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북한연구학회59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꽃제비의 어원에 관한 연구
김혁 ( Kim Hyuk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2호, 355~37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꽃제비의 어원에 관한 연구로 그동안 규명되지 못했던 꽃제비의 어원을 밝혀내는 연구이다. 그동안 꽃제비는 1990년대 북한의 경제위기를 시점으로 파생된 새롭게 나타난 부랑아동정도로 인식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그 어원은 오래전부터 우리역사의 한 부분으로 존재해왔다는 점이다. 꽃제비의 어원에 대해 ‘화자’라는 중국어원설, ‘코체비예’와 같은 소련어원설 등 여러 추측들이 있어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결과 꽃제비는 이미 일제강점기 부랑의 세계에서 소매치기를 일컫는 은어로 사용되어 왔다. 꽃제비가 사회에 처음 등장하게 된 배경도 남북분단이라고 하는 정치적 경쟁관계라는 집권당국의 이해관계가 맞물려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꽃제비, 뚜룩제비, 부랑, 어원, 북한, Kkotjebi, Vagrancy, Ddu-rukjebi(house thief), Origin of the word
북한의 ‘어버이’ 이미지와 애착
김희정 ( Kim Heuijeong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2호, 381~412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유아기부터 북한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주입하고 있는 ‘어버이’이미지가 북한 주민들의 애착 표상 및 부모자녀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북한 문헌에 나타난 ‘어버이’ 이미지를 고찰하고 영국 뉴몰든에 거주하는 탈북민여성 5인을 대상으로 부모 표상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실제 ‘어버이’에 대한 애착표상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주민은 ‘어버이’에 대한 이미지를 통해 수령과 부모에 대한 다중내적작동 모델을 형성한다. 둘째, 북한 주민들은 ‘어버이’를 이상화하거나 어버이에 대한 부정적 감정을 회피하려는 회피애착유형의 특징을 보인다. 셋째, 북한 주민들의 ‘어버이’와의 불안정한 애착 관계로 촉발되는 불안과 분노감정은 타 집단에 전가된다. 넷째, 북한 주민이 교육 및 사회 통제 시스템을 통...
TAG ‘어버이’ 이미지, 애착 표상, 북한 유치원교육, 뉴몰든, 고난의 행군, North Korea early child education, ‘parent’ image, attachment representation, New malden, Arduous march
북한 삼지연관현악단 방남 공연에 대한 인식 유형 연구 : Q방법론적 접근
하승희 ( Ha Seunghe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2호, 413~437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2018년 평창올림픽계기로 이루어진 북한 예술단의 공연에 대한 수용자들의 반응을 살펴본 연구이다. 해당 공연은 그동안 경색된 남북관계에 따라사회문화교류 자체가 전무했던 속에서 성사된 공연이었기에 그간의 공백으로 알 수 없었던 북한의 음악과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삼지연관현악단 공연 영상을 시청한 국민을 대상으로 북한 음악공연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제1유형인 개방적 수용형에서는 북한이라는 대상 자체에 동질감을 느끼고 한민족으로서 우리와 다르지 않다고 느끼는 집단으로, 북한에 대해 다른 집단보다 거부감이 별로 없는 집단으로 나타났다. 제2유형인 비판적 수용형에서는 북한 공연에 대한 배경이나 행사 자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 음악 자체의 평가에 집중하고 테크...
TAG 북한, 통일, 삼지연관현악단, 남북음악교류, Q방법론, North Korea, Unification, Samjiyon Orchestra, Inter-Korean Musical Exchanges, Q methodology
한국 통일공공외교의 네트워크 탐색 : 효율적인 외교 방식 결정을 위한 예비적(preliminary) 검토
박지연 ( Park Jiyoun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통일공공외교란 한반도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와 우호적인 분위기 조성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한국의 공공외교이다. 한국은 어떻게 효율적인 통일공공외교를 수행할 수 있을까? 이에 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에서 활용되는 개념들을 바탕으로 통일공공외교의 네트워크 구조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시도한다. 통일공공외교 네트워크는 중심행위자, 대립행위자, 그리고 주변행위자로 구성된다. 중심행위자는 한국 정부이며, 대립행위자는 북한 그리고 주변행위자는 다른 모든 국가의 정부 및 해당 국가 내 시민단체, 학교, 언론 등 공공(public)을 포함한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이 대화와 협동이라는 높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외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해당 주변행위자와의 신뢰도는 낮지만, 주변행위자가 높은 네트워크 중심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이다. 중심성이 높은 행위자는 네...
TAG 통일공공외교, 공공외교, 네트워크, 신뢰도, 중심성, Public Diplomacy for Unification. Public Diplomacy, Network, Trust, Centrality
적(敵)을 이용한 북한의 주민 결속 메커니즘 연구 : ‘고난의 행군’ 시기를 중심으로
최종환 ( Choi Jong-hwan ) , 이우영 ( Lee Woo-young ) , 엄현숙 ( Oum Hyun-suk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29~55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이 언론을 통하여 어떻게 주민의 결속을 이끌어 내려고 하였는가를 분석 하였다. 연구는 마음 작용으로서의 ‘결의’에 주목하여 적(敵)을 재 정의하고 대중을 설득하기 위한 북한의 프로파간다에 주목하였다. 연구는 북한의 적을 다룬 「로동신문」 1~3면 내 기사(article)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우선, 내부의 불안정성 해소를 위해 의도적으로 관심을 외부의 적에게 돌림으로써 갈등을 조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체제 안정을 도모하려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고난의 행군’ 시기 북한 당국의 적을 이용한 프로파간다는 또한, 현재에 대한 집착 또는 과대평가의 형태로 나타났다. 북한은 체제 유지를 위해 자신만의 정체성과 사상을 적극 내세워 위기를 돌파...
TAG 고난의 행군, 프로파간다, 북한의 적, 결의, 마음 작용, Arduous March, Making of Enemy, Propaganda, Rodong Newspaper, Mind Action
문화국가와 한반도 : 남북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헌법적 검토
전수미 ( Jeon Sumi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57~81페이지(총25페이지)
2018년 6월 12일 북한과 미국의 두 정상이 손을 잡는 역사적 장면이 연출되었다. 2018년 9월 18일 남북정상회담 이후 해를 넘기자마자 제2차, 지난 6월 30일에는 제3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었다. 2019년 김정은의 신년사를 통해 재확인된 남북교류협력의 재개 및 활성화에 대한 의지는 남북한 교류협력에 대한 구체적 준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배경에서 남북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해 기존 남북문화교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큰 틀에서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과거 북한의 지속적인 핵, 미사일개발로 인해 현재까지 국제적인 대북제재가 존재하는 상황 하에서, 먼저 유엔대북제재를 직접적으로 받지 않는 사회문화교류가 현실적으로 실현가능한 남북교류의 방안이기도 할 뿐만 아니라, 향후 남북주민의 이질성 극복과 통합...
TAG 남한, 북한, 문화, 헌법, 남북교류협력, Republic of Korea,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culture, the Constitutio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남북한 원격교육 협력방안에 관한 연구 : 성인대상 교육을 중심으로
이희정 ( Lee Heejeong Jasmine ) , 박기철 ( Park Ki Cheol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83~103페이지(총21페이지)
인터넷의 발전은 교육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켰으며 특히 원격교육은 세계적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원격교육은 기존의 면대면 교육방식을 뛰어넘어 시간적, 공간적 제약을 받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북한에서도 원격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수강생이 10만 명을 넘고 있다. 남북한은 오랫동안 체제와 이념의 갈등을 겪어왔다. 현재 남북한 관계에서 원격교육에 대한 협력은 교육 통일을 위한 가장 가능성이 높은 기본적 협력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북한은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원격교육을 시행하고 있으며 주로 김책공업대학과 김일성대학에서 콘텐츠를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 남북한 간의 원격교육에 대한 협력은 교육통일 준비단계, 교육통일 발전단계, 교육통일 성숙단계, 그리고 교육통일 단계로 구분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또한, 남북한 간의...
TAG 남북한, 남북 교육통일, 원격교육, 북한 원격교육, 북한 성인교육, North and South Korea, Inter-Korean Education Unification, Distance Education, North Korea Distance Education, North Korea Adult Education
북한의 ‘장애인권리협약 국가이행보고서’ 분석 : 협약원칙의 쟁점을 중심으로
이철수 ( Lee Chul Soo ) , 김효주 ( Kim Hyo Ju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105~156페이지(총5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장애인권리협약 보고서의 주요쟁점을 분석하고, 협약 이행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동 보고서를 ① 장애인 현황, ② 장애인의 존엄성, 자율성 및 자립에 대한 존중, ③ 장애인의 비차별과 기회의 균등, ④ 장애인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사회참여 및 통합, ⑤ 장애 차이 존중, 장애인의 인정 및 보호, ⑥ 접근성, ⑦ 남녀의 평등, ⑧ 장애아동 권리 존중, ⑨ 국제협력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은 협약가입 이후 장애인권리 보호를 위한 노력을 한 바 있으나, 장애인권리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차원에서는 과거와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시 말해, 북한은 장애인권리협약 가입 이후 부분적 개선 징후는 보이지만 그렇다고 이것이 전체적인 북한 장애인권리 분야의 발전을 크게 선도하지는 못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AG 북한, 장애인, 북한장애인, 국제연합, 장애인권리협약, 장애인 권리, North Korean, persons with disabilities in North Korea, United Nations, rights for the disabled,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북한의 식수 문제를 통해 고찰한 남북 물 협력의 중요성
이경희 ( Lee Kyunghe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157~178페이지(총22페이지)
북한의 식수 비극은 북한의 체제 변화를 야기할 만큼 중대하며, 최근에는 계층 간 물 불평등의 비대칭성도 심화되고 있다. 북한은 사회 · 경제 및 정치적 특수성과 생태학적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북한적 맥락의 물의 특성으로 만성적 식수 부족 국가이다. 하지만 국가중심 물 관리 방식인 급수사령체계는 물의 통제를 통해 권력을 공고화하는 정치적 도구로 이용되며 인민에게 평등하게 물을 주는데 실패했다. 심각한 식수 문제는 북한 체제에 위협이 되고 있지만 이를 극복하기 위한 북한의 국가적 실력은 부족하다. 북한 당국이 자인하였듯, 노정된 물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도움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물’은 북한과의 협력을 추동하는데 있어 그 어떤 자원보다 강력한 힘이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유니세프(UNICEF)와 북한은 특별히 지속적이고 공고한 물 협...
TAG 물 협력, 북한 식수, 북한 상하수도, 급수사령체계, 개발협력, 유니세프, WASH, Water cooperation, Water tregedy, Water crisis in DPRK, Water governance, inter-kore-an cooperation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의 정치경제학
윤철기 ( Yoon Cheol Ge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2019] 제23권 제1호, 179~203페이지(총25페이지)
북아일랜드의 갈등은 종교적 갈등으로 시작되었지만 카톨릭에 대한 사회적 차별과 경제적 불평등으로 확대 되면서 갈등은 더욱 첨예화된다. 이는 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 간의 갈등이 폭력적 성격을 띠게 되는 주요한 배경이 된다. 영국정부는 다양한 정책들을 통해서 경제적 불평등을 해소하려 시도했지만, 모두 한계가 있었다. 1998년 성금요일 협정-혹은 벨파스트 협정-의 극적 타결로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차별과 불평등은 감소되기 시작했다. 협정 이후 평등 위원회가 설치되었으며, 북아일랜드 법(Northen Ireland Act)이 제정되었다. 그 결과 노동시장에서 카톨릭에 대한 차별은 협정 이후 20년 동안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그렇지만 경제적 불평등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중요한 문제이다. 협정 이후 신자유주의적 경제정책이 추진되었지만 시장이...
TAG 북아일랜드 평화프로세스, 종교적 갈등, 사회경제적 갈등, 성금요일 협정, 평화의 전제조건, 평등, 정의, the Northen Ireland Peace Process, religious conflict, social and economic conflict, the Good Friday Agreement, Preconditions of Peace, Equality, Justi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