths, Early Modern Japan, Great Famine of Kyoho
화장, 동원된 ‘문명화’의 증거: 식민지기 화장률 증가의 해석
정일영 ( Jeong Il Yeong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255~302페이지(총48페이지)
1912년 조선총독부가 <墓地火葬場埋葬及火葬取締規則>을 공포하면서 식민지 조선의 장법에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다. 특히 조선시대에 국법으로 엄격히 금지되었던 화장을 본격적으로 도입한 것이 큰 변화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비록 일본인을 위한 것이었다고는 하나, 이제 화장이 합법이 된 것이다. 이 규칙의 제정은 단순히 화장의 도입으로 끝나지 않았다. 당시의 통계나 신문 기사 등을 살펴보면 조선인의 화장이 상당 수준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화장 증가 현상을 살펴보되, 특히 화장률 증가가 당시에 어떻게 해석되고 있었는지 살펴볼 것이다. 화장률 증가에는 여러가지 외부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화장률 증가에 대한 몇 가지 가설을 들어보자면, <묘지규칙>이라는 새로운 제도의 제정, 도시와 시골의 지역차, 전염...
TAG 화장, 화장률, 매장, 장법, 문명화, 근대성, 묘지규칙, cremation, cremation rate, burial, funeral method, civilization, modernity, the Regulation of cemetery
북미 심층생태학의 전개와 특성: 생 태학과 종교/영성의 결합을 중심으로
유기쁨 ( Yoo Ki Bbeum )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303~343페이지(총41페이지)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
TAG 심층생태학, 생태지혜, 아느 네스, 대자아 실현, 빌 드볼, 죠지 세션스, 생태학적 자아, Deep Ecology, Ecosophy, Arne Naess, Self-realization, Bill Devall, George Sessions, Ecological Self
종교현상학을 말한다(2)
장석만 , 정진홍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344~370페이지(총27페이지)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
‘삼척 안정사 <땅설법>’ 참관
민순의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6권 371~384페이지(총14페이지)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
지령 35호를 맞이하여
이욱  한국종교문화연구소(종교문화비평학회), 종교문화비평 [2019] 제35권 4~7페이지(총4페이지)
1970년대 초반에 북유럽 철학자인 네스는 생태문제에 대해 심층적인 접근을 주장하면서 심층생태학(Deep Ecology)이란 용어를 처음 고안해냈다. 네스의 심층생태학이 도입되기 전, 북미에서는 한편으로는 문제의 심층적인 원인을 찾아 심층적인 해결을 도모하려는 분위기가 일각에서 조성되어 있었고, 다른 한편으로는 서구 근대의 한계를 경험한 사람들 사이에서 대안 영성을 모색하는 흐름이 확산되고 있었다. 그러한 북미의 사회문화적 토양에서 심층생태학은 생태학과 종교/영성을 결합하는 독특한 방향으로 성장해왔다. 본 논문에서는 아느 네스가 제안한 심층생태학과 북미의 상황에서 전개된 심층생태학을 구별해서 살피되, 특히 심층생태학에서 종교/영성이 중요하게 결합되게 된 맥락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네스의 생태학에서 중요한 개념을 살피고, 심층적인 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