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정진규 시의 공간성에 대한 논의 : 『모르는 귀』를 중심으로
마혜경 ( Ma¸ Hyeky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289~309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정진규의 시세계와 그의 마지막 시집 『모르는 귀』에 나타난 시적공간을 해석하여, 공간이 정진규의 시세계가 변화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보고, 정진규 시인의 내면의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시의 본질 가운데 공간이 차지하는 의미에 주목하여 정진규 시에 나타난 공간을 분석하는 것은 정진규의 시 창작 의식과 시세계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정진규의 시에 등장하는 자연과 생태는 그의 창작 주체이자 시적 영감을 불어넣는 소재로 작용한 것이었으며, 정진규는 인간과 자연, 사물과 존재의 공존과 공생을 노래하고자 하였다. 즉 정진규는 자연물을 통해 인간인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키고, 존재와 사물 사이에 존재하는 틈에 주목하여 그 틈을 전일성의 공간이자 인간과 자연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묘사한 시들을 다수 발표하였다....
TAG 정진규, 공간성, 모르는귀, 전일성의 공간, Jung Jing Gyu, characteristics of space, an unknown ear, space of characteristics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독서 수업 개발과 적용
권혜경 ( Kwon¸ Hyekyo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7권 311~33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교육용 교재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율적으로 한국어 도서를 선택하여 읽음으로 읽기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 수업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를 위한 독서 수업을 설계하고 실제 B대학교의 한국어 학습자 36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적용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학습자들은 15주 동안의 수업에서 각각 2권의 책을 읽었으며 개별적으로 읽은 독서량은 평균 412페이지였다. 또한 설문 조사 결과 학습자들은 독서수업을 통해 글의 이해 능력이 더 좋아졌다(69%), 한국어 수준이 향상되었다(55%), 나의 읽기 속도가 빨라졌다(42%)고 답했다. 결과적으로 학습자들은 독서 수업을 통해 한국어 실력이 향상되었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로 된 단행본을 스스로 완독했다는 사실에 매우 만족하였다. 또한 ...
TAG 한국어 읽기 교육, 확장형 읽기, 독서 수업 설계, 독서 현황표, Korean reading education, extensive reading, designing reading lessons, reading progress table
독서 복지를 지향하는 독자 중심의 문식력 교육
최인자 ( Choi In J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9~34페이지(총26페이지)
이 글은 독서 복지의 관점에서 대안적 문식력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식력의 보편적 복지는 그 인본적 가치를 다시 확인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이에 따르면 독자의 주체적인 삶의 역량 강화에 이바지하는 문식력 교육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현실적으로는 독서 격차가 매우 심각하게 드러나는바, 그 원인을 사회·문화적 발달 기제 속에서 확인해 보았다. 그 발달 격차는 학교담화와 가정 및 또래 집단 담화의 갈등과 긴장 속에서 발생하는 것이라 하겠다. 학교는 이러한 불평등의 사회· 문화적 기제를 완화,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이것은 바로 독서 복지를 지향하는 교육의 중요한 방향점이 될 수 있다. 그 실천 원리는 ① 포용성, ② 사회- 정서적 안녕감 ③ ‘실제적 수행성’④ ‘연결성’⑤ 다양성 ⑥ 융합성을 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실천 과제로는 첫째, 문식...
TAG 독서 복지, 독서 격차, 신문식력, 포용성, 사회 정서적 안녕감, 연결성, 다양성, 융합, reading welfare, reading gap, new literacy, inclusivity, social-emotional well-being, connectivity, diversity, fusion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 나타난 남성 독자와 여성 독자의 의미 구조 분석 :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중심으로
김세화 ( Kim Se Hwa ) , 최숙기 ( Choi Sook K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35~6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읽은 대학생 남녀 독자 48명을 대상으로 독자 성별 변인에 따라 페미니즘 텍스트를 읽은 독자의 의미 구조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82년생 김지영』이라는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 과정에서 전체 독자집단은 주인공 김지영의 모습을 통해 현실 사회에서 여성의 성차별적 구조에 대해 인식하고 젠더 담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형성하는 양상이 의미 구조로 분석되었다. 둘째, 『82년생 김지영』과 같은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에서 독서 토의ㆍ토론은 독자들의 의미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서 토의ㆍ토론을 통해 독자들이 질문을 떠올리고 이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은 젠더에 관한 독자 의미 구조를 형성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독...
TAG 페미니즘 텍스트 읽기, 82년생 김지영, 의미 구조, 독자 성별 차이, 언어 네트워크 분석, Feminism text reading, Kim Ji Young Born 1982, semantic structure, gender differences of readers, Semantic Network Analysis
전문계 고등학생의 독서 실태 및 독자 인식에 대한 연구
오유리 ( Oh You L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65~96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와 독자 인식을 조사했다. 전문계 고등학생은 한 달 평균 2.2권의 책을 읽으며, 매일 독서를 하는 비율은 매우 낮고(7.3%), 책을 전혀 읽지 않는 비율은 25%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책을 읽지 않는 이유는 독서에 관심이 없거나 다른 것에 더 이끌리기 때문이라고 응답했다. 그러나 일반도서에 대한 독서 실태와 달리 웹툰이나 만화책에 있어서는 55.6%의 학생들이 ‘매일’ 읽는다고 보고했다. 독자 인식 조사(RSPS-2)에서는 대체적으로 보통 이하의 평균 점수가 나타났고 이 중, ‘향상 과정’의 인식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피드백’ 점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독자 인식과 실태의 상관 분석에서 한 달 독서 권수와 독서 빈도는 독자인식의 모든 구인과 유의한 관련이 ...
TAG 전문계 고등학생 독자, 독서 실태, 독자 인식, 독서 실태와 인식의 관련성,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 readers, reading status, reading perception,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status and perception
성인 애독자와 비독자의 독서 가치와 목적 인식 비교
김해인 ( Kim Hae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97~137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성인 애독자와 비독자가 독서의 가치와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살펴보고, 그 차이를 통해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책의 해 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읽는 사람, 읽지 않는 사람: 함께 읽는 2018 책의 해 독자 개발 연구』를 통해 수집된 양적ㆍ질적 자료 중 연구 대상에 해당하는 자료를 선별하여 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애독자들은 대다수가 독서에 매우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있는 반면, 비독자들은 상대적으로 독서에 가치를 부여하는 정도가 낮은 편이었다. 또, 애독자는 독서의 인지적 목적과 정서적 목적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았다. 독서를 통해 정보를 얻는 과정에서 즐거움과 흥미를 느끼고, 독서를 휴식으로 여기는 등 독서 그 자체를 목적으로 여기는 모습이 드러난다. 반면 비독자는 ...
TAG 애독자, 비독자, 독자 개발 연구, 독자 유형, 독서 가치, 독서 목적, reader, non-reader, reader development research, reader profile, value
들뢰즈의 시간 이론에 기초한 독자 자아 탐구
여수현 ( Yeo Soo 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139~159페이지(총21페이지)
본 논고는 텍스트 읽기 시간 속 독자 자아를 들뢰즈 철학을 통해 해석하는 시도이다. 텍스트 읽기 시간은 독자의 현실과 긴밀하게 연관되면서도 독자 자아가 새롭게 창조되는 시간이다. 따라서 독자의 텍스트 읽기 시간을 분석하는 것은 독자 자아, 그리고 독자의 읽기 세계를 해석하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논고는 들뢰즈의 저서 『차이와 반복』을 토대로 그가 제시한 ‘시간의 세 가지 종합’을 통해 텍스트 읽기 시간을 사유함으로써 독자 자아를 탐색한다. ‘시간의 세 가지 종합’은 살아있는 현재, 순수과거, 영원회귀의 미래를 가리킨다. 살아있는 현재란 시간의 정초이자 토대이며, 살아있는 현재에서 순수과거와 영원회귀의 미래가 존재할 수 있다. 순수과거는 살아있는 현재가 없어지지 않고 끊임없이 응축되며 지나갈 수 있도록 하는 시간의 근거이다. 그리고 이러한 ...
TAG 들뢰즈, 시간 이론, 독자 자아, Deleuze, Time theory, Reader’s self
중도입국 학생의 언어 교육과 교육 격차
권순희 ( Kwon Soon H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161~192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제2언어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 교육 현황과 교육격차를 알아보기 위해서 한국 출생 다문화 배경 학습자이지만 어린 시절 대부분을 중국에서 생활하고 초등학교 고학년, 중학교 1학년에 한국에 온 구로구 OO중학교 3명의 중도입국 학생의 면담 분석을 통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 제언한 논문이다. 중도입국 학생의 심층 면담 결과 단어, 발음, 억양에 대한 집중 교육, 독서환경 조성, 독서에 대한 체계적인 멘토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단어 및 배경지식을 보완한 읽기 교재, 맞춤법 오류 사례를 유형별로 제시하고 모범 텍스트를 제공하는 쓰기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이를 오디오북이나 동영상으로 서비스하는 방안이 있다. 한국어 교육이 필요한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교재 개발을 할 때 개인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만한 것도 중요하지만 공동체 내...
TAG 중도입국 학생, 심층 면담, 읽기 교재 개발, 오디오북, 독서 환경, 공동체, 소통과 교류, second language Korean learners, interviews, reading materials development, audiobooks, reading environments, communities, communication and exchange
텍스트의 응집성(coherence) 형성 요소와 양상에 대한 연구
길호현 ( Kil Ho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193~223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텍스트 이해에서 응집성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텍스트의 응집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정리하고, 그간 국어교육에서 응집성과 관련된 교육 내용이 어떻게 제시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끝으로, 텍스트 응집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실제 텍스트의 의미 구성에 작용하는 양상을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응집성과 결속성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상호 전제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텍스트의 응집성 형성 요소는 텍스트 요소와 독자 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텍스트 요소로 텍스트 내의 명시적 결속 요소, 텍스트 내의 비명시적 결속 요소, 텍스트 외부 요소가 있다. 또한 텍스트 응집성 형성 요소에 독자 요소도 설정하였다. 또한 ‘기대 - 응답’ 구조가 텍스트의 응집성 형성에 영향을 ...
TAG 응집성, 결속성, 텍스트, 독자 요소, 독서 교육, coherence, cohesion, text, reader elements, reading education
국어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KReaD 지수)의 개발
조용구 ( Gho Yonggu ) , 이경남 ( Lee Gyeongna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20] 제56권 225~24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국어 텍스트를 분석 프로그램(KReaD 지수)을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개발을 위해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과 관련된 국외의 영어권 텍스트 분석 연구를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 등급 목록을 구축하고 R을 기반으로 한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텍스트 난이도 분석에 활용되는 어휘 목록은 빈도 지표, 분산 지표를 활용하여 등급화했으며, 28,332 단어를 1~10등급으로 목록화했다.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은 R을 기반으로 구동하였으며, 분석 결과로 문단 수, 문장 수, 단어 수, 평균문장길이, 어려운단어비율, 문장구조점수, 학년수준, KReaD 점수, 타입토큰비율, 단문의비율, 복문의 비율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를 시각화한 워드클라우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텍스트 분석 프...
TAG 텍스트 난이도, 텍스트 이독성, 독해지수, 텍스트 복잡도, KReaD 지수, 텍스트 분석, text difficulty, text readability, reading index, text complexity, KReaD index, text analysi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