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광물학회 AND 간행물명 : 광물과 암석9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경기육괴 북부 가평 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 내부 각섬석의 격자선호방향(LPO)과 지진파 비등방성
김준하 ( Junha Kim ) , 정해명 ( Haemyeong Ju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59~272페이지(총14페이지)
지각내부에서의 지진파 전파 특성은 지각의 주요 구성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지진파 전파속도자료를 이용해 지구내부구조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주요 구성 광물들의 격자선호방향과 이를 이용해 계산된 암석별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 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암석과 광물의 격자선호방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상황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경기육괴 북부에 위치한 가평 위곡리 일대의 두 각섬암체에서 각섬암을 채취하여, 각섬암 내부의 주요 광물들, 특히 각섬석과 사장석의 격자선호방향을 전자현미경/후방산란전자회절 기기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가평지역 각섬암에서 나타나는 지진파 전파속도 특성을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가평 위곡리 일대 두 개의 각섬암체에서 각각 type I과 type IV로 정의된 두 가지 타입의 각섬석 격자선호방향이 관...
TAG 가평, 각섬암, 각섬석, 격자선호방향, 지진파 전파속도, 지진파 비등방성, Gapyeong, Gyeonggi Massif, Amphibolite, Lattice preferred orientation, Seismic anisotropy
쥬라기 화강암류에서 발달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의 역학적 특성
박덕원 ( Deok-won Park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73~291페이지(총19페이지)
화강암 석산에서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으로 알려진 세 직교하는 분할면의 강도 특성을 검토하였다. R, G 및 H 공시체는 거창 및 합천 지역에서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류의 블럭 샘플로부터 획득하였다. 이들 세 공시체의 장축의 방향은 세 면 각각에 수직이다. 세 면에 대한 판별에 유용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R, G 및 H 공시체의 일축압축강도와 관련된 세 그래프의 스케일링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을 작성하였다. 강도의 증가에 따라 세 공시체의 그래프는 H < G < R의 순으로 배열한다. 공시체 내부의 조직균일도를 지시하는 세 공시체에 대한 그래프의 경사각을 비교하였다. H 공시체(θH, 24.0°~37.3°)에 대한 상기한 각이 세 공시체 중에서 가장 낮다. 둘째, 두 공시체의 평균압축강도의 조합을...
TAG 1번 면, 2번 면 및 3번 면, 일축압축강도, 스케일링 특성, 압열인장강도, 배열순, Rift, grain and hardway planes, Uniaxial compressive strengths, Scaling characteristics, Brazilian tensile strengths, Order of arrangement
필리핀 따알 화산의 2020년 분화 해설
윤성효 ( Sung-hyo Yun ) , 장철우 ( Cheolwoo Cha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3호, 293~305페이지(총13페이지)
필리핀의 따알 화산(Taal Volcano) 분화는 2020년 1월 12일에 시작되었다. 필리핀 화산학 및 지진학연구원(PHIVOLCS)은 “몇 시간에서 며칠 내에 위험한 폭발성 분화가 발생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경보단계(Alert Level) 4를 발령했다. 따알 화산섬의 주 분화구(Main Crater)에서 수증기 분화와 수증기마그마성 분화로 뿜어져 나온 화산재가 Calabarzon, Metro Manila, Central Luzon의 일부 및 Ilocos 지역의 Pangasinan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이로 인하여 학교 수업, 기업체 근무 및 항공편 운항이 중단되었다. 분화 이후 PHIVOLCS는 2020년 1월 26일 따알의 화산활동이 일관되진 않지만 서서히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여, 경보단계를 3으...
TAG 필리핀, 따알 화산, 폭발성 분화, 경보 단계, Philippines, Taal Volcano, Explosive eruption, Alert level
산방산용암돔 조면암에서 산출되는 장석의 안티라파키비 조직
윤성효 ( Sung-hyo Yun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2호, 87~97페이지(총11페이지)
산방산조면암에서 반정으로 산출되는 장석은 라브라도라이트(An53.6)에서 안데신(An35.4), 미반정과 기질부에서 래쓰로 산출되는 것은 안데신(An31.2)에서 올리고클레이스(An18.7)에 해당한다. 장석 반정과 미반정을 감싸 얇은 띠(누대)를 이루는(mantled) 장석은 안오소클레이스(Or20.5An9.4)에서 새니딘(Or49.2An1.4)이다. 뚜렷한 누대구조를 나타내는 사장석 반정은 반정 중앙부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감에 따라 누대의 An함량이 안데신 (An39.3)에서 라브라도라이트(An51.3
TAG 산방산, 조면암, 장석, 안티라파키비 조직, 마그마 혼합, Sanbangsan, trachyte, feldspar, antirapakivi texture, magma mixing
미세균열과 압열인장강도의 분포 특성을 이용한 결의 평가
박덕원 ( Deok-won Park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2호, 99~114페이지(총16페이지)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과 평행한 압열인장강도(σt)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평가는 미세균열의 길이와 위의 강도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각 방향에 속하는 다섯 시험편의 강도값은 다섯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다섯 그룹의 강도값은 그룹 A < B < C < D < E의 순으로 증가한다. 위의 미세균열과 강도 사이의 밀접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결 사이의 강도의 변화 및 특성을 보여 주는 도면을 작성하였다. 위의 도면에 서는, 각 그룹에 속하는 여섯 방향의 강도값을 1번 결(리프트 1 및 리프트 2), 2번 결(그레인 1 및 그레인 2) 그리고 3번 결(하드웨이 1 및 하드웨이 2)의 순으로 배열하였다. 다섯 그룹의 강...
TAG 압열인장강도, , 지시자값, 경사각, 강도차, 상관도, 신뢰성, Brazilian tensile strength, Rock cleavage, Indicator values, Slope angle, Strength difference, Correlation chart, Credibility
운산 금 광상에서 산출되는 함 텅스텐 금홍석의 산상과 화학조성
유봉철 ( Bong Chul Yoo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2호, 115~127페이지(총13페이지)
운산 금 광상은 한반도의 3대(대유동 광상, 광양 광상) 금 광상중의 하나이었다. 이 광상 주변지질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와 중생대의 반상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이 광상은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와 중생대의 반상화강암내에 발달된 단층대를 따라 충진한 함 금석영맥 광상으로 조산형 금광상에 해당된다. 이 광상의 석영맥은 광물조합에 따라 1)방연석-석영맥형, 2)자류철석-석영맥형, 3)황철석-석영맥형, 4)페크마틱 석영맥형, 5)백운모-석영맥형 및 6)단순석영맥형으로 분류된다. 연구된 석영맥은 황철석-석영맥형이며 견운모화작용, 녹니석화작용 및 규화작용이 관찰된다. 이 석영맥은 백색 석영, 백색 운모, 녹니석, 황철석, 금홍석, 방해석, 모나자이트, 저어콘 및 인회석 등이 산출된다. 금홍석은 엽리상 석영맥내 유색대에서 자형내지 중립질 입단으로 어두운 금홍석과 ...
TAG 운산 금 광상, 조산형 금 광상, 금홍석, 산상, 화학조성, Unsan Au deposit, Orogenic Au deposit, Rutile, Occurrence, Chemical composition
미얀마 모곡변성대 함보석 페그마타이트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징
허철호 ( Chul-ho Heo ) , 오일환 ( Il-hwan Oh ) , 조성준 ( Seong-jun Cho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2호, 129~141페이지(총13페이지)
모곡변성대는 과거 루비 광산들이 분포하던 지역으로, 주로 시생대 결정질암으로 구성된 고원지대이며, 보석류가 충적층에서 확인되어 표사광상을 이루고 있다고 미얀마지질조사광물탐사국의 미발간보고서에 수록되어있다. 루비와 함께 확인되는 광물로는 첨정석, 석류석, 홍전기석 등이 있다. 보석이 발견되는 충적층을 이루는 자갈류는 주로 편마암 및 페그마타이트 쇄설물로 구성되어있다. 특히 신구, 모곡, 모메익 지역에는 보석을 함유하는 다수의 페그마타이트가 모곡변성암류, 섬록암 및 화강암 등을 관입하여 분포한다. 신구 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홍전기석, 고세나이트, 청인회석 및 자주 인회색이 산출된다. 모메익 페그마타이트 에서는 보석으로서 버섯형 홍전기석, 페타라이트, 햄버어자이트, 폴류사이트 및 아쿠아마린이 산출된다. 모곡페그마타이트에서는 보석으로서 황옥, 아쿠아마린, 고세나...
TAG 보석, 페그마타이트, 모곡변성대, 미얀마, gem, pegmatite, Mogok metamorphic belt, Myanmar
양자화학계산을 이용한 SiO2 동질이상의 전자 구조와 Si L2,3-edge X-선 라만 산란 스펙트럼 분석
김용현 ( Yong-hyun Kim ) , 이유수 ( Yoo Soo Yi ) , 이성근 ( Sung Keun Lee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고압 환경에서 규산염 용융체의 원자 구조에 대한 정보는 지구 내부 마그마의 열전도율이나 주변 암석과의 원소 분배계수와 같은 이동 물성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한다. 규소의 전자 구조는 규산염 다면체 주변의 산소 원자 분포와 연관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나, 이 사이의 상관관계가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SiO2의 고밀도화에 따른 규소의 전자 구조 변화의 미시적인 기원을 규명하기 위해 SiO2 동질이상의 규소 부분 상태 밀도와 L3-edge X-선 흡수분광분석(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AS) 스펙트럼을 계산하였다. 규소의 전도 띠 영역에서 전자 구조는 결정 구조에 따라서 변화하였다. 특히 d-오비탈은 108, 130 eV 영역에서 배위 환경에 따른 뚜렷한 ...
TAG SiO2 동질이상, 전자 구조, 양자화학계산, X-선 흡수분광분석, X-선 라만 산란, WIEN2k, SiO2 Polymorphs, Electronic structure, Quantum chemical calculation,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X-ray Raman scattering
일라이트의 비등방적 압축특성 연구
윤서희 ( Seohee Yun ) , 이용재 ( Yongjae Lee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1호, 11~18페이지(총8페이지)
천연산 일라이트(K0.65Al2(Al0.65Si3.35)O10(OH)2) 분말 시료에 대해 물과 알코올(메탄올:에탄올 = 4:1 체적비, ME41)의 두 가지 압력매개체를 이용한 다이아몬드앤빌셀 고압 회절실험을 진행하였다. 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층간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약 250℃까지 열을 가하는 과정을 거치며 최대 약 2.7GPa까지 압력을 가하였고, 알코올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상온에서 최대 약 6.9GPa까지 가압하면서 방사광 분말 회절법을 통해 시료의 압축특성을 관찰하였다. 위와 같은 조건에서는 층간의 확장이나 상전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물과 알코올의...
TAG 일라이트, 고압회절, 체적탄성률, 선형압축률, illite, high-pressure diffraction, bulk modulus, linear compressibility
란시아이트-다카네라이트 고용체 결정구조에 대한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연구
한수연 ( Suyeon Han ) , 권기덕 ( Kideok D. Kwon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20] 제33권 제1호, 19~28페이지(총10페이지)
란시아이트(ranciéite)는 수화된 Ca2+ 양이온이 망간 원자 빈자리를 아래위로 덮고 층간을 채우고 있는 육방정계 층상형 산화망간광물(phyllomanganates)이다. 망간 원자 빈자리를 Mn2+ 양이온이 더 우세하게 채우는 경우, 다카네라이트(takanelite)라는 광물로 구분하며, 란시아이트와 다카네라이트는 서로 고용체를 이룬다. 이 광물들은 입자크기가 매우 작고 다른 광물과 함께 산출되기 때문에 실험만으로 정확한 결정구조를 규명하기 어렵다. 이번 연구에서는 층간 Mn2+/Ca2+ 양이온 비율에 따른 란시아이트-다카네라이트의 결정구조와 층간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고전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molecular dyn...
TAG 란시아이트, 다카네라이트, 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칼코파나이트, Ranciéite, Takanelite,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s, Chalcophanit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