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윤리교육학회74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덕성에 관한 생명윤리학의 이해와 접근
홍석영 ( Hong Suk-youn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8권 281~300페이지(총20페이지)
“도덕성(morality)이란 무엇인가”의 물음에 관한 답을 찾기 위해 본고에서는 생명윤리학에서는 도덕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하고 있는 가에 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생명윤리학의 등장 과정에서 관심을 가진 도덕성, 생명윤리학의 정의(定義)들에 담긴 도덕성, 생명윤리학의 구체적인 원칙들과 생명 관련 법률적 결정(특히 헌법재판소의 형법의 낙태죄 헌법 불합치 헌법재판소 결정, 2019. 4. 11.) 등에 담긴 도덕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생존을 위한 학제적 접근으로 출발한 생명윤리학은 생명에 대한 책임, 자율성 존중, 생명 수호, 자유와 책임 등의 도덕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TAG 도덕성, 생명윤리학, 생존을 위한 학문, 학제적 접근, 생명에 대한 책임, 자율성 존중, 생명 수호, 자유와 책임, morality, bioethics, science of survival, responsibility for life, respect for autonomy, protection for the physical life
코로나19의 생명·연구윤리적 성찰-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최용성 ( Choi Yong-seong ) , 이경식 ( Lee Gyeong-sig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8권 301~324페이지(총24페이지)
코로나19와 같은 바이러스는 앞으로 더 많은 신종 바이러스의 형태로 발발하며 유행병으로 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지속되는 이런 바이러스부터 우리를 지키는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며 이런 차원에서 적절한 연구윤리와 생명윤리가 요청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사태에 대해 과연 어떻게 중국이 대응했으며, 적절하게 대응했는지 교훈과 성찰을 살피고자 하였다. 특별히 탈정상과학의 시대, 위험사회란 맥락 속에서 중국의 사례를 천착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과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더욱 요구되는 연구 진실성과 투명한 데이터의 확보에 실패하였으며, 신종 감염병의 특성에 맞는 생명·연구윤리의 실행에서 선제적 대응을 제대로 하지 못했음을 살펴보았다. 헌신적인 의료인들의 돌봄 및 덕의 윤리가 있었지만 전체주의적 생명정치적 상황에서 과학자들의 사회적 책임감이 잘 발현...
TAG 코로나19, 생명윤리, 연구윤리, 탈정상과학, 위험사회, 중국, covid-19, bioethics, research ethics, post normal science, risk society, china
유교 평화론에 관한 연구
이상호 ( Lee Sang-ho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8권 325~354페이지(총30페이지)
유교에서 평화는 일체의 불안이 없이 마음이 완전히 평안해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런 경지는 '나'라는 것이 없어진 무아의 상태가 되어남과 완전히 하나가 되었을 때 이루어진다. 유교에서 이상사회로 제시한 대동사회도 완전한 평화가 온 세상에 이루어진 모습을 말한다. 유교에서 모든 평화는 개인의 수양에서 출발한다. 개인의 수양을 통해 다른 사람과 한마음이 될 때 가족 구성원과 하나가 될 수 있고, 국가의 평화와 세계의 평화도 이루어진다. 가정을 다스리고 국가를 다스리는 목적도 가정이 화목해지고 국가의 평화를 이루기 위해서이다. 세계의 평화는 개인의 수양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화목한 가정, 평화로운 국가의 연장이다. 모든 사람이 착한 마음을 회복하여 온 세상 사람이 천사처럼 될 때, 이 세상은 지상천국이 된다. 유교에서 말하는 세계 평화란 전쟁이 없는 상태를 의미하...
TAG 평화, 대동사회, 수양, 지상천국, 세계 평화, 동시성, 천인합일, peace, society of solidarity, discipline, heavenly world, world peace, simultaneity, unity with nature and man
스토아학파의 덕에 대한 이해
추정완 ( Choo Jung-wa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8권 355~379페이지(총25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전체적인 스토아사상을 이해하는 가운데 그들이 제시한 덕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의의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서 연구자는 스토아사상의 전개 과정을 간략히 소개한 후 스토아학파가 제안한 덕 개념이 지닌 두 가지 특징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덕 개념이 자연주의적 관점과 결합하는 방식과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도덕적 정서를 포섭하고자 하는 그들의 시도를 검토하였다. 이어진 4장에서는 스토아학파가 제시한 덕의 성숙(발전)을 개인적 관점과 사회적 관점으로 나누어 제시한 후, 결론에서 스토아사상이 현대 덕 윤리에 대한 일종의 대안적 가치를 제공하며, 윤리와 자연과학의 관계 설정 등에 대한 최근의 논의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밝혔다.
TAG 스토아사상, 스토아학파, , 도덕적 성숙, 도덕교육, Stoicism, Stoa school, virtue, moral development, moral education
동서양 윤리사상에 기초한 의사결정의 윤리적 책임성 함양 연구 - 마음챙김 명상과 에포케(epochē)를 중심으로 -
오유진 ( Oh You-jin ) , 정창우 ( Jeong Chang-woo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8권 381~414페이지(총34페이지)
불확실성의 시대에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이는 인지편향은 윤리적 의사결정을 어렵게 만든다. 마음챙김 명상에서 학생들은 ‘지금 이 순간’의 감각, 감정, 생각에 대한 명료한 알아차림을 통해 자극과 반응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의사결정의 윤리적 책임성을 함양하게 된다. 에포케에서는 일체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초월론적 주관의 의지를 통해 의사결정의 자기 책임성을 추구할 수 있다.
TAG 인지편향, 윤리적 책임성, 마음챙김 명상, 알아차림, 현상학, 에포케, cognitive bias, ethical responsibility, mindfulness meditation, awareness, phenomenology, epochē
도덕과 교육의 논쟁적 쟁점 교육
김국현 ( Kim¸ Kuk-hyeo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7권 1~38페이지(총38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도덕적 인간과 정의로운 시민으로서 윤리적 시민을 길러내고자 하는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인 사회정치적, 윤리적 쟁점들에 대한 민주적 학습이 필요한 이유를 논의한다. 이를 위해 논쟁적 쟁점의 의미,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 쟁점의 사례, 도덕과 교육과정의 논쟁적 쟁점에 대한 진술, 도덕과 교육에서 논쟁적 쟁점 수업의 원리와 실행 지침, 발달의 목표로 삼는 윤리적 역량과 기술을 논의한다. 이러한 논의는 이념 분열과 극단화가 심화하는 우리 사회에서 공통 근거발견을 통해 평화적 갈등해결능력 특히 침묵하는 사람들의 관점과 견해를 윤리적 상상하는 공감적 능력을 발달시킬 것을 강조한다.
TAG 도덕과 교육, 논쟁적 쟁점, 윤리적 시민, 시민교육, 시민 역량, moral education, controversy, controversial issues, citizenship education, civic competencies
인성교육에서 이야기의 활용
김대군 ( Kim¸ Dae-gun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7권 39~66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살아간다는 것은 자신의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인성교육의 방안을 제안했다. 자신의 이야기 속에서 주인공은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누구나 자신의 캐릭터를 선한 인물(도덕적 캐릭터 : 덕을 갖춘 존재 )로 만들어가려는 욕구를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자신의 캐릭터를 형성하고 자신의 근사한 이야기를 만들어가도록 돕는 방안은 곧 인성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현재의 자아정체성을 확인해서 자신이 원하는 캐릭터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이야기의 플롯을 구성하게 된다. 다시 이야기하기의 과정을 통해서 캐릭터가 이야기의 플롯에 영향을 주고 플롯은 캐릭터의 형성을 돕게 된다. 캐릭터와 플롯은 서로 영향을 주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이루어나가게 된다. 기존의 이야기를 활용한 감동감화식 수업이나 토론식 수업과는 달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캐릭터와 ...
TAG 인성교육, 이야기, 내러티브, 자아정체성, 타자, 캐릭터, 플롯, character education, story, narrative, self-identity, other, character, plot
비폭력 대화의 도덕과교육에의 의의와 적용 방안 탐색
송애리 ( Song¸ Ae-ri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7권 67~104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비폭력 대화의 도덕과교육에의 의의를 탐색하고, 그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비폭력 대화의 원리와 방법에 대해 살펴 본 후, 다음의 세 가지 측면에서 비폭력 대화와 도덕 교육과의 연관성을 논의한다: 1) 자율성과 상호 의존에 바탕을 둔 도덕 관념 지향, 2) 인간 본성에 대한 긍정, 3) 공감적 연결을 통한 평화 추구. 이어서, 비폭력 대화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비폭력 대화의 도덕과교육에의 의의를 논의한다. 끝으로, 비폭력 대화를 도덕과교육에 접목하는 과정에서 유념할 대원칙을 제시한 후, 구체적인 적용 전략을 제안한다.
TAG 비폭력 대화, 도덕과 교육, 평화교육, 공감, 느낌, 욕구, 연민, nonviolent communication, moral education, peace education, empathy, feelings and needs, compassionate connection
불교의 ‘지혜’ 도덕성 탐색을 위한 시론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7권 105~142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위해 요구되는 도덕성으로 ‘지혜’에 초점을 두고, 불교의 깨달음 담론에 나타난 지혜의 역할과 추구 방법, 도덕교육적 쟁점들을 탐구하여 지혜 도덕성을 보편화하기 위한 시론이다. 미래학자들은 코로나 이후의 사회에서 직면할 문제 해결을 위해 인간의 ‘제3의 능력’이 필요하며 그 능력으로 ‘지혜’를 제시한다. 불교에서 지혜는 불교의 목적인 해탈과 열반에 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깨달음과 긴밀하게 연관되는 개념이다. 불교에서 깨달음을 의미하는 말은 보디(bodhi)의 음사인 ‘보리(菩提)’이며, 지혜란 ‘반야(般若, pannā)’를 의미하는데, 이 둘은 거의 유사하게 사용되며 여실지견(如實知見)으로 이해된다. 즉 진리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통찰력으로, 개인은 이러한 깨달음을 통하여 인식적 전환을 이룸으로써 이전과는 다른 자아와 세계관을 형...
TAG 지혜, 般若, pannā, 깨달음, 菩提, bodhi, 도덕성, 이해와 마음, 합리와 초월, 자비, 여실지견, 如實知見, 일천제, 一闡提, wisdom, enlightenment, morality, wisdom of seeing the truth as it is and seeing it as it is, understanding and mind, reason and transcendence, mercy, icchantika
결과주의에 대한 반론으로서 이중결과의 원리와 함과 허용의 원리 -필리파 풋의 논의를 중심으로-
이상희 ( Lee¸ Sang-hee )  한국윤리교육학회, 윤리교육연구 [2020] 제57권 143~163페이지(총21페이지)
이중결과의 원리와 함과 허용의 원리는 행위의 허용가능성에 관한 도덕적 차이를 직관적으로 구별한다. 타인에게 해를 입혀야만 전체적 선을 가져오는 도덕적 문제 상황에서 두 원리는 해악의 행위를 제한함으로써 반결과주의적 결론을 도출한다. 따라서, 두 원리의 이론적 정당화 여부는 결과주의와 비결과주의의 이론적 성패에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중결과의 원리와 함과 허용의 원리를 옹호하는 풋의 견해를 중심으로 두 원리가 해악의 행위에 대한 제약으로서 역설 없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TAG 결과주의, 행위자 중심 제약, 필리파 풋, 이중결과의 원리, 함과 허용의 원리, consequentialism, agent-centered constraint, Philippa Foot, doctrine of double effect, doctrine of doing and allow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