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78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제적 연구로서 신경미학의 이론적 틀짓기
강미정 ( Kang Mijung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1~45페이지(총4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신경미학의 여러 방법과 주제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학제적 연구분야로서 신경미학의 정체를 더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본고는 기존에 야콥슨, 디사나야케와 브라운, 피어스와 동료들 등이 제출한 신경미학의 이론틀을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그들의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다. 신경미학 연구방법은 크게 심리학, 진화론, 신경과학의 세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신경미학자들은 19세기에 페히너가 정초한 실험심리학의 방법, 다윈이 정초한 진화론적 방법, 그리고 이론적 추정, 신경심리학, 신경영상 연구 등으로 구성된 신경과학적 방법을 채택해왔다. 신경미학자들이 연구해온 주제는 예술 행동과 감정, 예술적 창조성, 미적 경험과 표상으로 구별하여 살펴본다. 감정과 창조성은 각각 감정에 관한 모형들 중 개선된 클로어/올토니의 것과 예술가였던 환자의 사례를 통해 고찰하...
TAG 신경미학, 이론적 틀, 실험미학, 미학심리학, 신경예술학, neuroaesthetics, theoretical framework, experimental aesthetics, psychology of aesthetics, neuroartsology
메를로-퐁티의 부정성과 물음으로서의 철학 : 사르트르의 절대적 부정성을 넘어서
김민정 ( Kim Min Jung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47~88페이지(총42페이지)
이 글은 메를로-퐁티가 자신의 고유한 존재론을 열어 보이기 위해 철학에 요청하는 ‘물음’의 방법론에 대해 고찰한다. 물음으로서의 철학은 실체적인 것, 확고하고 실증적인 존재 개념을 기반으로 성립되었던 전통적 존재론의 한계에 직면하여 존재가 끊임없는 발생과정 중에 있음을 확인한 철학의 새로운 반성의 양식으로, 전통적 반성의 양식에 대한 비판적 독해를 통해 도출된다. 메를로-퐁티는 먼저 전통적 반성의 양식을 데카르트와 칸트로 대표되는 반성철학 및 철학의 이분법적 사유방식에 경도된 과학에서 발견하고, 이들이 어떻게 이율배반에 봉착하는지를 살핀다. 그리고 이러한 이율배반을 넘어서고자 철학사에 도입된 새로운 반성의 방법론으로 사르트르의 ‘부정성’ 및 후설 및 베르그손의 ‘직관’의 경향을 다룬다. 그러나 메를로-퐁티는 이들 각각이 절대적 부정성 및 절대적 긍정성이라는...
TAG 지각적 믿음, 반성, 물음, 부정성, 존재와 무, Foi perceptive, Réflexion, Interrogation, Négativité, L'Être et le Néant
비가시성 미학 : 엑스레이 사진이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
박상우 ( Park Sangwoo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89~125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그동안 인문예술학에서 주목을 받지 못했던 엑스레이 사진을 다룬다. 구체적으로, 비가시성을 가시화하는 이 사진이 20세기 초 당시 세계관과 지각방식을 어떻게 변화시켰고, 현대미술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밝힌다. 이를 통해 현대미술의 주요 흐름인 ‘비가시성 미학’을 정초하고자 한다. 이 사진이 당시 세계관에 불러일으킨 변화는 막대하다. 인간의 감각과 실험에 바탕을 둔 19세기 패러다임인 실증주의는 감각 대신에 초감각을 역설하는 엑스레이 담론의 비판에 직면한다. 철학에서 물질, 투명성, 빛, 공간에 대한 고정관념이 흔들렸으며 인간의 감각과 지식이 상대화되었다. 인간의 영혼도 엑스레이로 포착될 수 있다고 믿었다. 엑스레이의 비가시성은 과학, 의학을 넘어 예술문화 전반으로 확산되었다. 과학에 관심을 보였던 아방가르드 미술(큐비즘, 퓌토그룹, 미래파, ...
TAG 비가시성, 엑스레이 사진, 실증주의, 현대미술, 퓌토그룹, Invisibility, X-ray Photography, Positivism, Modern Art, Puteaux Group
스티븐 히스의 영화이론 - 이중 구조와 관객의 지위를 중심으로
안상원 ( Ahn Sangwon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127~164페이지(총38페이지)
1981년에 출간된 스티븐 히스의 『영화에 관한 질문들』은 기본적으로 1968년 이후 등장한 이데올로기 비판의 흐름 속에 위치한다. 알튀세르와 라캉에 크게 기대고 있는 이러한 마르크스주의 영화이론은 고전적 할리우드 스타일의 영화들이 갖는 기만적 성격을 비판한다는 점에서는 의의를 찾을 수 있겠으나, 그들의 거대담론에 입각한 도식적이고 기계적인 접근은 영화의 현실을 가리는 것이었다. 히스는 이데올로기 비판이라는 기본 명제를 거부하지 않으면서도, 관객의 능동적인 해석 능력을 인정하고 그것의 중요성을 밝혀냄으로써 영화경험을 추상적 ‘주체’가 아닌 개별 관객의 문제로 전환시켰다. 하나의 변곡점으로 평가될 수 있는 이러한 관객이론으로의 전환은 고전적 서사에서의 ‘과잉’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기에 롤랑 바르트의 ‘무딘 의미’와 무관하지 않으며, 또한 관객의 해...
TAG 이중구조, 관객, 주체, 과잉, 서사화, Dual Structure, Spectator, Subject, Excess, Narrativization
영화 리듬의 분절 단위로서의 서사적 모티프
윤혜경 ( Yune Hye-kyung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165~202페이지(총38페이지)
영화의 서사적 모티프는 행동의 기본 단위로서의 문학적 모티프의 의미를 취하는 동시에, 시각적 형상화에 의해 음악적 모티프의 반복과 변주의 성격을 갖는다. 서사적 모티프의 이러한 성격은 내러티브 연구에서 도외시된 리듬의 주제를 제기한다. 필자는 영화에서 서사적 모티프가 갖는 특수한 양상을 밝히고, 그 중 내러티브 전개에 불필요한 잉여적 모티프로서 자유롭고 정태적인 모티프의 역동적인 기능 변화를 분석한다. 나아가, 내러티브의 촉매제로서 자유로운 모티프가 텍스트와 관객을 매개하는 친교적 기능을 담당하며, 선형적인 구조를 넘어선 횡단적인 텍스트의 경험을 유도한다는 점을 밝힌다. 필자는 잉여적인 서사적 모티프가 유동적인 텍스트의 특수한 운동을 촉진한다는 점에서 텍스트의 돌기로서, 리듬의 분절 단위로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TAG 서사적 모티프, 리듬, 분절, 텍스트의 횡단적 경험, Motif narratif, rythme, articulation, experience transversale du texte
시몽동의 기술미학
이찬웅 ( Lee Chan-woong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203~242페이지(총40페이지)
시몽동에 따르면, 인간과 세계의 원초적 관계인 마술적 사유가 기술적 사유와 종교적 사유로 분화된 이후, 이 양자를 매개하려는 태도에서 미학적 사유가 발생한다. 마술적 세계는 무차별한 공간이 아니라 이미 특별한 장소와 순간들이 기입된 망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회복하려는 미학적 인상이란 예외적인 장소와 순간들에 대한 감수성에 기반한다. 분리된 기술적 도식이 다시 자연적 능력 안으로 되돌아가 서로 상호 협력하는 연합 안에서 미학적 인상은 성립한다. 암초들이 가득한 바다 절벽 위의 등대처럼, 미학적 대상을 정의하는 것은 모방이 아니라 삽입이다. 시몽동의 기술미학의 요소는 가시(可視)-기술, 사용의 쾌감, 기계적 지각, 탁월함의 다양성, 시공간 지각의 변형 등이 있다. 이런 요소들을 고려할 때, 그의 미학은 칸트의 미학과 거의 모든 면에서 대립한다. 시몽동...
TAG 기계, 마술, 감각, 사용, 모양/바탕, machine, magique, sensation, usage, figure/fond
감각을 그리기, 기호를 만들기 : 색채론을 중심으로 본 들뢰즈의 회화론
조희원 ( Cho Heewon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243~284페이지(총42페이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미술론의 영역에서는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다. 이 논의들의 대부분은 재현을 둘러싼 것이었는데, 주로 재현에 반대하는 견해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 가운데서도 들뢰즈는 재현/비재현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제3의 길인 형상(Figure)을 주장함으로써 감각을 직접적으로 그려내고 감각을 무매개적으로 전달하는 새로운 회화의 가능성을 논했다. 베이컨의 작업을 분석하면서 자신의 회화론을 전개하는 들뢰즈의 입장은 그동안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논의되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철학연구자들이었던 탓에 들뢰즈의 회화론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철학적 개념어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고 회화적 요소들은 간과되었다. 이에 이 연구는 들뢰즈의 회화론을 회화의 층위, 보다 정확하게는 색채론의 측면에서 조망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그간 다루어진 감각(sens...
TAG 들뢰즈 회화론, 감각, 다이어그램, 변조, 색채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 비교
홍일희 ( Hong Ilhee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4호, 285~321페이지(총37페이지)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비교고찰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연주의’와 ‘미학’이라는 개념은 니체와 듀이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철학에 대한 비판적 의미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철학이 아닌 예술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들에게서 자연이란 변화와 생성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유기적 생명세계이며, 예술이란 인간의 삶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창조해 나가는 것을 가리키는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최정점의 형식이다. 그러나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면밀히 고찰해 나가다 보면 분기점에 다다르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의 서로 다른 미학적 내용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미학이 갖는 공통된 지반을 예술과 자연 개념을 통해 먼저 확인하고, 나아가 힘에의 의지에 입각한 생리학적 개체성과 경험을 형성하는 자연 및 인...
TAG 자연주의 미학, 낭만주의, 진화론 힘에의 의지, 경험, Naturalistic aesthetics, Romanticism, Evolutionism, Will to power, Experience
예술 인지주의의 주장들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비명제적 지식과 이해를 중심으로
임수영 ( Lim Suyeong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3호, 1~43페이지(총43페이지)
예술 인지주의를 옹호하는 근래의 시도들은 비명제적 지식, 이해 같은 이색적인 인지적 성취를 중심으로 한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특히 이러한 인지적 성취를 중심으로 예술의 인지적 가치에 대한 논의를 펼치는 이들은 이런 인지적 성취는 예술적 가치와도 유관하다고 주장하는데, 작품에 대한 적절한 감상 경험의 일부인 상상을 통해서 이 인지적 성취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예술 작품이 유도하는 상상을 통해서 비명제적 지식을 획득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는 입장들은 작품 속 상황과 유사한 실제 세계의 상황들에 대처할 줄 알게 된다거나 그런 사건을 겪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게 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본고는 이들의 주장은 실용적 지식이나 현상적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의를 고려했을 경우, 적절하지...
TAG 인지주의, 새로운 인지주의, 인지적 가치, 예술적 가치, 예술과 지식, 예술과 이해, Cognitivism, Neo-Cognitivism, Cognitive Value, Artistic value, Art and Non-propositional Knowledge, Art and Understanding
3D 기술 복제가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미치는 영향 :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을 중심으로
여문주 ( Yeo Munju )  한국미학회, 미학 [2019] 제85권 제3호, 45~76페이지(총32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과거의 생산방식에 혁신적인 전환을 가져올 차세대 신기술로 각광 받고 있는 3D 프린팅의 현실적 성과들과 복합적인 잠재력을 예술의 장으로 끌어들여와 이 복제 기술이 전통적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미술의 영역에서 3D 프린터가 활용됐던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고, 그 안에서 기존의 디지털 매체 기반의 예술과 변별되는 주목할 만한 특징들로서 물질성의 회복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본과 복제의 관계는 어떻게 새롭게 재편되고 있는지, 또한 (여기서 작동되고 있는 미적, 예술적, 심리적, 경제적, 혹은 정치적 계기들을 드러냄으로써) 예술작품의 수용방식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지를 벤야민의 가장 중요한 미학적 개념 가운데 하나인 ‘아우라’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TAG 3D 프린팅 기술, 벤야민, 아우라, 원본, 복제, 3D Printing Technology, Walter Benjamin, Aura, Original, Reproduc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