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균학회335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Tuber himalayense Collected from Rhizosphere of Quercus dentata in Korea
( Hyeok Park ) , ( Ju-hui Gwon ) , ( Jong-chul Lee ) , ( Hyun Suk Kim ) , ( Geon-sik Seo ) , ( Ahn-heum Eom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1] 제49권 제1호, 101~108페이지(총8페이지)
TAG Ascoma, Ectomycorrhiza, Fruiting body, Truffle, Tuber himalayense
석회암 지대 참나무속 식물에 공생하는 외생균근균의 군집구조
이종철 ( Jong-chul Lee ) , 박혁 ( Hyeok Park ) , 엄안흠 ( Ahn-heum Eom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1] 제49권 제1호, 109~118페이지(총10페이지)
국내 석회암지대에 서식하는 참나무류의 뿌리에서 외생균근균(ectomycorrhizal fungi, ECM)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분자분석을 통해 참나무류에 공생하고 있는 45속의 ECM을 확인하였다. ECM의 종 다양성 지수는 pH, 칼슘 농도, 유효인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전질소 함량과 유기물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군집분석 결과 석회토양의 특징인 pH와 칼슘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ECM은Sebacina, Tomentella, Tuber, Densospora, Inocybe, Suillus, Piloderma속에 속하는 균주들 이였으며, 이들은 토양 안정성이 약화된 석회암지대의 생태복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G Ectomycorrhizae, Fungal community, Limestone, pH
국내 미기록 등수국 녹병균 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
이재성 ( Jae Sung Lee ) , 최영준 ( Young-joon Choi ) , 최병기 ( Byoung-ki Choi ) , 정복남 ( Bok-nam Jung ) , 박지현 ( Ji-hyun Park ) , 신현동 ( Hyeon-dong Shin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1] 제49권 제1호, 119~125페이지(총7페이지)
등수국은 수국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에 분포한다. 2017년 10월 제주도에서 등수국에 발생하는 녹병균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등수국 녹병균을 동정하기 위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등수국 녹병균은 일본과 러시아에서 보고된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 의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징과 일치하였으며, 북미에서 보고된P. hydrangeae 와는 상당히 먼 계통학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등수국에서 녹병균P. hydrangeae-petiola...
TAG Identification, Phylogeny, Pucciniastraceae, Pucciniastrum hydrangeae, SEM
An Unrecorded Genus Lambertella Höhn. (Rutstroemiaceae) and Its Unrecorded Species in Korea
( Jae-wook Choi ) , ( Eunsu Park ) , ( Ju-kyeong Eo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1] 제49권 제1호, 127~131페이지(총5페이지)
등수국은 수국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에 분포한다. 2017년 10월 제주도에서 등수국에 발생하는 녹병균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등수국 녹병균을 동정하기 위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등수국 녹병균은 일본과 러시아에서 보고된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 의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징과 일치하였으며, 북미에서 보고된P. hydrangeae 와는 상당히 먼 계통학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등수국에서 녹병균P. hydrangeae-petiola...
TAG Abies koreana, Endophytic fungi, Korea, Lambertella corni-maris
Foot Rot of Bok Choy and Kal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2-1 in Korea
( Wan-gyu Kim ) , ( Gyo-bin Lee ) , ( Hong-sik Shim ) , ( Weon-dae Cho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1] 제49권 제1호, 133~137페이지(총5페이지)
등수국은 수국과에 속하는 덩굴성 식물로 우리나라의 울릉도, 제주도, 남해안 섬에 분포한다. 2017년 10월 제주도에서 등수국에 발생하는 녹병균을 국내 최초로 발견하였다. 등수국 녹병균을 동정하기 위해,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및 28S large subunit (LSU) rDNA의 염기서열의 분자계통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등수국 녹병균은 일본과 러시아에서 보고된Pucciniastrum hydrangeae-petiolaris 의 형태적 및 분자계통학적 특징과 일치하였으며, 북미에서 보고된P. hydrangeae 와는 상당히 먼 계통학적 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의 등수국에서 녹병균P. hydrangeae-petiola...
TAG Anastomosis, Bok choy, Foot rot, Kale, Rhizoctonia solani AG-2-1
한국 내 Alternaria alternata 에 의한 토마토 과실 검은곰팡이병
김완규 ( Wan-gyu Kim ) , 류제택 ( Jae-taek Ryu ) , 최효원 ( Hyo-won Choi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0] 제48권 제4호, 369~379페이지(총11페이지)
2018년 7월에 한국의 수원에 있는 온실 재배 토마토의 과실에서 검은곰팡이병이 빈번하게 관찰되어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일반토마토에서 5.0-25.0%(평균 12.3%), 방울토마토에서 2.0-7.0%(평균 3.7%)였다. 병든 과실의 병반에서 16개의 Alternaria균을 단포자 분리하여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 중에서 8균주를 공시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리 균주들에 대한 형태적 및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모두 Alternaria alternata로 동정되었다. 4균주의A. alternata를 공시하여 각각 3품종의 일반토마토와 방울토마토 과실에 대한 병원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접종 균주 모두 온실에서 관찰된 것과 같은 검은곰팡이병 증상을 유발하였다. 또한 병원성 검정 결과, 공시 토마...
TAG Alternaria alternata, Black mold, Pathogenicity, Tomato
환경 스트레스 조건에 따른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 변화
박미정 ( Mi-jeong Park ) , 이효림 ( Hyorim Lee ) , 유림 ( Rhim Ryoo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0] 제48권 제4호, 381~388페이지(총8페이지)
생물발광은 생물체 내에서 빛이 방출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 현상은 루시페라아제(luciferase)에 촉매되는 루시페린(luciferin)의 산화 반응에 의해 나타난다. 생물발광은 균류를 포함하여 다양한 생물 종에서 나타남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약 80여 종의 균류에서 생물발광이 관찰됨이 보고 되었다. 화경버섯(Omphalotus japonicus)은 한국에 자생하는 대표적인 생물발광 버섯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경버섯 균사의 생물발광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고체 배지에서 자란 화경버섯 균사체의 가장자리 부근에서 중심부에 비해 높은 발광이 관찰되었다. 또한 균사 표면에 상처를 내자 해당 부위에서 강한 생물발광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생물발광의 증가는 처리 후 3시간에 최대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극단적인 온도 스트레스에 의...
TAG Bioluminescence, Luciferase, Omphalotus japonicus, Temperature stress, Wounding stress
표고 A 교배형 구분을 위한 CAPS 마커의 개발 및 적용
박미정 ( Mi-jeong Park ) , 유림 ( Rhim Ryoo ) , 장영선 ( Yeongseon Jang ) , 가강현 ( Kang-hyeon Ka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0] 제48권 제4호, 389~396페이지(총8페이지)
표고는 한국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식용버섯 중 하나이다. 표고는 사극성의 교배계를 따르며, 표고의 교배형은 자웅이주성의 다른 담자균류와 마찬가지로 서로 독립적인 두 유전자좌, A와B에 의해 결정된다. 표고의A 유전자좌에는 한 쌍의 homeodomain (HD) 전사인자가 암호화되어 있으며 이들의 N말단에서 나타나는 높은 변이가A 교배형의 다양성에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표고 품종과 야생종에서 많이 발견되는 11종의A 교배형을 구분할 수 있는 CAPS 마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A 유전자좌에서 변이가 큰 부분을 PCR을 통해 증폭한 뒤 두 가지 제한효소HaeIII와EcoRI로 절단하여 DNA 단편의 크기 및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1종의A 교배형을 서로 구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방법이 이핵균주의 교배형을 확인하는 데 활...
TAG Cleaved amplified polymorphic sequence, CAPS, marker, Lentinula edodes, Mating type, Mushroom breeding, Restriction enzyme
느티만가닥버섯에서 Penicillium brevicompactum 에 의해 유발된 곰팡이 오염 특성
김민근 ( Min-keun Kim ) , 심순애 ( Soon-ae Sim ) , 김아영 ( Ah-young Kim ) , 권진혁 ( Jin-hyeuk Kwon ) , 장영호 ( Young-ho Chang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0] 제48권 제4호, 397~405페이지(총9페이지)
느티만가닥버섯은 일본에서 가장 많이 생산하고 소비되는 버섯으로 영양학적 가치, 우수한 식감 및 저장성 때문에 국내에서도 점진적으로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다. 2018년과 2019년 사이 경남지역 느티만가닥버섯 재배농가에서 자실체 발생이 불균일하며 수량이 감소하는 피해가 확인되었다. 분리한 오염균은 균총의 전체 표면에 회색을 띠는 진녹색포자를 형성하였다. 분리 균주의 균사생장 적합온도는 25℃로 확인되었으며 비교적 느리게 자라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분리 균주는 IT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Penicillium brevicompactum과 100.0%의 상동성을 나타내었고, P. brevicompactum F51로 동정 및 명명하였다. 분리 균주를 처리한 배지는 농가에서 수집된 시료와 동일하게 버섯균사의 재생을 저해하면서 발이가 46.5-71.5% 수준...
TAG Green mold contamination, Hypsizygus marmoreus, Penicillium brevicompactum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한 느타리 생육배지 톱밥 대체재료 선발 연구
김정한 ( Jeong-han Kim ) , 장명준 ( Myoung-jun Jang )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지 [2020] 제48권 제4호, 407~414페이지(총8페이지)
느타리 수확 후 배지의 가축 사료화를 위해 생육배지의 톱밥을 대체하고자 면실피펠렛, 옥대펠렛, 콘코브를 활용하여 생육시험을 수행하고, 그 수확후 배지의 사료로서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톱밥 대체재료별 혼합배지의 생육결과 콘코브, 면실피펠렛 처리구의 배양기간이 27일, 초발이소요일수 4일, 생육일수 3일 소요되어 전체 재배기간이 34일로 대조와 같았다. 병당 수량은 콘코브 처리구가 134 g으로 대조구 130 g과 유사하였고, 면실피펠렛처리구는 112g, 옥대펠렛 처리구 68 g으로 낮았다. 생물학적 효율은 콘코브가 80.1%로 대조구 68.7%보다 우수하였다. 톱밥 대체재료별 수확 후 배지의 화학성을 분석한 결과 콘코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NDF는 같지만 ADF와 리그닌 함량이 낮고, 단백질 함량은 높아 사료로서 영양학적 가치가 더 우수...
TAG bottle cultivation, Pleurotus ostreatus, ruminant feed, spent mushroom substrates, yiel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