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329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로변 도시공원 내 공간유형에 따른 초미세먼지 분포 특성
안로사 ( Rosa Ahn ) , 홍석환 ( Suk-hwan H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1(총1페이지)
세계보건기구는 실내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도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야외에서 신체활동을 권장하고 있다. 도심 내 생활권범위에 조성된 도시공원은 시민들에게 녹지, 광장, 휴게 시설과 같이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하지만, 도시의 심각한 문제인 대기 오염은 도시민들의 야외활동에 억제하는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심의 대기오염 중 초미세먼지(PM2.5)는 대부분 도로에서 이동하는 자동차의 배기가스로부터 생성되는데, 대기중 부유하는 2.5㎍/m³보다 큰 조대입자에 비해 미세하여 대기중에 장기간 부유하면서 인근생활권으로 확산되어 영향을 끼친다. 초미세먼지(PM2.5)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지의 기능이 효과가 있다는 다수의 선행연구결과가 있지만, 도시민이 이용하는 도시공원의 효과와 공원 내 초미세먼지(...
도심지 겨울철 토지피복유형별 바이오에어로졸 특성 분석
이동재 ( Dong-jae Lee ) , 신용진 ( Yong-jin Sin ) , 김학기 ( Hag-gi Kim ) , 박선영 ( Seon-yeong Park ) , 박영진 ( Yeon-gjin Park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u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2(총1페이지)
도시화의 진행으로 인구 과밀화와 토지이용의 변화는 인간에게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토지피복 및 기후변화 등 환경 문제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사람의 생활환경과 밀접한 관계인 대기오염의 문제를 야기하며, 다양한 환경문제들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화로 인한 대기 오염물질 중 하나인 바이오에어로졸은 생물체 자체, 생물체의 유기체가 생산해내는 독소·분비물 또는 그 사체 등이 포함된 입자(partic)들이나 또는 배양은 되지 않고 인체에 민감한 반응을 주는 것 등이 공기 중에 부유한 상태에서 인체 흡수 혹은 침투하여 건강장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모든 요인을 통칭하며 바이러스, 박테리아, 곰팡이 등이 모두 속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처럼 바이오에어로졸은 생물 다양성과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보고되고 있지만, 인간의 활동에 ...
산지형수목원 식재공간 내 기상과 수목생육 관련성 평가
이상훈 ( Sang-hoon Lee ) , 손혜림 ( Son-hye Lim ) , 김한결 ( Han-gyeol Kim ) , 이명훈 ( Myung-hun Lee ) , 박석곤 ( Seok-gon Park ) , 김정호 ( Jeong-ho Kim ) ,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3(총1페이지)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생활 수준의 향상뿐만 아니라 산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와 목재생산이라는 기능적인 면보다는 휴양, 대기 정화, 산림생물 다양성 보존, 이산화탄소 감축 등의 공익적인 효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수목의 생리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식재되어 조성된 도시 숲, 휴양림, 수목원, 공원 등에서는 수목들이 매년 생장은 하지 못하고 생존만 하는 경우가 많다. 식재된 수목의 피해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대상지 환경에 가장 적합한 수목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식생은 다양한 환경요인의 영향하에서 오랜 시간을 거치며 발달하였으며, 그 중 기후적, 지형적요인은 식생의 구조와 발달 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환경요인으로, 동일한 식생일지라도 분포위치에 차이를 보이고, 그 환경에 적응하거나 영향을 주는 유기적 관...
InVEST 모델을 이용한 주요 국립공원지역의 담수분석
최송현 ( Song-hyun Choi ) , 유병혁 ( Byeong-hyeok Yu ) , 장진 ( Jin Jang ) , 신해선 ( Hae-seon Shin ) , 장정은 ( Jung-eun Jang ) , 권혜연 ( Hye-yeon Kwon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1] 제2021권 제1호, 44(총1페이지)
InVEST(Integrated Valuation of Ecosystem Services and Tradeoffs)는 미국 Stanford대학을 중심으로 Natue Conservancy와 World Wildlife Fund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오픈 소스 모형으로써 자연으로부터 얻는 재화와 서비스를 지도화 및 가치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naturalcapitalproject. stanford.edu/). 2008년부터 개발이 되었으며, 현재까지 서식 지질, 탄소저장량, 토양침식 등 다양한 세부모형이 개발되었다. 각 모형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관련 인자를 투입하여 가치를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Sharp et al., 2014...
강원도 양구군 파로호 동부 3개 산지(숫돌봉, 성주봉, 수리봉)의 관속식물상
송진헌 ( Jin-heon Song ) , 신현탁 ( Hyun-tak Shin ) , 윤호근 ( Ho-geun Yun ) , 김상준 ( Sang-ju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1~2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양구군에 위치한 숫돌봉(508m), 성주봉(625.3m), 수리봉(596.2m) 지역을 중심으로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3개 산지 식물상 조사결과, 84과 255속 350종 4아종 43변종 6품종으로 총 403분류군의 관속식물이 조사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과 18분류군, 나자식물이 1과 3분류군, 쌍자엽식물이 69과 302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8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식물은 특산식물이 은사시나무, 키버들, 세잎승마, 진범, 등 총 11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위기종(EN) 개느삼 등 1종 취약종(VU) 세잎승마, 삼지구엽초, 솔나리 등 총 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약관심종(LC) 도깨비부채, 가침박달, 태백제비꽃 등 총 1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털여뀌, ...
TAG 양구군, 희귀식물, 특산식물, YANGGU- GUN, RARE PLANTS, KOREA ENDEMIC PLANT
수달의 보전을 위한 전국자연환경조사 시계열 자료 기반 잠재 서식적합지역 분석 - 강원도를 대상으로 -
김호걸 ( Ho Gul Kim ) , 모용원 ( Yongwon Mo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24~36페이지(총13페이지)
전 세계 다양한 국가들을 비롯하여 우리나라도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한 노력에 동참하고 있다. 특히 생물종과 관련해서는 특정 생물종을 대상으로 서식적합분석을 실시하여 잠재적인 서식 적지를 찾고 보전방안을 수립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한 서식적합지역의 중장기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을 대상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수달을 대상으로 서식적합지역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고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계열 변화 분석을 위해서 약 20년간 수행된 2차, 3차, 4차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수달 종 출현지점 조사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각 조사시기 별 서식환경을 반영하기 위해 조사시기와 일치하는 토지피복도를 환경변수 제작에 활용하였다. 서식적합지역 분석을 위해서는 종...
TAG MaxEnt, 보호지역, 서식지 분포 변화, 서식지 적합성 지도, 서식지 선호 특성, MAXENT, PROTECTED AREA, CHANGES OF HABITAT DISTRIBUTION, HABITAT SUITABILITY MAPPING, HABITAT PREFERENCE CHARACTERISTICS
설악산 분비나무군락의 식물사회학적 특성
이호영 ( Ho-young Lee ) , 정보광 ( Bo-kwang Chung ) , 전영문 ( Young-moon Chu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37~47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최근 가속화되고 있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쇠퇴가 우려되는 설악산 분비나무림을 대상으로 식물사회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장조사에서 획득된 70개 방형구 조사결과에 대해 TWINSPAN 기법을 이용하여 군락을 분류하고, DCA 방법으로 서열을 분석한 후 각 군락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였다. 설악산 분비나무림은 4개 군락(분비나무-댕댕이나무군락, 분비나무-시닥나무군락, 분비나무-당단풍나무군락, 분비나무-거제수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각 군락은 입지에 따라 분포 유형을 달리하였으며, 이는 해발고도, 사면 등 입지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미소환경이 형성됨으로써 종조성이 달리지기 때문이다. 각 군락은 분포 고도, 암석비율, 토양특성, 낙엽층 두께 등의 환경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그 결과로 종구성의 차이뿐만 아니라 출현종수 및 개체수, 식피율, ...
TAG 기후변화, 해발고도, 사면, 미소환경, CLIMATE CHANGE, TWINSPAN, DCA, ALTITUDE, SLOPE DIRECTION, MICROENVIRONMENT
멸종위기야생식물인 왕제비꽃(Viola websteri Hemsl.)의 분포특성과 개체군 구조 및 동태
채현희 ( Hyun-hee Chae ) , 김영철 ( Young-chul Kim ) , 곽명해 ( Myoung-hai Kwak ) , 남기흠 ( Gi-heum Nam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48~67페이지(총20페이지)
식물 종은 주어진 환경조건과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현재와 같은 특성을 나타낸다. 제비꽃속의 식물은 적응전략으로 개방화와 더불어 왕성한 영양번식체계를 선택하였거나 또는 폐쇄화를 발달시키는 전략을 선택하였다. 왕제비꽃은 제비꽃 속의 식물로 세계적으로 한반도와 중국 지린(길림)성의 동부에만 분포한다. 분포의 중심과 가장자리는 서로 다른 개체군 동태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왕제비꽃이 복합적인종자생산전략(Mixed-mating strategy)을 소유함에도 현재와 같은 제한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원인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먼저 우리는 분포지의 식생환경을 조사하여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식물계절학을 통해 생장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개체군의 구조, 개방화의 결실특성, 폐쇄화의 생산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2014년과 2018년 사이의 개체군크기 변화를 비교하였다. 분...
TAG CONSERVATION, REAR EDGE POPULATION, REPRODUCTION TRAITS, CLEISTOGAMOUS, PHENOLOGY, 보전, 후방 가장자리 개체군, 번식전략, 폐쇄화, 식물계절학
인천 및 경기도 도서지역 소사나무림 군집구조분석 연구 - 석모도, 영종도, 영흥도 및 대부도를 대상으로 -
김용훈 ( Yong-hoon Kim ) , 권오정 ( Oh-jung Kwon ) , 반수홍 ( Su-hong Ban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68~80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도서식물자원인 소사나무의 식물군집구조 분석을 통해 소사나무림의 서식지 외 보전 및 서식환경 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군집구조 분석을 위하여 소사나무가 출현하는 석모도, 영종도, 영흥도 및 대부도를 대상으로 총 29개의 방형구(각 100㎡)를 설치 및 조사하였다. 군집분류는 TWINSPAN에 의한 classification 분석을 하였다. 군집분류 결과 소사나무-졸참나무 군락(Ⅰ), 소사나무-소나무 군락(Ⅱ), 소사나무-신갈나무 군락(Ⅲ), 소사나무-팥배나무 군락(Ⅳ), 소사나무 전형군락(Ⅴ), 소사나무-굴참나무 군락(Ⅵ) 등 총 6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종다양도는 0.90008~1.12868, 우점도는 0.17536~0.25665이며, 유사도지수는 17.1429~38.2979%이었다. 군락별 7개 환경인자를 RDA o...
TAG 종다양도, 우점도, 유사도, 상관관계, TWINSPAN, RDA, SPECIES DIVERSITY, DOMINANCE, SIMILARITY, CORRELATION
북한의 자연환경 보전 법제 및 보호지역 현황 고찰
허학영 ( Hag Young Heo ) , 유병혁 ( Byeong-hyeok Yu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021] 제35권 제1호, 81~91페이지(총11페이지)
북한의 정권 수립 초기인 1970년대 초까지는 자연환경과 관련된 직접적인 법제가 마련되지 못하였고, 1977년 토지법 제정을 통해 토지보호, 보호구역, 산림조성 및 보호 등 자연환경 보호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북한 환경법제의 발전 단계는 환경보호법 제정(1986년)과 함께 그 근간을 갖추었으며, 1990년대에 들어서 헌법 개정(1992년)을 통해 “국가의 책무로서 자연환경의 보존·조성”을 규정하였고, 그 이후 “환경보호법”을 기본법으로 다양한 분야의 하위법령을 제정하여 분법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지역의 경우 초기에는 위원회 결정 등으로 보호지역을 지정·관리하다가, “환경보호법”을 통해 다양한 법정 보호지역 지정 근거를 마련한 후 “명승지·천연기념물보호법(1995)”, “자연보호구법(2009)” 등으로 관련법들이 세분화된 것을 ...
TAG 환경보호법, 토지법, 자연보호구, 보호지역 UN-list, LAW ON ENVIRONMENTAL PROTECTION, LAW ON LAND, NATURE RESERVE, UNITED NATIONS LIST OF PROTECTED AREAS
 1  2  3  4  5  6  7  8  9  10